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가장 밝은 검정으로 - 타투로 새긴 삶의 빛과 그림자
류한경 지음 / 한겨레출판 / 2023년 6월
평점 :
평소 '타투'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보지 않았다. 어린 시절에는 '타투'보다는 '문신'으로 불량한 이들이 하는 일탈 행위라고 생각했었다. 주변에서 타투를 한 이들을 접하지 않기에 특별한 감정은 생기지 않았다.
그러다가 구병모 작가님의 심장에 수놓은 이야기를 접하면서 문화권에 따라 달라지는 '타투'에 관한 인식을 새롭게 바라보는 계기가 되었다.
가장 밝은 검정으로/ 류한경 사진집/ 한겨레출판
이번 하니포터6기 서평도서 중 하나로 《가장 밝은 검정으로》을 수령하였다. 류한경 작가의 사진집으로 10명 인터뷰이의 사진과 글이 실려있다. 그들이 생각하는 '타투'의 의미와 삶을 담백 담담하면서도 따스한 응원의 시선으로 담아내고 있다.
다양한 직업군에 속한 이들의 몸에 새겨진 타투.
비슷한 듯하면서도 다르고, 다른 듯하면서도 비슷하다. 삶과 죽음, 의미를 새기고 의미를 지우고, 예뻐 보여서 혹은 슬프고 고통스러워서, 새겨야 해서 혹은 그냥 새겼다는 이들의 글을 읽으면서 '타투'에게 힘과 의미와 생명력을 주는 건 결국 우리라는 생각을 했다. 그렇게 무서워하거나 두려워할 필요가 없겠다. 과도한 타투는 부담스럽지만, 사진집에서 들려주는 대부분 타투는 그 스토리만큼 매력적이었다. 몸에 본인 스스로 새긴 귀엽고 사랑스러운 메시지가 자신을 자신답게 존재할 수 있게 한다는, 자신을 처음으로 돌아가게 한다는 그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게 된다.
배우 유이든 - 나답게 존재할 수 있는 울타리에서
타투의 매력이자 장애, 거리낌은 '영원성'에 있다고 생각한다. 한번 새기면 지울 수 없다는 전제가(불가능한 건 아니지만) 타투를 지금의 위치에 머무르게 하지 않았을까. 타투이스트 박카로의 <예쁜 죄를 새기는 의식>이라는 말이 그런 맥락에서 연결되었다.
"인간이 스스로 자기 몸에 상해를 입히려면 각오가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뭔가를 절대 잊지 않으려는 각오, 타투를 새기려는 열망은,
내가 어떤 사람인지 알아봐달라는 간절함과 맞닿아 있다."
타투이스트 박카로 p.230
그는 타투를 각오가 필요한 일이면서도 성형을 하거나 살을 빼거나 옷 스타일을 바꾸는 행위와 별반 다르지 않다고 말한다. 아주 자연스러운 인간의 일면으로, 좋아하는 이미지로 몸을 멋지게 꾸미면 치유가 될 수 있단다. 실제 그의 몸은 도화지처럼 다양한 타투가 새겨져 있다. 그의 말에 따른다면 얼마나 많은 각오가 필요했으며, 얼마나 자유로워졌으며, 얼마나 기뻤을까.
그런 그도 타투이스트로서 마음의 부담이 크다. 사회의 부정적인 시선과 잣대로 인해 죄를 짓는 기분이 들기도 한다는 그의 고백은 타투 시술에 대한 사회의 변화를 바라는 간절한 호소로 다가왔다.
타투에 대한 여러 목소리를 들을 수 있어서 신선한 경험이었다. 자신을 드러내고자, 기억하고자 새기는 행위라 생각했는데 좀 더 다채로운 이야기들을 들을 수 있었다.
시인 김선오 - 의미가 없기에 가뿐한
몸과의 불화로 힘겨워했던 시인 김선오는 오히려 타투에 의미를 두지 않는다. 의미가 없기에 가뿐한 타투는 불가피하게 변하는 '의미에서 탈출하기 위한 수단'에 가깝다고 한다.
꽤 오랜 시간을 혼자였던 시인 계미현은 살기 위해 혼자서 살아가는 연습을 했다.
"그건 사랑하기를 바라지 않고, 사랑받기를 바라지 않는 연습이었다.
바라려고 하면 나를 죽이고, 그렇게 다시 태어나면,
새롭게 아무것도 바라지 않을 수 있었다."
시인 계미현 p.149
그는 갑자기 꿀벌처럼 강하고 아름다운 동물이 되고 싶다는 열망에 바라는 연습을 시작했다. 그에게 타투는 바라는 연습의 일환인 것 같다고 한다. 벌 타투가 몸에 새겨져 있으니 든든하다는 그의 말에 빙긋 미소 짓게 된다.
사진가 황예지는 대체로 괴로울 때 타투를 새겼다. 통증으로 내 몸에 노크하듯 타투를 해 온 그는 '깨어있음, 살아있음'을 느낀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몸에 대해 양가적인 감정을 느낀다. 몸에 갇혀 있는 게 싫으면서도 또 어떤 지점에서는 몸에 종종 감탄한다. 이런 몸에 대한 감정을 이겨낼 수단으로 타투가 좋다고 말하면서도 타투의 영원함에 진 기분을 토로하기도 한다.
상담심리사 임부영은 상담사가 되면서 타투한 걸 가끔 후회한다는 마음을 내비친다. 어느 날 타투가 사라진다면 후련할 것 같다면서도 후회하고 싶지 않다는 마음도 강하다고 말한다. 과거의 나, 사회의 시선에 순응하지 않고 억압에서 벗어나고 싶었던 나를 이해하고자 하는 듯하다.
작가 홍승은 - 나를 돌보는 불꽃
그 외에도 타투와 타투에 관한 생각으로 자신의 삶과 그림자를 가감 없이 진솔하게 풀어내는 이들의 글을 만날 수 있다. 자신의 몸에 타투를 새기는 행위는 그들에게 고유한 자신을 받아들이는 일이었다. 그리고 자신의 의지와 권리를 표현하는 것이었다. 그들은 타투로 자신을 되찾고 살아있음을 명확하게 느꼈다.
한겨레 하니포터6기 자격으로 작성한 서평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