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옥에서 온 키다리 아저씨 ㅣ 자음과모음 청소년문학 123
정서휘 지음 / 자음과모음 / 2025년 3월
평점 :

지옥에서 온 키다리 아저씨/ 정서휘 지음/ 자음과모음
"소중한 건 거는 게 아니고 지키는 거야."
[지옥에서 온 키다리 아저씨]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사유하고 깨우쳐 나아가도록 곁에서 지켜봐 주는 이야기다.
'못나고 모나고 못된 인물에 마음이 간'다는 정서휘 작가는 조손가정에서 성장한 중학생 '안미운'을 주인공으로 어른과 아이 중간에 서 있는 청소년의 심리를 심층적으로 그려냈다. 미운은 진정한 관계 맺기를 갈망하는, 사랑을 갈구하는, 위태롭고 갈팡질팡하는 질풍노도의 시기를 보내고 있다. 학교생활을 중심으로 미운의 일상을 통해 청소년 시기 큰 비중을 차지하는 '친구', '우정'의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
[지옥에서 온 키다리 아저씨]는 진정한 친구를 가지고픈 미운의 좌충우돌 성장기를 다룬다. 음악 취향까지 속이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어긋나기만 하는 친구들과의 관계에 힘겨워하는 미운은 괜스레 할머니에게 역정을 낸다. 미운은 자신의 질문에 '나이' 핑계를 대며 기억이 나지 않는다, 미안하다만 반복하는 할머니가 안쓰러우면서도 지긋지긋하다. 살갑지는 않지만 미운이를 잘 챙겨주는 할머니와 갑자기 나타나 차에 치일 뻔한 자신을 구해준 키다리 아저씨가 '안미운'의 곁에 있어주는 존재이다.
"못된 일을 저지르는 건 우리가 시키는 게 아니라
인간들이 스스로 하는 거야.
악마가 악마인 이유는 대가 없이는
선을 행하지 않기 때문이야. "
정서휘 작가는 '악마'를 '키다리 아저씨'로 소환하여 특색 넘치는 이야기를 들려준다. 악마의 보편성을 비틀어서 인간 군상의 다양하고 현실적인 모습들을 강조하고 있다. 갖가지 이유로 소중한 것을 걸고 악마와 계약을 맺는 인간과 대가를 받고 소원을 들어주는 악마가 공존하는 세계에서 미운은 '악마'를 자신의 키다리 아저씨이자 친구로 여긴다. 진실이면서도 거짓인 이 관계의 이면이 밝혀지는 순간 슬픔이 벅차올랐다.
악마는 '친구'가 필요하다는 미운의 말에 '친구'가 무엇인지 물어본다.
"기쁠 땐 같이 기뻐하고, 슬플 땐 같이 슬퍼하고,
고민이 있으면 털어놓기도 하고.
또, 취미 생활도 같이하고, 맛있는 거 있으면
같이 먹고, 쇼핑도 같이 가고…"
미운의 답을 들은 악마의 말이 인상적이다. 친구인 그 사람 자체를 인정하고 소중히 여기는 게 아니라 클론 같은 존재를 바라는 건 아닐까. 서로의 감정을 그대로 투영할 수 있는 존재는 없다. 각자 받아들일 수 있는 범위 안에서 공감하고 응원하는 거다. '친구가 전부'인 청소년 시기라 친구에 대한 기대가 클 것이다. 하지만 진정한 친구란 무엇인지 [지옥에서 온 키다리 아저씨]는 진지한 질문을 던지고 있다.
"그런 게 친구야? 너무 부담되겠는데.
네가 느끼는 대로 똑같이 느낄 상대를 찾는 거 아니야?
상대는 네가 아닌데 어떻게 그게 가능해?"
사랑하는 소중한 존재를 위해 무엇이든, 목숨마저 걸 수 있는 게 '인간'이고, 자신의 행복을 위해 거짓 소문으로 남을 괴롭히고 힘들게 할 수 있는 것도 '인간'이다. 초딩, 돼지 등 겉모습과 행동으로 평가하고 다가서지 않았던 예전과 다르게 조별 과제를 계기로 그들과 어울리게 되면서 조금씩 달라지게 된다. 미운이가 그토록 원한 소중하고 진정한 관계에 관해서도 진지하게 고민하게 된다. 친구라고 믿었던 아이들이 오히려 자신이 감추고 싶어 하는 비밀로 힘들게 하고 조롱하는 일을 겪으면서 진정 중요한 게 무엇인지 깨닫게 된 것이다.

미운이는 할머니의 지극한 사랑과 악마 아저씨와 유나 덕분에 진짜 소중한 것과 그것을 지켜내는 방법을 깨우치고 있다. 사랑받지 못한 아이라는 자격지심에 사랑받기 위해 본모습이 아닌 남이 바라는 자신으로 살았던 미운은 그 힘겨움에 자신의 곁을 지켜주는 유일한 존재인 할머니에게 온갖 감정을 쏟아붓었다. 하지만 이제는 친구의 말을 거절해도 괜찮다는 걸 안다. 또 소중한 할머니와 즐거운 시간을 같이 보내고 기억하고자 한다.
미운이 등교할 때마다 외치는 할머니 말씀 "차 조심해."에 담긴 마음을 알고 나니, 온 마음이 먹먹해졌다. 소중한 것을 지키기 위해 반복되는 할머니의 하루가 이제는 외롭지 않을 것이다. 미운과 할머니의 아름다운 하루가 '일기장'에 차곡차곡 쌓여갔으면 좋겠다.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서평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