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알레한드라 김의 가면 증후군과 솔직한 고백 ㅣ 서사원 영미 소설 1
패트리샤 박 지음, 신혜연 옮김 / 서사원 / 2024년 9월
평점 :
알레한드라 김의 가면 증후군과 솔직한 고백/ 패트리샤 박 저/ 서사원
"우리는 아빠의 '삶'을 기념하기로 했다."
'알레한드라 김'
여기 자신에게 어울리는 '이름'을 가지고 싶은 한 소녀가 있다. 이는 단순히 '이름'이 아니라 한 인간으로서의 자신을 찾아가는 과정이다. [알레한드라 김의 가면 증후군과 솔직한 고백]은 저자 '패트리샤 박'이 학교와 직장 그리고 삶에서 가면을 쓰고 살아가는 느낌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한 자신의 경험에서 영감을 얻어 집필한 소설이다.
"난 어디에 있어야 해요?"
자신은 '미국에서 태어난 미국인'이라고 여기지만, 타인의 눈에는 '아시아계' 미국인으로 그들과는 다르다 선을 긋는 분류에 표류하는 듯하다. 아메리칸드림을 꿈꾸며 고국을 떠나온 이민자의 후손. 한국에서 아르헨티나로, 다시 미국으로 삶의 무대를 이동한 알레한드라네. 어느 문화권에도 속하지 않은 것처럼 느끼는 알레한드라는 '가면'을 쓰고 생활한다.
알레한드라는 부유한 고등학교에 장학금을 받으며 다니고 있다. 가난한 동네 퀸스에 살고 있는 그녀는 뉴욕을 떠나 와이더 대학에 진학해 이제와는 전혀 다른 새로운 생활을 꿈꾼다. 하지만 자신을 응원해 주던 아빠가 갑자기 세상을 떠나면서 계획이 어긋나기 시작하는데……
"꿈을 크게 가지렴, 알레하-야.
이 나라에서는 네가 원하는 건 뭐든 될 수 있어."
어느 날 '창의적 글쓰기 수업' 초빙 강사인 소설가 조너선 브룩스 제임스에게 인종차별 발언을 듣게 되고, 이를 뒤늦게 알게 된 절친 로럴은 해고 청원 서명을 받기 시작한다.
"넌 이 학교에서 손님 같은 존재야.
어떤 문제도 일으키지 말아라."
아빠와는 달리 자신을 위해 목소리를 내주는 로럴이 고마우면서도 불편하다. 알레한드라는 자신의 의사를 묻지 않고, 커져가는 상황이 부담스럽기만 하다.
한국 - 아르헨티나 계 미국인, 사고로 인한 아빠의 죽음, 와이더 대학 진학을 반대하는 엄마, 대학 진학을 위해 자신을 이용한 절친. 알레한드라 김은 자신을 둘러싼 지금의 상황이 지긋지긋하다. 뉴욕을 벗어나 와이더 대학에서 새롭게 시작하고만 싶다. 답답하기만 한 고등학교 생활에서 '문화 연구 수업' 담당 강사 헌터 대학 심리학 교수 파얄 채터지 박사와의 만남은 숨통을 트여주는 창구가 되어준다.
채터지 박사가 진행하는 수업을 듣고, '미국 이민 1세대의 증언' 프로젝트 인턴을 하면서 자신을 억누르고 힘들게 하는 현 상황을 제대로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알레한드라는 갑작스러운 아빠의 죽음에 대해 분노와 죄책감을 느끼고 있었다. 하지만 '인종적 우울증' 심리에 대한 글과 이미 1세대 인터뷰를 읽으면서 아빠를 떠올리게 된다. 세 개의 문화를 항상 조율하며 살아가야 했던 아빠를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애도하고 치유하고자 하는 마음을 품게 된다.
[알레한드라 김의 가면 증후군과 솔직한 고백] 소설은 이민으로 새로운 나라에 정착해 살아가는 소수자 집단이 겪는 현실을 담아내고 있다. '얼굴, 인종, 민족 그 뒤에 자리하고 있는 한 인간'으로 인정받고 싶은 알레한드라 김의 간절함이 잘 전달된다. 고정관념, 선입견을 벗어나는 일은 어려운 일이다. 그러기에 특히나 이민자와 그 후손들이 겪는 차별은 큰 생채기를 만들어 아프게 할 것이다. 상처받지 않기 위해 자신의 본 모습을 숨기고 가면을 쓰고 생활하는 수많은 알레한드라들을 생각하니 마음이 먹먹해졌다.
당신에게 '집'이란 무엇인가?
알레한드라 김은 에세이를 쓰거나 토론 수업을 통해 자신에 대해 질문하고 탐구하는 시간을 가진다. 이를 통해 진짜 자신을 찾아가는 과정이 흥미로웠다. 주제를 잘 전달할 수 있는 소재를 찾기 위해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거나 꿈을 향한 도전을 시도하였다.
대학 진학을 앞둔 고등학교 마지막 학기, 대학 진학을 하지 않고 해병대에 들어가는 빌리를 향한 우려, 학비에 대한 부담감, 자녀의 미래를 독단적으로 결정하는 부모 등 미래에 대한 고민은 우리나라와 별반 다를 바 없었다. 알레한드라와 친구들은 이 고비를 넘기며 자신을 채워나갔다.
패트리샤 박 작가는 소수자인 알레한드라가 견뎌야 하는 불공평한 일과 함께 로럴이 백인이라는 이유만으로 나쁜 사람이라고 느끼는 기분도 조명하고 있다. 통찰력 있는 시선으로 인종 차별의 앞면과 뒷면을 독자들에게 비춰주고 있다. 균형 잡힌 시각으로 문제 상황을 제시하고 있어서 더 깊이 공감할 수 있다.
이미 공간에 속해있는데 끊임없이 자신을 증명해야 하는 상황은 당혹을 넘어 무력하고 좌절감을 안겨줄 것이다. 저자는 심리학 교수의 수업과 프로젝트를 통해 전문적으로 접근하고 있다. 문제를 인식하고 관련 정보들을 수집하여 어떤 일정한 패턴이 있는지를 찾아내는 질적 연구 방법이 인상적이다.
갑작스러운 아빠의 죽음, 제대로 애도하지 못한 상실은 알레한드라를 뒤흔들었다. 훌쩍 커서 돌아온 친구 빌리는 혼란스러운 감정을 불러일으키고, 엄마는 일에 쫓겨 대화를 거부하고, 친한 친구 로럴은 정의를 부르짖으며 자신을 불편하게 만든다.
가면을 벗어던지고 진짜 자신으로 당당하게 살아가고픈 알레한드라 김. 그녀가 들려주는 솔직한 고백은 고정관념의 위협과 격려를 인지하게 한다. 나도 모르게. 너도 모르게 한 생각들, 그 고정관념의 압력에서 벗어나 자신의 본모습으로 살아가는 알레한드라 김들이 많아지길 바란다.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서평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