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의 공간에서 너를 그린다 - 세월호참사 10년, 약속의 자리를 지킨 피해자와 연대자 이야기
세월호참사 10주기 위원회 기획, 박내현 외 지음 / 한겨레출판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억의 공간에서 너를 그린다/세월호참사 10주기 위원회 기획/한겨레출판




- 세월호참사 10년, 

약속의 자리를 지킨 피해자와 연대자 이야기


2014년 4월 16일, 절대로 잊을 수 없는 그날 이후로 10년이 흘렀다. 감각하지 못한 채 맞이하는 나는 정체성이 흔들린다. 참사 자체로는 삼자로, 지역사회 주민으로서는 이웃으로, 부모로서는 당사자로 마음이 요동친다. 

오며 가며 마주하는 이들, 웃으며 인사하는 지인들, 그 안에 세월호참사의 가족들과 연대자들이 있다. 참사 후 피지 못한 영혼을 애도하는 장례식에 가고, 분향소를 찾고, 북토크를 아이들과 참여하면서 보낸 몇 년의 시간 이후 세월호참사는 4월에 찾아오는 노란 기억 조각이었다. 그런데 어느덧 '10주기'라니 말문이 턱 막혔다. 그날의 공포와 고통과 무기력과 분노가 밀물처럼 밀려왔다. 그리고 밑바닥에 가라앉았던 미안함이 나를 엄습했다. 



 <기억의 공간에서 너를 그린다> 

세월호참사 10주기 위원회에서 기획한 이 책에는 전국에 있는 기억장소와 기억공간을 지키는 이들과 세월호참사 피해자들의 목소리가 담겨있다. 

누구도 예측할 수 없었던 긴 시간, 힘들지만 묵묵히 걸어간 그 길을 기록하고 아직 끝나지 않은 목적지를 향해 나아갈 힘과 의지, 마음을 모으는 글이다. 


'생명, 안전, 약속'

세월호참사 이후로 달라진 게 무엇이냐고 묻는다면 '안전사회'에 대한 우리의 소망이 아닐까. 큰 재난 앞에서 보이지 않았던 국가, 보호받지 못했던 국민 그리고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이 아닌 배·보상으로 뒷수습을 하려는 정부. 모든 상황을 똑똑히 본 우리는 안전사회에 대한 의식이 높아질 수밖에 없었다. 


세월호참사 이후 정확한 진상을 파악하기 위해 세 번의 국가 조사 기구가 만들어졌다. 하지만 아쉽게도 명확한 결론에는 이르지 못했다. 그렇기 때문에 여전히 피해자와 연대자의 활동은 계속되고 있다. 그리고 세월호참사 이후에도 재난은 반복되고 있기에 비탄함을 품고 더 큰 책임감으로 연대하여 사회를 변화시키고자 힘쓰고 있다.






20편의 글을 통해 세월호참사의 그날과 그 이후의 기억을 만날 수 있었다. 그들의 10년을 담은 기억공간에 발을 내디뎌 진솔한 이야기에 귀 기울여 듣다 보니 그들이 바라는 간절한 소망이 간단하면서도 단순하다는 걸 새삼 깨닫는다. 왜 이런 일이 벌어졌는지? 누구의 책임인지?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통해 또다시 이런 인재가 반복되지 않기를 바랄 뿐이다. 먼저 고통을 겪은 이로서 다시는 그 누구도 이런 허망하고 어처구니없는 시스템의 부재로 절절한 아픔을 경험하지 않아야 한다는 믿음이었다.  






유가족들은 노래를 부르고, 봉사를 베풀고, 연극을 하고, 목공을 하면서 세월호참사의 기억을 이어나간다. 자식을, 형제자매를, 가족을 잃은 고통을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치유받고 위로를 주고받으며 더 나은 사회, 더 안전한 사회를 꿈꾸는 그들은 반짝거렸다.


물론 순탄치 않은 현실적인 문제들은 산재해 있다. 10년이 흘렀으니 이제 그만하자는 분위기나 줄어든 세월호 관련 예산, 지켜지지 않은 약속들.

4ㆍ16생명안전공원 착공은 계속 미뤄지고, 4ㆍ16목공소, 단원고 생존 학생을 위한 공간 '쉼표' 등 세월호 관련 단체들에 대한 정부 지원이 사라지고 있다고 한다. 



"이제 그만 잊으라고 말하는,

또 세월호와 관련된 예산이 모두 사라지는 이 현실은 

우리 아이들에게 박수쳐 줄 준비가 되어 있나요?

이런 상태라면 세월호는 20년 후에도, 30년 후에도

진행 중일 거예요."








'단원고 4ㆍ16 기억교실'을 국가지정기록물 14호로 지정받고 이제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올리려는 작업이 진행 중이다. 기억공간을 만들고 지키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은 기록의 힘을 알기 때문이다. 

'기록은 마음을 모으는 일'이라는 4ㆍ16기억 저장소 소장 이지성 님의 말처럼 기록이 기억으로 이어져 잊지 않기를, 서로가 서로의 이웃이 되어주기를 바라는 마음이 따스하게 스며드는 책이다. 


더 안전한 사회를 위해 잊지 않고 기억하겠습니다.



한겨레 하니포터8기 자격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