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토록 역사적인 도서관 - 우리 근현대사의 무대가 된 30개 도서관 이야기
백창민 지음 / 한겨레출판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친숙한 공간이자 고마운 공간인 '도서관'을 심도 있게 알 수 있는 [이토록 역사적인 도서관]이 출간되었다.

이토록 역사적인 도서관/ 백창민 지음/ 한겨레출판


우리의 역사 현장 속에 살아 숨 쉬고 있는, 살아 숨 쉬었던 '한국 도서관'에 관한 이야기를 여러 관점에서 정리하여 전달하고 있다. 저자는 '도서관 덕후'로 여러 채널을 통해 도서관 유산과 이야기를 찾아 전달하고 있는 '도서관 스토리텔러' 백창민이다. 


도서관을 애정하여 '도서관 여행'을 다니다 '우리 도서관'에 관한 궁금증이 생겨 질문을 쌓여 '도서관 이야기'를 수집했다. 그리고 그 이야기를 우리에게 다시 들려주고 있다. 우리 근현대사를 함께 한 도서관, 그리고 그 공간에서 역사를 일궈낸 사람들의 이야기는 여러 감정들을 느끼게 하였다. 평소 도서관을 가깝게 생각했지만, 이렇게 역사적인 관점에서 도서관을 살펴본 적은 없어 흥미로웠다. 저자가 들려주는 역사 속 도서관 이야기는 '책'과 '사람'과 '정치'의 유기적 관계를 잘 보여주고 있다. 오늘날 우리가 이용하는 도서관을 역사적인 가치를 기진 '공간'으로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정치적인 공간'으로서 도서관을 다룬 1부에서 정치 지배 권력에 맞선 시민들이 '투쟁의 무대'로 활용한 도서관 이야기 2부로 이어진다. 그리고 3부에서는 정치 세력이 세운 국가 도서관 이야기를, 4부에서는 도서관의 숨은 역사를 밀도 있게 다루고 있다. 

일상 속 공간으로 친숙하게 이용하던 도서관을 정치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살펴보는 여정은 신선하고도 인상적이었다. 도서관의 어제를 통해 도서관의 오늘을 더 나아가 미래를 그려나가는 시간이었다. 도서관의 여러 이야기들이 모여 '도서관의 의미와 가치'를 되새겨주었다. 


정치 지배 세력의 전유물이었던 도서관이 시민 혁명을 통해 공공도서관으로 재탄생한 역사적 사실을 되짚어볼 때, 도서관은 태생부터 '정치적'이다. 








철도 도서관, 종로도서관, 용산도서관 등 여러 도서관들이 정치권에 의해 세워지고 이용되었다. 하지만 오늘의 우리는 그 도서관의 역사에 무지하였다. [이토록 역사적인 도서관]을 통해 공공도서관의 어제를 알아가면서 씁쓸한 기분이 커져 갔다. 


부정선거의 주역인 이기붕 집터에 자리 잡은 4ㆍ19 혁명기념도서관, 부마민주항쟁의 무대가 된 부산과 마산의 대학 도서관, 광주의 학생독립운동과 민주항쟁이 새겨진 광주 시내의 도서관, 6월 항쟁 등 민주화 투쟁의 현장이자 민주화의 무대로 기능한 여러 대학교 도서관과 광장 등의 기록은 시민과 학생의 뜨거운 피와 숭고한 희생으로 일궈낸 민주주의의 역사를 되돌아보게 했다.


정치권력이 주도하여 설립하고 운영한 국가 도서관을 다룬 3부 이야기 중 '황실 도서관' 중명전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을사늑약을 체결한 '망국의 현장'이자, 헤이그 특사 파견으로 망국을 막으려는 '구국의 몸부림'이 모두 그곳에서 벌어졌다. '광명이 계속 이어져, 그치지 않는 전각' 중명전은 우리 역사에서 최악의 '암흑기'가 시작된 곳이다. 그 유일무이한 역설을 우리는 기억해야 할 것이다.










<사서도 모르는 도서관의 숨은 역사>는 백창민 저자의 '도서관'을 향한 애정이 얼마나 깊은지를 보여준다. 도서관에 관한 갖가지 이야기들은 도서관의 변천사를 톺아본다. '도서관', '사서', '칸막이 열람실'이 일제강점기의 잔재라는 사실부터 길상사의 길상도서관 아니 다라니다원까지 음지에 갇힌 도서관 이야기를 양지로 펼쳐놓았다. 도서관을 자주 이용하고, 여러 군데를 다니는데 오래전에 지어진 도서관들의 입지가 좋지 않아 불편했다. <도서관은 왜 '산'으로 갔을까> 꼭지에서 그 답을 얻었다. 


'도서관' 이야기로 가득 찬 이 책은 문화 시설로서 책을 읽고 모임·동아리 활동을 하고 강연을 듣고 공연을 감상하는 현대의 공공도서관 너머 존재했던 역사 속 도서관을 재현해냈다. 도서관의 '어제'는 도서관이 가고자 하는 방향, 목표가 현실과 충돌하고 갈등하며 사라지거나 변화하여 발전해나가는 여정을 담고 있다. 도서관의 '오늘'은 이를 기반으로 오늘날 우리 사회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숨 쉬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도서관의 숨은 역사는 우리를 도서관으로 이끈다.


한겨레 하니포터10기 자격으로 작성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