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배움의 발견 - 나의 특별한 가족, 교육, 그리고 자유의 이야기
타라 웨스트오버 지음, 김희정 옮김 / 열린책들 / 2020년 1월
평점 :
정말 경이로운 이야기이다. 이렇게나 드라마틱한 인생도 없을 것이다. 험난한 배움의 여정을 겪은 어느 소녀의 일대기이고 고군분투하는 성장기를 사실적으로 담아냈다.
평생 학교 문턱에 가보지도 못하던 소녀는 아이다호 시골의 모르몬 교도 가정에서 일곱 남매 중에 막내로 태어났다. 조부대에는 오히려 좀더 개방적이었고 상식선에서 자녀를 키웠지만, 아버지는 종말이 올 것이고 학교에 다니는 것은 정부의 음모에 휘말리는 것이라는 특이한 피해망상을 현실처럼 살면서 가족에게 강요했다. 소녀는 바깥 세상은 전혀 모르고 집에서 홈스쿨링도 하지 않아 무지했다. 심지어 출생신고도 하지 않아 주정부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아이였다.
이런 가정 환경에서 형제들은 굴레에서 벗어나고자 시도하기도 하였지만 보통 독한 마음이 아니면 지금까지 자신을 강제하고 세뇌하던 테두리에서 벗어나기란 쉽지 않았다. 다행히 소녀에게는 셋째 오빠라는, 집을 뛰쳐나가 대학교육을 받은 선구자가 있었고 소녀도 어느 순간 세상으로부터 고립된 집의 경계에서 벗어나 새로운 공기에서 호흡을 하게 된다.
이 낯선 세상은 너무도 달라 숱한 시행착오를 겪었고, 결국 소녀는 해내고 만다. 대입 검정고시같은 시험을 치르고 바로 브리검영 대학교를 거쳐 케임브리지 대학원에서 석사, 박사를 거치는 배움의 길. 이 길은, 남들은 가족의 지지를 받고 평범하게 학창시절을 보낸 뒤에 이룰 수도 있는 과정이었지만 소녀는 혹독한 대가를 치르고 성취한다. 그 대가는 아버지를 비롯해 어머니와 남매의 반을 잃는 것이었다.
30대초에 불과한 저자는 이런 커다란 역경이 있었기에 그 드라마틱한 삶을 두꺼운 책으로 펼쳐보일 수 있었다. 어린 시절 저자가 보냈던 아이다호의 시골 풍경이 펼쳐지는 가운데, 종말론에 쫓겨 온갖 위험한 일을 계획하고 준비하는 아버지의 고집스러움이 잘 드러나 있다. 무엇보다 놀라운 것은 폐철처리장에서 자녀들의 안위는 염두에 두지 않고 날카로운 쇠뭉치를 던진다든지, 안전 장치를 제대로 하지 않고 지붕 위 작업을 하든지 중장비를 운전하게 하는 아버지의 모습이었다. 그렇게 열심히 일해도 한 번 씩 큰 사고가 나면 경제적으로나 정신적으로나 막대한 손해일텐데 같은 행위를 반복하는 아버지. 사람이 다쳐도 병원에 데려가지 않고 집에서 치료하고 어머니의 약초로 치료하는 되풀이. 어머니는 가끔씩 정신이 제대로 돌아올 때도 있지만 아버지의 압제에 동조하며 그 그늘에서 수동적으로 산다. 이렇다보니 자녀들은 육체적, 정서적으로 학대당한 것이라 오롯한 성인으로 성장하지 못한 인물도 있다. 특히 션 오빠. 아버지의 특징을 그대로 물려받고 폭력성이 극대화된 인물.
저자가 가정을 떠나 배움의 과정으로 가는 것은 생존을 위한 몸부림이고 자기 정신의 소유권을 가져오는 처절한 싸움이었다. 몸에 밴 상처에서 벗어나기 힘들었지만 이겨내려는 과정이 인상 깊게 펼쳐진다.
책을 읽으면서 의아한 부분이, 막내딸이 오빠의 폭력성을 증거하자 바로 가족의 테두리 밖으로 내친 부모였다. 폭력의 현장에 있었고 충분히 인지할 만한 데도 딸을 거짓말하는 사악한 이로 내몬다. 곰곰이 생각해 보면 광신도라고 할만한 부모는 자기들만이 세상에서 가장 선하고 옳다고 여겼을텐데, 그런 폭력을 방관하는 스스로의 모습을 인정하기 싫었을 것이다. 애초에 아들을 막지 못한 것은 힘으로도 어쩌지 못해 쉬운 방편으로 그저 넘겨버렸고 또 아버지의 사업에 그 아들이 가장 힘을 많이 써주므로 묵인했을 수도 있다. 나중에 딸이 문제를 제기하자 자신들의 비겁한 모습을 감추려는 무의식적 본능으로 가장 쉬운 방법, 즉 약한 자를 사악한 자로 매도하지 않았을까.
책에서는 저자에 대한 가족내 입장이 갈라진다. 교육을 받은 자와 못 받은 자, 부모에게서 독립한 자와 경제적으로 의존하는 자. 자기 생각을 가지고 주체적으로 살려면 공부도 필요하고, 경제적인 독립도 수반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저자는 부모로부터 내쳐쳤는데, 이 책이 출판된 후 가족의 변호사로부터 책의 내용이 맞지 않다고 문제제기를 받은 내용이 위키피디아에 있었다. 아마도 저자는 이럴 것을 미리 짐작하고, 책 곳곳에 굳이 이런 이야기는 다른 형제들은 이렇게 기억하고 있다, 이 대화는 말한 그대로를 꼭 옮겨놓은 것은 아니지만 대략적인 의미는 이러했다고 굳이 사실관계를 명확히 하고자 하는 노력을 보여준 듯하다.
책을 읽는 내내 절절한 사연에 읽는 내내 슬프기도 하였고 저자를 응원했다. 저자는 글재주가 아주 좋았는데, 그 어두운 과거를 회상하면서도 위트있는 표현들이 백미였다. 따로 배운 적은 없지만 다른 인터뷰에 보니 New Yorker Fiction Podcast를 보았다고 한다.
아직은 나이가 젊은 저자가 앞으로 어떤 행보를 보여줄지 기대된다. 지금 케임브릿지에 있다고 하는데 좋은 저작을 많이 남기고 학자로서도 대성하였으면, 아니 무엇보다도 아직은 마음에 남아 있을지 모를 그 상처들을 훌훌 털고 행복하기를 희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