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엔비디아 세계 최강 반도체 기업이 만드는 2040 AI 세계
츠다 켄지 지음, 한선주 옮김 / 시그마북스 / 2025년 4월
평점 :
▶▶ 이 리뷰는 컬처블룸을 통해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 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엔비디아
세계 최강 반도체 기업이 만드는 2040 AI 세계
츠다 켄지 지음
한선주 옮김
시그마북스
세계 최고 시가총액 기업은 지금 무엇을 생각하고 있는가?
반도체 기업 최초 시가총액
1조 달러를 돌파한 엔비디아!
그들이 만드는 2040 AI 세계의 모습은?
요즘 미국 주식시장이 말이 아닙니다
떨어져도 너무 급하게 떨어지는 정신도 하나 없습니다.
이제는 슬슬 물 타야 할 시기가 아닌가 싶고
반도체에 투자하고 있는 저로서는
이제야서 패닉셀하지 않도록
다시 한번 반도체의 최강 기업인
엔비디아에 대해 공부를 하며 검증을 해보려 합니다.

엔비디아, 세계 최강 반도체 기업이 만드는 2040 AI 세계 책은
일본인 츠다 켄지라는 저자였습니다.
국제 기술 저널리스트이자 NEW&CHIPS의 편집장이라고 하니
일본의 입장에서는 반도체 기업인 엔비디아를 어떻게
바라보는 관점도 궁금했습니다.
저자의 첫 만남에서 엔비디아 본 느낌
잘 알려진 것처럼 엔비디아는 직원과 대등한 관계이며
직원들에게 자율 재량권을 주어 스스로 찾아서 일을 하는 분위기
엔비디아에는 프로젝트가 보스이고 책임은 팀 전체가 함께 진다는 수평적인 문화
사장실도 없는 잭슨 황은 직원과의 관계를 중요시하고
직원에게 배팅하는 엔비디아입니다.
가장 인상 남는 부분은 엔비디아 옴니버스로 사용한 핵 융합로의 디지털 트윈입니다.
핵융합 기술은 방사성 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방출도 하지 않는 꿈의 에너지로 알려져 있습니다. 엔비디아 옴니버스의 등장으로 실험에 가까운 조건을 시뮬레이션으로 만들어 낼 수 있게 되고 영국 원자력청은 예전처럼 시행착오 각오하고
시제품 실험을 반복하기보다 현실에 가까운 시뮬레이션을 생각했습니다.
디지털 트윈을 개발해 컴퓨터상에서 실험하는 것이 개발로 가는 지름길이라 보고 엔비디아와 제휴했습니다.
핵융합 기술이 성공만 하면 꿈의 에너지인데 태양의 온도이상이 필요하고
실제로 실험을 할 수 없기에 거의 포기한 기술을 시뮬레이션으로
실현할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지고
성공 가능성이 비치는 길을 찾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도체 제품 매우 복잡해서 설계에만 집중하는 팹리스와
제조에만 집중하는 파운드리로 나뉩니다
반도체 설계부터 생산까지 모든 수행하는 종합 반도체 기업은 IDM이라고 합니다.
TSMC의 매출액은 고객사인 팹리스와 IDM의 결산서에서는 비용으로 계상됩니다. 팹리스나 IDM이 파운드리에 지불하는 돈은 비용이고,
역으로 파운드리에는 이것이 매출이 됩니다.
인텔이나 삼성전자는 IDM이기도 하면서 파운드리 사업도 합니다.
그래서 매출액 계산 시 참고해야 합니다.
2023년~2024년 급성장하고 반도체와 AI, 양쪽을 다 갖춘 것이 성장 요인이며,
설비 구입 등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공장은 버리고 설계만 집중하는 팹리스 기업
으로 선택과 집중이 잘 된 케이스이지 싶습니다.


반도체란 무엇인지? GPU란 무엇인가? 엔비디아 창업 이후
엔비디아가 AI에 도달하기까지의 여정을 순서대로 알려주고 있습니다.
AI 기술의 진화는 반도체 진화와 미래의 AI에 대해 알려주고 있습니다.
엔비디아, 세계 최강 반도체 기업이 만드는 2040AI 세계 책은
반도체와 엔비디아에 대해 담백하고 간결하게 이해하기
정말 쉽게 이야기해주고 있습니다.
그리고 반도체가 어떻게 여러 가지로 진화하고 있는지도
새롭게 알게 되어 좋았습니다.
#엔비디아 #세계최강반도체기업이만드는 #2040AI세계 #츠다켄지 #한선주
#시그마북스 #컬처블룸 #컬처블룸리뷰단 #시가총액1조달러 #반도체기업최초
#엔비디아행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