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어떻게 쓸 것인가 - 기자·PD·아나운서가 되기 위한 글쓰기의 모든 것
김창석 지음 / 한겨레출판 / 202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무엇을{…} 어떻게(?) [쓸] 것인가

무엇을{…} 어떻게(?) [쓸] 것인가/ 김창석 지음/ 한겨레출판


글쓰기에 관한 모든 것들을 집대성하다.

저널리즘 글쓰기를 효과적으로 배울 수 있는 책이다. 김창석 저자는 시종일관 명확하고 깔끔한 어조로 글쓰기의 세계를 이끈다. 군더더기 없는 설명으로 좋은 글쓰기의 실례를 보여주고 있다.

'각자의 방법과 각자의 내공과 각자의 스타일을 찾아 자기만의 글을 쓸' 날이 올 것이라는 희망을, 믿음을 심어준다. 그날을 위해 '고통과 번민으로 점철될 그 여정을 즐겼으면 좋겠다'라는 당부와 함께.

머리글에서 언급한 내용을 머리에 담고 읽기 시작하면 좋을 듯싶다. '언론 고시'가 아닌 언론사 '입사 시험'으로 부르면 될 일이라는 저자는 지식 노동자의 기본적인 자세를 잘 제시하고 있다. 권력자가 아니라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판단 ·선별 ·재가공하여 대중에게 제공해야 한다. 평생 써먹을 지적 능력을 기르는 공부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1장. 저널리즘 글쓰기의 기초

2장. 논술, 설득하는 글쓰기

3장. 작문, 뇌를 깨우는 글쓰기

총 3장으로 이루어진 이 책은 역대 한터 온라인 백일장 당선작을 첨부하여 글쓰기 방법론에 적절한 사례까지 더한 효과적인 활용서이다.




기자, PD, 아나운서가 되기 위한 글쓰기의 방향과 방법을 전하는 책인 만큼 한겨레신문사 취재 기자로 일한 저자의 경험이 잘 녹아있다. 간결하고 단순한 문장으로 명확하게 제시한 글쓰기 공부가 인상적이다.

선입견, 편견 등 잘못되거나 불필요한 글쓰기 습관을 꼭 집어서 알려준다.

논설은 설득을 위한 글쓰기로, 기본적인 표현력ㆍ구성력과 논증법과 논제 정리 요소를 설명하고 있다. 흔히들 취하는 3단ㆍ4단 구성은 잊고, 글 전체의 통일성과 완결성에 집중하기를 권한다. 고심하는 첫 문장과 마지막 문단에 관한 설명이 특히 눈에 들어온다.







설득력을 높이려면 무엇보다 논증이 중요하다. 열한 가지가 넘는 원칙을 적절한 예시와 함께 살펴볼 수 있다. 평가 기준을 파악하면 바람직한 논술을 쓰는 데 더 용이하다. 김창석 저자는 논제의 정확한 이해와 함께 평가 기준을 강조하고 있다. 긴 세월 아카데미 강좌를 통해 이미 검증된 핵심 내용들을 알기 쉬운 문체로 정리해 주니 고개가 절로 끄떡여진다. 읽기 쉽고 이해하기는 쉽지만, 좋은 글쓰기의 길은 멀고도 험하다. 좋은 글 한편이 탄생하기까지의 인고를 알기에 새삼 감복하며 책장을 넘기게 된다.




언론사가 작문 전형을 보는 이유는 '창의력'을 확인하려는 것이다. 언론은 인간 현상을 다루기 때문에 인간에 대해 이해가 폭넓고 깊어야 좋은 언론인이 될 수 있다. 글은 그 사람을 담고 있다. 그렇기에 작문을 통해 생각의 깊이와 폭을, 창의력을 알아보고자 함이다.

좋은 작문은 통찰력과 감동력 그리고 주목력을 갖추고 있다고 한다. 다양한 형식과 장르를 허용하는 작문을 준비해야 하는 예비 언론인들을 위한 현실적인 조언들을 많이 담았다.




언론사 입사 시험을 대비하기 위한 글쓰기의 모든 것을 담고 있는

무엇을 {…} 어떻게 (?) [쓸] 것인가

예비 언론인뿐만 아니라 글을 쓰는 행위로 자신을 드러내는 '사람' 누구에게나 실용적인 도서이다. 역대 한터 온라인 백일장 당선작을 접하는 일 또한 색다른 경험이었다.





한겨레 하니포터9기 자격으로 작성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