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렸을 때의 환경이 정신질환과 강력하게 연관되는 것은 사실이다. 유년기의 불우한 환경을 가늠하는 ‘유년기 부정적 생애 경험‘ adverse childhood experience, ACE 설문에서 제시하는 기준은 다음과같다. 11① 성년이 되기 전 부모 혹은 집안의 어른이 자주 당신에게 욕을 하거나창피를 주거나 당신의 기를 꺾거나 당신을 모욕하거나 신체적으로 아프게 할 것이라는 두려움을 가지게 행동했는가? ② 성년이 되기 전 부모 혹은 집안의 어른이 자주 당신을 밀치거나 세게붙잡거나 당신의 뺨을 때리거나 당신에게 무엇을 던지거나 한번이라도멍이나 상처가 남을 정도로 당신을 때리거나 다치게 한 적이 있는가? ③ 성년이 되기 전 어른 혹은 최소 당신보다 다섯살 이상 나이 많은 사람이 당신을 만지거나 껴안거나 당신에게 자신의 몸을 성적으로 만지게 하거나 구강, 항문, 성기로 성행위를 시도한 일이 있는가? ④ 성년이 되기 전 당신은 자주 당신의 가족 중 누구도 당신을 사랑하지않거나 당신이 중요하고 특별한 사람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느꼈는가? 당신의 가족이 서로를 돌보지 않고 서로 가깝지 않다고 느꼈는가? 성년이 되기 전 당신은 자주 먹을 것이 부족하거나 더러운 옷을 입거나 당신을 보호해줄 사람이 아무도 없었던 일이 있는가? 혹은 당신의
부모가 너무 취하거나 약물 복용 상태여서 당신을 돌보지 못한 일이 있는가? ⑥ 성년이 되기 전 당신의 친부모가 이혼을 하거나 다른 이유로 당신에게서 사라진 일이 있는가? ⑦ 성년이 되기 전 누가 당신의 모친 혹은 계모를 자주 밀치거나 세게붙잡거나 이들의 뺨을 때리거나 이들에게 물건을 던진 일이 있는가? 당신의 모친 혹은 계모를 누가 가끔 발로 차거나 물거나 주먹으로 때리거나 딱딱한 물체로 때린 일이 있는가? 한번이라도 당신의 모친 혹은 계모를 누가 몇분 이상 계속 때리거나 총 혹은 칼로 위협을 한 일이 있는가? 성년이 되기 전 알코올 중독 혹은 마약 중독인 사람과 산 일이 있는가? ⑨ 성년이 되기 전 가족 중에 우울증이나 정신질환이 있거나 자살을 기도한 사람이 있었는가? ⑩ 성년이 되기 전 가족 중 감옥에 간 사람이 있는가? 10개의 항목 중 그렇다고 답한 갯수가 많을수록 정신질환에취약한 정도를 나타내는 유년기 불우 환경 지수가 높아진다. 물론 절대적인 것은 아니어서 이 점수가 높은 사람들 중에도 인생을 잘 사는 사람이 많이 있다. 나의 경우 우리 아이들이 1번과4번에 대해 어떻게 답할지가 궁금하다. 특히 부모가 학업과 관련해서 한 말이 아이들에게 상처를 주는 일이 있었을 것 같다. 부모
병원비, 특히 환자가 입원을 하는 경우도 큰 부담이 된다. 문제는 정신건강의학과 병동에 입원할 때는 어느 정도 가격이 의료의 질을 결정한다는 것이다. 환자가 보호병동에 들어가는 순간의료진과 보호사들의 24시간 돌봄 아래 놓이기 때문에 가뜩이나인건비를 깎는 의료 시스템에서 저렴한 가격으로는 좋은 돌봄을받을 수 없다. 이는 우리나라 의료제도의 맹점을 드러내는 예로인건비는 깎고 검사는 과보상하는 체계에서 모든 의료행위가 운영된다는 점에 기인한다. 환자가 호소하는 다양한 신체 증상들은검사를 통해서도 특이점이 발견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특히 고가 검사인 뇌 자기공명영상 촬영의 경우가 그러한데, 정신질환환자 대부분에서 이상 소견은 관찰되지 않는다. 따라서 입원비가부담된다면 불필요한 검사들은 안 하겠다고 미리 말하는 것도하나의 방법이다. 물론 환자들이 의료진의 눈치를 보게 마련이라쉽게 말하기는 힘들다. 한가지 다행인 점은 양극성 장애 환자들의 상당수는 나이를먹어가면서 얼마간 생활 기능을 되찾는 것이다. 많은 환자들이서른을 넘어서는 부모에게 병원비 지원을 안 받게 되었다고 말한다. 물론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다. 오래가는 환자의 병 때문에가족까지 빈곤의 구렁텅이로 빠지지 않으려면 가족들도 환자의병시중에 얼마나 지원이 가능한지를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언제까지나 가족이 재정적인 지원을 해줄 수는 없다는 점을 환자 자신도 인지하도록 하고 환자 스스로 자립해서 생활할 수 있게끔 하는 것이다. 환자가 적은 돈이라도 자신의 힘으로 벌어보는 것은 본인의자긍심을 높이고 어엿한 사회의 성원으로 사는 데에도 매우 중요하다. 그 시기는 당연히 빠를수록 좋다. 많은 양극성 장애 환자들은 사회의 통상적인 근무시간에 맞춰출퇴근하는 직장에 다니는 것이 어렵다. 야간 근무도 어렵다. 어쩔 수 없이 비정규직의 불안정한 직장들밖에는 선택지가 없는데그래도 일을 안 하는 것보다는 낫다. 나는 아이가 알바를 하면서(젊은이 착취 시스템이라는 것에 치를 떨면서도) 그런 일자리가있다는 사실에 때로 감사했다. 아이가 일터에 나가는 것은 불완전하나마 아이의 삶의 틀을 만들어주었고 나도 아이가 일을 나간 날은 마음을 놓고 있을 수 있었다. 아이는 적은 액수이지만 자신의 자존심을 지킬 수입이 생겼고, 그 돈으로 생활을 기획할 수있었다.
국민의힘 정치인들에 대해서는 개인적으로 기대하는 것이 아예 없기 때문에 일일이 열거하기도 어려울 만큼 많은 망언이 나왔어도 ‘그런가보다‘ 하고 있지만 성일종 의원의 2022년 6월 일대주택 관련 발언은 우리가 지금 어느 시대를 살고 있는지를 의심하게 하는 수준이었다. 그는 서울시 6-1 지방선거 당선자 대회및 워크숍에서 임대주택 거주 환경을 지적하며 "여기(임대주못사는 사람들이 많다. 그래서 정신질환자들이 나온다. 방치할수 없다. 사회문제가 된다."고 하고 "문제가 있는 사람은 격리하든지 이런 조치들을 사전적으로 하지 않으면 국가가 책임을 다했다고 볼 수 없다."고 덧붙였다. 정신질환을 앓는 환자의 가족은 사회적 안전망이 빈약한 경우바로 빈곤의 늪으로 떨어질 위험이 높다. 국민소득 4만 달러를장담하면서도 복지제도는 OECD 국가들 중 바닥을 기도록 만든당의 국회의원이 할 말은 결코 아니다. 망언 논란 후 박용진 의원은 바로 사과했지만 성일종 의원은 임대주택 거주자에게만 사과했을 뿐 정신질환 환자들에게는 어떠한 언급도 한 일이 없다. 우리가 툭하면 무심결에 입에 올리는 말, "미쳤군."이라는 말은 이런 정치인에게 아주 잘 어울리는 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