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거버넌스 트렌드 2025
천준범 지음 / 이스터에그 / 2025년 1월
평점 :
★이 리뷰는 출판사에서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k-기업 거버넌스의 원년
거버넌스 트렌드 2025
천준범 지음
이스터에그
거대한 물결, 버틸 것인가, 준비할 것인가?
2024년 G키워드 2025년 G 키워드 TOP 5
전 세계적으로 K-팝, K-컬처가 난리가 아니라지요
한국어를 사용하는 외국인들도 늘고
한국에 대한 대우가 예전 가는 사뭇 달라졌다는 느낌도 받는데요~
그런데 한국 주식은 아직 후진국에 머물고 있다는 생각이
항상 자리 잡고 있는 거 같습니다.
K-기업 거버넌스, K-스톡 문화를 바라며,
거버넌스 트렌드 2025 들여다보려 합니다.

이제껏 주식 투자를 해왔지만 바로 내 눈앞의 수익만 쫓기 급급했던 지라
코리안 디스카운트나 기업의 거버넌스에 대해
가볍게 인식하고 지냈던 거 같습니다
이제는 내가 발 담그는 내 발만 바라볼 게 아니라 담그는 호수 전체를
아울려 바라보게 생각해야 할 시점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게 되는 거버넌스 트렌드 2025 책이었습니다.

우선 키워드로 보는 2024년 G 캘린더라고 해서
작년이슈들을 한눈에 보기 쉽게 정리해 놨더라고요~

1월부터 제가 예전에 자주 유튜브로 보던 슈카 이야기라서
처음부터 흥미롭게 읽었습니다.
슈카의 발언으로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와 자본 시장 선진화 문제에 대한
대중적 논의의 장이 열린 순간이었다고 할 수 있겠죠?
난쟁이가 쏘아 올린 공이라고 해야 할까요?
그렇다고 슈카가 절대 난쟁이라고 하는 거 아님니돠~ㅋ
2024년은 대충 이런 일이 있었구나 정도로 보고
저는 미래형 인간이기에 앞으로 2025년을
더 집중해서 봤던 거 같습니다.
미래를 다 알 수는 없지만 어느 정도 예측을 해서
제가 할 수 있는 만큼은 위험헤지를 해야 하지 않을까?
라는 마음대로 2025년이라고 쓰여있는 대로 다 흡수하고
있는 요즘입니다.


2025년도 2024년 캘린더와 같이 지난 50년, 한국과 세계의 기업 거버넌스 흐름
이라고 잘 정리해 둔 표도 한눈에 보기 편했습니다.
IMF 구제 금융 사태 이후 순환출자구조에서는 계열회사를 빠르게 팔아
구조조정을 하기 어렵다는 점을 알게 된 정부는
1999년 공정거래법에 의해 지주회사가 허용해 주게 되는데
이런 지주회사가 1+1=1인 지주회사 디스카운트 현상을 만들어지게 합니다
이것 말고도 키워드 TOP 5 으로 선정해 앞으로 풀어나가야 하는 점들을
알려 주고 있습니다.
미국이나 일본도 2008년 프라임 사태 이후에 각성하고 법이 제정되거나 제도가
보완된 만큼 우리나라도 이제라도 조금씩 변화한다면 선진화가 이룰 수 있지
않을까요? 현실을 보면 한숨이 나오지만 우리들도 더욱 관심을 가지고
계속 요구하다 보면 바꾸는 세상이 오지 않을까라는 희망을 품어봅니다.
#거버넌스트렌드2025 #천준범 #이스터에그 #가치투자연구소 #K-기업
#K-기업거버넌스 #2025년G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