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이시 Stacy
지피 지음, 강희진 옮김 / 북레시피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서평입니다]

스테이시/ 지피 글ㆍ그림/ 북레시피


서늘한 그래픽 노블 [스테이시]

위험하고 잔혹하며 우리 문화 정서상 낯설고 껄끄러운 '성적 욕망'에 대해 실언을 한, 어느 한 사람이 '캔슬 컬쳐'로 어떻게 무너져 내리는지 예리하게 그려내고 있다. 한순간의 추락과 배신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고통을 자아 분열과 허상으로 만들어낸 존재들로 구체화되어 독자들에게 전달하고 있다. 그가 느낀 분노, 절망과 원망 그리고 복수심 등이 스테이시와 '악마'라 불리는 독특한 존재로 형상화되어 주인공 지아니의 내면이 표현된다. 







작품명이자 주인공 지아니의 그녀인 '스테이시'는 이야기 속에서 실존적 존재가 아니다. 오로지 지아니의 생각과 이야기 속에서만 존재하는 그녀로 인해 존경받는 유명한 시나리오 작가로서의 사회적 입지가 송두리째 날아갔다. 그리고 온 세상, 온 사람이 내리는 온갖 비난과 질타를 마치 벌거벗은 채로 맞닥뜨려야만 했다. 


현대사회의 도덕적 위선과 공격 심리를 고발하는, 이 날선 작품의 작가는 '지피'이다. 이탈리아의 일러스트레이터이자 만화 작가인 그의 펜 끝에서 시작된, 잔혹한 고발장은 친절하고 쉽지는 않다. 직관적인 내용이 아니라 여러 서체로 작성된 글과 거친 그림으로 사람들의 심리와 행동 속에 감춰진 진실 혹은 의미를 드러내고 있다. 





지아니와 또 다른 자아인 '악마'가 나누는 대화와 상황들, 스테이시를 향한 집착, 지아니의 동료들이 '대참사 발언' 직후나 활동을 재개한 이후 보인 위선적인 행동들을 지켜보는 내내 힘겨웠다.그리고 불편했다. 지아니를 향한 동료들의 거친 비난과 인플루언서들의 거리낌 없는 모욕 섞인 글이 넘쳐나는 세상이 마냥 가상에 머무르지 않는다는 걸 알기에 그럴 것이다. 지피 작가는 '캔슬 컬처'로 '취소 문화' 혹은 '제거 문화'라는 현상을 [스테이시] 작품으로 질문을 던지고 있다. 








공개 인터뷰에서 '한마디' 실수한 지아니와 돌아온 지아니 앞에서 틱톡 영상에 대한 소회와 잠재된 욕망을 드러낸 마우로 그리고 이를 카드로 쇼러너 자리를 꿰찬 랄라를 견주어봤을 때 지아니가 매장당할 정도였나. 물론 사적인 자리와 공적인 자리라는 물리적 공간의 차이가 있겠지만 말이다. 단 한마디로 존경을 표하던 이들이 돌아서 비난의 화살을 맹렬히 쏟아붓은 그 잔혹함에 결국 지아니가 철저히 부서진 게 아닐까. 






폭발~ 랄라에게 순응하는 지아니의 모습 때문에 지아니와 악마가 그리던 폭발의 결말이 더욱더 씁쓸하게 다가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