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속삭임의 바다 ㅣ 다산책방 청소년문학 23
팀 보울러 지음, 서민아 옮김 / 다산책방 / 2024년 9월
평점 :
속삭임의 바다/ 팀 보울러 장편소설/ 다산책방
팀 보울러 작가에게 '바다'는 강렬한 존재이다. <리버보이>, <미짓>에 이어 위험도 불사르는 모험과 도전을 불러일으키는, 바다(물)의 넘치는 생명력을 보여주는 <속삭임의 바다>이다.
모라 섬에 살고 있는 열다섯 살 소녀 헤티.
헤티는 다른 섬마을 주민들이 보지 못하는 것을 보는 특별한 능력을 지녔다. 주민들 대부분은 이 능력에 대해 공감 대신 비웃음, 걱정을 보인다. 폭풍이 심했던 어느 날, 배 '모라의 자랑'은 부서지고 낯선 노파가 해변에 떠내려왔다. 주민들 중 가장 나이가 많은 퍼 영감은 노파를 '악'이라 칭하는데……
바다유리 속 형상을 보고, 바다에서 들려오는 속삭임을 느끼는 헤티는 노파를 향한 주민들의 태도를 이해할 수 없다. 갑자기 나타난 노파에게 운명을 느끼고 주저 없이 '친구'라 칭한 아이는 주민들의 분노와 증오, 두려움이 끔찍하기만 하다. 팀 보울러 작가는 헤티와 마을 사람들의 대립을 극한으로 몰아붙인다. 한치의 물러섬 없이 팽팽한 대립은 긴장감을 이끌어낸다.
헤티가 힘겨워할 때 한결같이 그랜디 할머니와 그녀의 친구들이 곁을 지켜주었다. 섬은 사람들을 용감하게 만들기도 하고, 겁이 많게 만들기도 한다. 고립된 상태가 두려움을 만들어 낸다는 것이다.
그래도 넌 퍼 노인에게 심한 거야.
퍼 노인이 살아온 세월이 무척 길다는 거 알지?
그만큼 퍼 노인은 사람들이 바다에 빠져 죽는 걸
숱하게 보아왔단다.
많은 사람들이 다른 이들을 구하느라
배에서 지체하다가
그만 영영 돌아오지 못하는 걸
수도 없이 목격했어. ……
그런 엄청난 비극을 겪고도 매정해지지 않거나
운명론자가 되지 않기란 어려운 일이지.
이 할머니가 네가 강해지길 바라는 것도 그래서란다.
우리는 우리의 정신에 의지해. ……
결국 견디는 게 가장 중요하니까.
인내하지 않으면 우리는 살아남을 수가 없어.
섬에서 특히 모라 섬처럼 주변에 다른 섬이나 육지가 없는 동떨어진 공간에서 살아남기 위해서 사람들이 얼마나 잔인해질 수 있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두려움에 빠져 정상적인 판단을 내리지 못한 채 감정적으로 대응하는 퍼 노인과 그를 따르는 이들은 노파뿐 아니라 그를 돕고자 하는 헤티를 향해 배타적이고 위협적이며 비열한 행동을 서슴지 않는다. 그들이 '악'이라 칭한 노파는 단순히 폭풍에 휘말려 모라 섬에 떠밀려 온 가여운 영혼일 뿐인데 말이다. 이미 정상적으로 판단할 수 없는 상황에서 진실로 굳어진 믿음은 같은 섬사람인 열다섯 살 소녀 헤티까지 분노와 증오의 대상으로 만들어버렸다.
악은 무지와 냉소와 어리석은 가슴에서 오는 거야.
바다의 속삭임에 귀 기울이는 소녀. 헤티는 자신의 믿음대로 용기 있게 앞으로 나아간다. 자신의 고향인 모라 섬을 뒤로 한 채 더 넓은 세상을 향해 앞으로 나아가는 헤티를 보면서 가슴이 뜨거워졌다. 자신을 이루는 모든 것을 내려놓고 노파를 집으로 데려다주겠다는 일념 하나로 거침없이 바다로 뛰어드는 뜨거운 열정과 사랑을 지닌 소녀라니~
두려움과 상실, 편견을 뒤로 한 채 사랑과 희망을 안고 용기 있게 속삭임의 바다를 항해하여 마침내 기필코 기어이 노파를 떠나왔던 집으로 모시고 왔다. 그리고 노파의 가족이 들려주는 노파에 관한 이야기를 들었다. 왜 헤티가 노파를 보고 운명이라, 친구라 느꼈는지 알 수 있는 가슴 저릿한 이야기였다. 사랑과 희망 그리고 용기에 관한 기나긴 이야기 끝에 새로운 미래를 설계하는 헤티를 마주하였다.
<속삭임의 바다>는 용기 있는 헤티의 모험을 통해 삶의 소중한 가치를 강렬하게 전해주고 있다.
두려움에 침잠하지 않고 진정한 용기로 사랑과 희망의 메시지를 신비롭게 그리는 이 이야기가 고립되고 퍽퍽한 현대인의 삶을 다정하게 품어줄 수 있으리라. 소설 속에서는 헤티와 노파의 눈에만 바다유리 속 형상이 보였지만, 현실에서는 다를 수 있기를 바라게 된다. 믿고 꿈꾸고 희망한다면 누구나 볼 수 있기를.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서평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