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일은 없고요?
이주란 지음 / 한겨레출판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별일은 없고요? / 이주란 소설집/ 한겨레출판




혼자서 살아갈 수 없는 우리는 주변과 관계를 맺으며 살아간다. 가족, 연인, 친구, 동료뿐만 아니라 가상공간의 만난 적 없는 이들과도 제각기 다른 농도와 색채로 인연을 쌓는다. 그냥 같은 시간대에 같은 공간에서 생활하여 자연스레 교류하는 이가 있는가 하면 특별히 마음이 가는 이도 있다.

 

 

 


<별일은 없고요?> 소설집은 우리네 인생에서 스쳐가는 만남과 인연을 다정하게, 소중하게 그리고 담담하게 그려내고 있다. 관계에서 상처를 입거나 지쳐서 떠나고픈 이와 별다른 말없이 그를 품어주는 이가 나오는 이야기들이 다정한 온기가 되어 내 손을 꼬옥 잡아주는 느낌이다. 사람이 사람을 품어주는 건 어찌 보면 힘들지만 또 어찌 보면 쉬운 일일지도 모른다. 이 소설집 속 다양한 인연들이 늘여뜨려 얽히고설켜 짜낸 직물처럼 한 줄이 어려운 시기도 있을 테고 한 작품이 뚝딱 완성되는 찰나도 있을 것이다.

 


<별일은 없고요?>는 내밀한 감정 표현이 마음에 뭉글한 위로를 건네는 소설집이다. 8편의 짧은 이야기들이 전하는 단단한 메시지가 묵직한 감동으로 다가온다.

'은영과 은영의 이야기'가 가장 인상적이었다. 나와 비슷한 느낌을 지닌 이들이라 더 깊이 공감하며 읽고 받아들일 수 있었다.

 


 

"우리는 가졌던 것을 잃었다기보다는 원래 없는 사람들이었고

삶 속에서 어떤 이야깃거리를 발견하는 것조차 버거웠던 듯하다.

그래서 몇 마디 한다고 하는 게 늘 싱겁기만 한 그런 사람들이었고,

은영 씨의 그런 점이 나는 좋았다."

- 사람들은 - 

 

 

나도 그런 싱거운 점이, 무던한 점이 그리고 서로를 그리워하는 점이 좋았다.

 




 

 

8편의 짧은 이야기들은 각 인물들 간의 내막을 상세하게 서술하고 있지 않다. 맥락으로 유추하거나 토막 토막 던져진 조각들을 잘 연결하여 인물들 간의 역사를 가늠할 뿐이다. 읽는 사람에 따라 그 뿌연 바닥이 감정을 진하게 하기도 하고, 덤덤하게 받아들이게 하기도 할 듯하다. 대부분 이야기에 '죽음'이 등장한다. 인물들은 이로 인해 상실과 상처를 입어 애도의 시간을 필요로 하기도 하지만 반대로 갈등과 긴장의 해소를 풀 수 있는 실마리가 되어주기도 한다.

 


 

"성인이 되고부터는 왜인지 자주 주변 사람들에게 짐이 되는 느낌이었습니다.

사람들과 함께 삶을 살아가는 마음이란 게 반쪽밖에 없었으니까요.

이런 저라도 이젠 좀 괜찮을까요?

앞으로는, 앞으로는 정말 좀 다를까요?"

- 이 세상 사람 -

 

 

네, 앞으로는, 다음에는 행복할 거라 말해주고 싶다. 우리는 만나서 먹고 웃고 떠들다가 헤어질 것이다. 그리고 다음을 당연하게 여길 것이다. 또 그렇게 잘 살아갈 게 분명하다. 내 목소리인지 작가의 목소리인지 모를 다정한 목소리가 등줄기를 쓰다듬어 주는 듯했다.

 

 


 


한겨레 하니포터6기 자격으로 작성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