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인 (양장) ㅣ 소설Y
천선란 지음 / 창비 / 2021년 11월
평점 :
<나인>을 만났다.
나인/천선란/창비/소설Y
한 번쯤 누구나 해봄직한 생각들이
지구에 우리 인간만 살까? 다른 외계 생명체들이 인간의 외형을 한 채 섞여서 살아가고 있는 건 아닐까?
<나인>을 통해 청아하면서도 단단한 느낌으로 펼쳐진다.
정의롭고 용감한 17살, 하지만 평범한 고등학생인 유나인의 일상이 갑자기 소란스러워진다.
식물들의 목소리가 들리기 시작하고, 처음 본 남학생이 우리는 같은 종족이며 인간이 아니라고 한다.
갑자기 열 손가락 손톱에서 싹이 나기 시작한다.
나인은 이 모든 상황이 혼란스럽기만 한데, 지모(유지 이모 -> 지모)는 차분하게 비밀을 알려준다. 그들은 리겔리 행성의 누브 종족이며, 수명이 다해 멸망한 행성에서 지구로 이주해왔다.
나인처럼 시기가 되면 손가락 끝에서 새싹이 나고 그 열 개의 새싹 중 세 개 미만의 새싹이 종자를 키워낸다. 그 종자가 나인처럼 아이로 자라는 거란다.
이런 나인에게는 절친 현재와 미래가 있다. 현재는 감수성이 풍부한 공감력 좋은 아이이고, 미래는 침착하고 똑부러지는 성격의 어른스러운 아이이다. 나인은 갑자기 밝혀진 탄생의 비밀을 친구들에게 털어놓을지 말지 털어놓는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가 걱정인데 그보다 더 큰 사건과 추악한 비밀이 기다리고 있다.
2년 전 나인이 다니던 고등학교 학생 박원우가 실종된 사건이 있었다. 경찰은 수사 후 급하게 가출로 사건 종결지었다. 모두에게 그렇게 잊혀 가지만 오직 원우 아버지 원승만이 돌아오지 않는 아들을 찾기 위해 실종 전단지를 동네 곳곳에 붙이고 박카스를 들고 담당 형사를 찾는다. 나인은 본인의 정체를 깨닫고 능력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박원우 사건의 전말을 알게 된다.
소수가 다수를 이기기 위한 가장 확실한 방법은 지겹고, 지긋지긋하고, 진절머리 나게 구는 것이라고. 지모는 나인에게 가장 못 견디겠는 것 하나만 지키며 살라고 했다. 나인이 위험해지지 않는 한에서.
잘 짜인 플롯이 감탄을 자아낸다. 식물의 소리를 듣는 외계인을 소재로 이야기가 시작되지만, 실상은 편협하고 오만한 어른들의 세상이 저지른 오류를 바로잡는 심지 있고 용감한 아이들의 이야기이다. 어른들의 그릇된 시선으로 한 아이를 배척하고 끝내는 그 아이를 살릴 수 있었음에도 비열한 방법으로 덮어버린다. 사회적 지위와 특권을 유지하기 위해.
실타래처럼 얽힌 등장인물들의 연결고리가 하나둘 밝혀지면서 맞춰지는 퍼즐 그림은 나인에게 각성의 계기가 된다. 나인은 누브 족이 가진 능력으로 상처받은 인간에게 베푼 호의와 친절이 가져온 결과에 책임감을 느꼈다.
하지만 과연 누브 족의 잘못일까? 만약 외계인을 봤다는 말을 하는 이가 원우가 아니었다면? 원우처럼 아버지와 단둘이 오래된 주택에서 사는 이가 아니라 목사 아버지와 입시학원 원장 어머니를 가진 도현이었다면 과연 어떻게 되었을까?
너희 가족도 본 적 없는 하느님 믿잖아. 근데 나는 봤어. 본 걸 믿는 게 도대체 뭐가 그렇게 문제냐. 왜 너희 아버지는 사람들한테 존경받고 돈도 많이 버는데 왜 나는 미친놈이 되냐. 믿으라고 한 적도 없는데. 나만 다시 보겠다는데. 할 말이 있어서 그 말만 좀 하겠다는데.
나인과 같은 해에 태어났다는 누브 족 해승택, 그의 아버지 해가한은 지구로 이주한 누브 족의 우두머리로 '종족을 위해'라는 말로 포장하여 이기적이고 끔찍한 일을 벌이려고 한다. 나인의 친구 미래는 너무 다른 성향의 엄마 아빠 사이에서 상처받고 힘들어하고 엄마보다는 엄마 애인인 요한과 더 스스럼없이 이야기 나눈다.
도현은 쇼윈도 가족 속에서 자존감이 점점 낮아지고 진정한 도움의 손길을 받지 못한 채 살아있지만 죽어가고 있다.
가장 가까운 존재인 가족에게 상처받거나 외면당하지만 그들은 다시금 앞으로 나아간다. 끔찍한 것을 끔찍하다고 느낄 수 있는 마음과 자신이 저지른 죄를 깨닫고 후회하고 죄스러워하고 시간을 되돌리고 싶어 할 수 있는 죄책감을 느낄 수 있는 마음으로 고통스럽지만 살아있기에 좀 더 나은 내일을 위해 나아간다.
집에는 그렇게 버려진 말이 많았다. 먼지처럼 뭉쳐 있다가 어느 순간 정말 먼지가 되어 버렸다. 닦아 내면 사라지고 마는.
누브 종족만이 타고난 힘이 있듯 인간에게도 인간만이 타고난 힘이 있지 않을까. 나인은 질문의 답을 찾지 않았지만 우리는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야 할 것이다. 박원우 아버지 원승을 보면 그 해답이 보이지 않을까 싶다. 아들을 끝까지 놓지 않고 찾아다니던 그, 제 아들을 죽인 이에게 이제라도 말해줘서 고맙다고 벌 다 받고 죄지은 거 다 뉘우치면 밥 한 끼 먹자고 권하는 그, 2년 만에 뼛가루로 돌아와 엄마가 있던 납골당에 안치한 아들에게 돌아와서 다행이라고 하는 그.
아들을 떠올리면 괴로웠던 과거를 이겨내게 해준 고마운 나인과 친구들에게 언제든 놀러 오라고 말하는 그에게서 인간만이 타고난 힘을 찾고 싶다.
카메오로 <어떤 물질의 사랑> 라현이 등장해서 반가움을 안겨준다. 우리 인간은 결코 몰랐을 것이다. 이 행성에 외계에서 온 수많은 방문객이 있다는걸. "그냥 놀고 떠들어" 이렇게 천선란 작가의 상상력 넘치는 이야기가 없었다면 말이다.
<소설Y 클럽 1기 자격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