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구 충격, 부동산 대변혁 - 인구 변화에서 부동산시장의 해법을 찾다
김효선 지음 / 메이트북스 / 2025년 4월
평점 :
★이 리뷰는 북유럽에서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인구 충격.. 하니까 생각나는 에피소드들이 있네요.
작년에 부동산에 잔금 받으러 갔을 때 있었던 일입니다.
저, 매수인, 부동산 사장님, 법무사.. 한 테이블에 앉아서 진행 중인데..
매수인이 정치적인 이야기를 하면서...
'우리 8천만 민족의 이름으로!!..... '라고 하시는 겁니다.
정치에 관심은 있으나, 어느 한쪽에 몰입되는 스타일이 아니라서..
뒷이야기는 귀에 안 들어왔지만, 인구 8천만은 쇼킹했습니다.
'인구 감소가 심각한 사회적 문제라더니...
우리나라 인구가 나도 모르는 사이에 언제 8천만 명까지 늘어난 거지..'
부동산 사무실에서 나오자마자 급히 '대한민국 인구' 검색을 했더니..
5천만이 넘는 정도더군요. 나머지 3천만은 누구일까..
혹시나 하면서...'북한 인구'를 검색했더니 2천5백만이 넘더군요..
아하~~ 그래서 8천만 민족이라고 표현하셨던 겁니다.
어릴 적 부르던 '우리의 소원은 통일'이라는 노래가 생각나더군요.
인구수 하니까.. 옛날 옛적에 선대인 씨가 강연자로 나왔던 세미나에
참석했던 기억도 나네요.
선대인 씨는 부동산 하락론을 주장하던 분인데요.
그 당시 기억으로는 인구 감소가 심각하기 때문에...
서울과 수도권 및 주요 도시를 제외하면 앞으로 부동산 가격 하락이 심각한
사회 문제로까지 대두될 가능성이 높다는 이야기였는데요.
그 당시에는 부동산 장기 침체 시기였고, 방향성을 예측하기 어려운 시기
였기 때문에.. 더욱 언론의 주목을 받았던 분이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그 후로 부동산 가격 상승기가 도래하면서 언론의 저편으로 사라지셨지만..
만약 선별 투자의 중요성 정도의 뉘앙스였다면 어땠을까 싶네요.
극단적인 하락론은 자극적인 소재를 좋아하는 언론만 좋아났었고..
단물 빠지고는 조용해졌었으니까요.
암튼 통일이 되어서 3천만이 뻥튀기 되거나 이민 장려 정책을 통한 인구 유입을
시도하지 않는 이상.. 대한민국 도시들의 인구 유입 각축전은 심화될 것이고..
고령화, 인구 감소, 소가족화 시대에 부동산 시장의 움직임을 예측하고
트렌드를 찾는 데 도움을 받고 싶어서 선택한 책이..
'인구 충격, 부동산 대변혁'입니다.

'말은 태어나서 제주로 보내고, 사람은 서울로 보낸다'라는
말이 있었는데요. 서울은 기회의 땅이었으니까요.
서울은 먹고 살 기회뿐만 아니라, 부동산에서도 기회의 땅이었습니다.
이 기회는 언제까지나 유효할까요?
물론 아직도 서울 부동산은 가장 핫한 상품입니다.
그중에서도 강남 입성은 수요가 넘쳐납니다.
점점 포커스가 좁혀져 가고 있지만, 인구 감소를 걱정하기에는
아직 시기상조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부동산 정책을 만드는 사람들이나 도시 설계를 하는 사람들은
보다 더 멀리 내다보는 혜안을 가져야 되므로,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을 때를 대비해서 계획을 세우는 지혜를 가졌으면
합니다.

'무턱대고 낳다가는 거지꼴 못 면한다', '아들, 딸 구별 말고, 하나 낳아 잘 기르자'
지금으로서는 상상도 못할 일이지만,
정부가 산아 제한 정책을 펴던 시기도 있었습니다.
조선 시대에나 있을 법한 말이 아닙니다.
겨우 약 50년 전에 있었던 정책입니다.
그만큼 대한민국은 한강의 기적을 이루어냈고, 초고도 성장기를 거쳤으며,
눈부신 변화를 이루면서 짧은 시간에 선진국의 반열에 올라섰습니다.
기존 선진국들이 인구 감소에 대한 대비를 미리미리 할 수 있었던 거에 비하면..
대한민국은 굉장히 급박하게 준비를 해야 되는 상황인 것입니다.

이제는 '양보다는 질'을 고려할 시기이며,
지역 불균형 해소 및 지방 소멸에 대한 대책을 종합적으로 추진해야 됩니다.
1기, 2기, 3기... 신도시를 계속 공급하고 있고.. 인구도 감소한다는데..
왜 여전히 수도권 주택 공급은 부족할까요.
수평적 공급 확대 (신도시 건설)와 수직적 공급 확대 (재건축, 재개발 등)의
장단점을 면밀히 들여다보고, 한쪽으로 편향되던 기존 방식을 버리고
다양한 접근이 필요하겠습니다.
인구 충격, 부동산 대변혁
대도시의 탄생, 성장, 변화를 알아보면서,
앞으로 인구 감소 시대에 부동산 시장의 변화를 미리 예측해 봅니다.
부동산 정책의 방향도 제시하고 있으므로
투자자로서는 미리 거기에 가서 기다리는 지혜도 필요하지 않을까요.
#북유럽 #인구충격부동산대변혁 #김효선 #메이트북스 #주거트렌드 #지방소멸 #인구감소 #부동산트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