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행
정명섭 지음 / 텍스티(TXTY)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야기꾼 정명섭이 들려주는 '귀신이 된 암행어사' <암행>이 세상 밖으로 나왔다. 


암행/ 정명섭 글/ 텍스티(TXTY)



처음 보았을 때 표지가 시선을 잡아끌었다. '공을 들인 작품이구나!' 생각이 들었다. 다 읽고 나니 그림에 담긴 의미가 한눈에 들어오면서 압도되었다. 소설의 전율에 '암행'과 '낙죽장도'가 강조된 표지까지 더해지니 여운이 쉽사리 가시지 않았다. 



<암행>은 모든 것이 완벽했던 삶이 갑자기 안개가 덮치고 걷히면서 모든 것이 사라져버린 한 남자가 그 연유를 알고자 어둠의 길을 걸어가는 이야기다.






괴력난신이 팔도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는 조선, 병조판서의 외아들 '송현우'는 문과 장원급제를 하고 암행어사로 임명된다. 떠나기 전 서둘러 마음에 둔 벗 '이명천'의 누이와 혼례를 치르고 행복에 젖어 잠이 들었으나, 안개가 온 집안을 뒤덮고 사랑하는 이들이 처참하게 죽임을 당하고 만다. 감당하지 못할 슬픔과 분노에 이어 살인자라는 누명까지 쓰고 말았으니…… 






죽음을 뛰어넘는 분노의 힘을 조절하여 비극의 원인과 살인자를 찾아떠나는 '어사' 송현우의 앞에 어떤 어둠이 깔려 있을지, 그 길 끝에 기다리고 있는 진실은 과연 무엇일지… '복수'를 가슴에 품은 송현우는 어느 것 하나 뚜렷하지 않은 여정을 기꺼이 떠난다. 그 곁을 지키는 자 '진운'와 개 '어둠'은 조선 왕실을 보호하는 천격당의 당주 '소진주'가 붙여주었다. 



<암행>은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의 대결이다. 존재 자체도 그렇지만, 속내도 그렇다. 




삶과 죽음은 희미한 경계선으로 나눠질 뿐이다.




'복수'를 하고자 어둠의 길을 걷는 송현우와 똑같은 연유로 그를 쫓는 벗 이명천처럼 목적이 명확하게 보이는 자들이 있지만, 사람을 마치 바둑돌처럼 부리는 임금과 천격당 당주 소진주 그리고 좌의정 심환처럼 속내가 보이지 않는 자들이 서로 얽혀있다. 하지만 그들 모두 '무원'에 이르기를 원하고 있다. 아무것도 모른 채 안내자가 되어 '어둠의 길을 걷는 어사' 송현우는 길 위에서 날로 성장한다. 미스터리를 파헤쳐 나가며 진실에 한 걸음씩 다가가게 되면서 긴장이 고조된다. 








복수를 위해 분노를 조절하여 힘으로 사용하는 법을 터득해나가는 주인공 '송현우'가 스토리 안에서 보여주는 인간적인 매력은 강한 흡인력을 발휘한다. 그리고 비극의 주축인 '무원'과 '주박교'는 세상 돌아가는 이치에 관해 의미 있는 질문을 던지게 한다. 



"사람 목숨을 가지고 장난을 쳐?"

"정해진 운명 앞에 인간은 하찮은 존재일 뿐이야.

그걸 깨닫지 못하면 죽음만이 있을 뿐이지."





숨 가쁘게 펼쳐지는 전개에 호흡을 맞춰 달리다 보면 어느새 이야기의 끝에 다다른다. 타고난 이야기꾼 #정명섭 작가는 쉬이 결말을 손에 쥐여주지 않는다. 아쉬우면서도 아직 끝이 아닌 송현우의 길이 반가운 게 사실이다. 어둠을 걸으나 빛을 바라볼 줄 아는 송현우와 그 곁을 밝히는 진운과 어둠의 다음 행보가 기다려진다. 

함께 기다릴 이들을 모으기 위해 보는 사람마다 <암행>을 쥐여주고 싶다. 펼치는 순간 마지막 장까지 놓지 않을 거라 장담한다. 붉은 기운이 뿜어져 나오는 낙죽장도가 내는 서늘한 소리가 심장을 뛰게 만드는 이야기 <암행>을 추천한다. 





"근원이 없는 곳이라 

어디로 가야 할지는 그 누구도 알 수 없습니다. 

길을 걷다 보면 마주칠 겁니다."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