-
-
사월의 정원 - 2025 한국학교사서협회 추천도서 ㅣ 모두를 위한 그림책 89
아일라 맥거킨 지음, 카탈리나 에체베리 그림, 육아리 옮김 / 책빛 / 2025년 3월
평점 :

비밀스럽게 자신의 색을 감추고 있는 봄의 꽃봉오리처럼 <사월의 정원>은 많은 부분을 독자의 상상으로 맡긴 그림책이었어요. 그리고 그 상상은 관심을 갖게 하고 함께 고민하도록 책 속으로 이끌어주더라고요.
처음 <사월의 정원>을 마주했을 때 4월의 정원으로만 보여 졌기 때문에 끊임없이 화려한 꽃을 찾으려고 애썼답니다. 어린 둘째 아이는 주인공이 왜 화가 나있는지 궁금해 했고, 전 이사가서 그런 것이라고 얘기했지만 도통 상황을 이해하기 힘들었어요.

“어떤 색깔, 어떤 모양으로 피어날지 알 수 없는 꽃씨를 정성껏 심었어요.”
“사월은 기다렸어요. 기다리고, 또 기다렸어요.”
사월이의 기다림만큼 저 역시 <사월의 정원>을 읽고 또 읽었답니다.
한참 뒤에야 사월이가 처한 상황을 이해할 수 있었어요. 글에서 놓쳤던 부분을 그림에서 찾게 되었답니다.

어둠이 깔리고서야 이사를 가야했고
사월이의 애착인형도 줍지 못할 만큼 엄마와 사월이는 다급했죠.
이사를 간 곳 역시 수많은 문 뒤에 다른 가족이 살고 있는 낯선 장면
사월이 나이에는 맞지 않는 장난감들
순간, 과거에 난민수용소에 관한 책을 읽었던 기억과 겹쳐졌어요. 고정관념이 사람의 시야를 철저하게 가릴 수 있다는 것을 오랜만에 느끼는 순간이기도 했고요.

<사월의 정원>에는 ‘난민’이라는 말은 나오지 않아요. 그저 사월이를 둘러싼 환경과 그 감정에 집중해야만 그토록 사월이가 기다리던 희망이 무엇인지 짐작할 수 있을 뿐이랍니다. 아주 평범한 일상, 안전한 하루를 바라고 있지는 않을까 생각했어요.

“어두운 먹구름도 햇빛을 품고 있기 마련이야.”
갑자기 변한 환경 때문에 절망에 빠진 사월이에게 엄마가 해준 말입니다.
요즘 정치, 경제, 자연재해 등 다양한 불안 속에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꼭 필요한 말이 아닐까요? 마침내 사월이가 열심히 가꾸어 활짝 피운 꽃처럼 사월에게도 우리에게도 푸른 하늘을 보고 큰 숨을 마음껏 내쉴 수 있는 그런 날이 오길 희망합니다.
출판사로부터 선물 받았습니다. 진심을 담은 리뷰를 작성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