셋셋 2025
김혜수 외 지음 / 한겨레출판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셋셋 2025/ 한겨레출판

출간 워크숍 2기 응모작 여섯 편을 묶은 <셋셋 2025>

'셋셋 시리즈'의 의미가 인상적이다. 아무도 이름 붙이지 않은 별자리에 최초의 이름을 붙이기 위해 작가, 출판사, 독자 '셋'의 만남을 '셋(set)'한다는 뜻을 담고 있다. 매해 한국문학의 큰 샛별이 될 내일의 문학들이 한 걸음 빠르게 찾아온다. 



우리에게 닿은 내일의 문학은 

김혜수 - 여름방학

이서희 - 지영

김현민 - 동물원을 탈출한 고양이

이지연 - 아이리시커피

양현모 - 호날두의 눈물

전은서 - 경유지

여섯 편의 이야기다. 



작품들의 주제는 '구원'이다. 다른 소설 속 다른 인물들이 들려주는 구원에 관한 이야기는 다르면서도 비슷하고, 비슷하면서도 달랐다. 그렇게 다른 빛과 다른 온도로 다가온 여섯 편의 새로운 소설들은 어느새 '우리'의 이야기로 다듬어진다. 





자신조차 모르는 자신의 마음을 명명하여 명확하게 해줄 친구로, 하느님의 목소리로, 들어주고 안아주는 타인으로, 어린 시절 추억으로, 상실로 고통받는 이들이 애도하는 시간으로, 현역으로 뛰는 왕년의 스타 축구 선수에 대한 격려와 응원으로, 헤어진 전 남자친구의 부재가 상기시켜준 사랑의 기억으로 '구원'은 그려진다. 



어쩌면 결코 받을 수 없을 것일지도 모른다는 두려움과 허망함을 입에 담지만 그럼에도 살아가기를 선택한 이들 안에서 또 다른 형태의 '구원'을 발견한다. 

버티고 살아남는 것… 그렇게 흘러가는 시간의 연장선 위에서 힘을 내게 하고, 웃게 하는 순간들이 분명히 존재할 것이다. 소미 어머니와 소미를 찾는 희수처럼, 기꺼이 엄마 품에 안긴 아이로 남아 지금을 견뎌보기로 한 해연처럼, 서로가 잠시 기대어 쉴 수 있는 작은 땅이었던 상민을 그냥 그대로 기억하기로 한 예은처럼. 




여섯 편의 소설은 반짝반짝 빛나는 오늘은 아니지만, 힘을 내어 마음을 들여 살아가기로 한 인물들을 담아내고 있다. 작은 틈새로 빛이 들어오기를 바라고 있다. 미지근한 바람이 그들의 이마에 맺힌 땀을 식혀줄 거라 믿는다. 다분히 현실적이고 적당히 소설적이라 셋셋하는 이야기들이다. 


한겨레 하니포터10기 자격으로 작성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