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우리 절을 걷다 - 누구나 찾지만 잘 알지 못하는 사찰을 구석구석 즐기는 방법
탁현규 지음 / 지식서재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름다운 우리 절을 걷다>

- 누구나 찾지만 잘 알지 못하는 사찰을 구석구석 즐기는 방법


국내 여행을 가게 되면 언제나 들리게 되는 사찰. 우리나라는 유명한 산마다 유명한 절들이 자리 잡은 듯하다. 그래서 꼭 들리게 되지만 건물 곳곳 제대로 살펴보지 못하고 기웃기웃거리다 사진 몇 장 찍고 내려오는 게 전부였다. 아쉬움에 두어 번 돌아볼 만큼 무언가를 놓치고 절을 떠나는 기분에 발걸음이 무거웠다.

그래서 <아름다운 우리 절을 걷다> 서평단 자격으로 알게 되어서 행운이었다. 사찰을 좀 더 세세하게 돌아볼 수 있는 정보가 가득 담긴 책이다. 불교 신자가 아니더라도 절은 한국인과 뗄 수 없는 심리적 유대관계가 있기에 이 책을 통해 절과 불교 신앙의 존재 이유에 대해 돌아볼 수 있고 이해를 통해 더 친밀감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그래서 <아름다운 우리 절을 걷다> 서평단 자격으로 알게 되어서 행운이었다. 사찰을 좀 더 세세하게 돌아볼 수 있는 정보가 가득 담긴 책이다. 불교 신자가 아니더라도 절은 한국인과 뗄 수 없는 심리적 유대관계가 있기에 이 책을 통해 절과 불교 신앙의 존재 이유에 대해 돌아볼 수 있고 이해를 통해 더 친밀감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아름다운 우리 절을 걷다/탁현규 지음/지식서재



이 책의 장점은 전공자답게 세세한 설명과 각 사찰의 차이들 속에서 뽑아낸 공통점을 소개해 준다는 것이다. 그리고 글을 통해 전반적인 사항을 정리하고 다양한 사진, 그림 등을 보충하여 시각적 이해를 더해 종합적으로 설명해 줘서 흥미롭다.


이 책을 통해 절 여행자들이 가지는 질문에 대한 답을 찾을 수 있다.

- 절에는 왜 여러 집이 있을까?

- 절집 조각상들은 왜 다 다르게 생겼을까?

- 절에 갈 때 무지개다리를 건너는 이유는?

- 절 입구를 지키는 우락부락한 근육질 조각상들의 정체는?

- 절에서 최고 경치를 즐길 수 있는 장소는?

- 불교 신자가 아니어도 절에 가야 한다?




절 배치도







우리는 이 책을 통해 사찰을 방문하는 여행자가 되어 무지개다리를 건너 일주문을 거쳐 스님의 무덤인 부도까지 거닐게 될 것이다. 그 안에 깃든 불교 신앙과 이를 형상화한 미술 작품들을 통해 한국 미술의 정수에 흠뻑 빠지는 경험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절에 있는 많은 건축물과 미술품에 대한 설명 중 몇 가지가 인상적이다.

우리나라 절들은 계곡 옆에 터를 잡는 경우가 많아서 돌다리를 세우게 된다. 불교의 목적은 차안(우리가 사는 세상)에서 피안(깨달음의 세계)으로 건너가는 것이다. 이렇듯 무지개다리는 차안에서 피안으로 건너가는 장소로 볼 수 있다.




선암사 입구에 있는 무지개다리인 승선교


깨달음의 세계로 들어가는 3개의 문인 일주문, 금강문, 천왕문은 초입에 있고 사천왕 등 조형물이 거대하여 평소 관심 있게 보았다. 설명과 사진을 보니 무섭다 느껴졌던 사천왕이 험상궂으면서도 자비롭고 익살스러우며 호탕한 기운을 느낄 수 있었다.



호탕하면서도 자애로운 얼굴로 유명한 <순천 송광사의 동방 지국천왕>



3개의 문을 통과한 후 마주하게 되는 루(다락집). 절마당에 닿기 위해 계단을 걸어 올라간 후 2층 다락집에 들어갈 수 있다.


부석사 안양문과 안양루


많은 다락집 중 영주 태백산 부석사 안양문과 안양루가 기억에 남는다. '안양'은 '극락'을 뜻하는 말로, 1층에는 안양문 현판이 있고 2층에는 안양루 현판이 있다. 순례객은 극락으로 가는 문인 안양문을 통과해 극락에 있는 다락집인 안양루에 도착하게 된다. 건물 하나를 두고 방향에 따라 다른 공간을 연출했다.(59쪽)


많은 다락집 중 영주 태백산 부석사 안양문과 안양루가 기억에 남는다. '안양'은 '극락'을 뜻하는 말로, 1층에는 안양문 현판이 있고 2층에는 안양루 현판이 있다. 순례객은 극락으로 가는 문인 안양문을 통과해 극락에 있는 다락집인 안양루에 도착하게 된다. 건물 하나를 두고 방향에 따라 다른 공간을 연출했다.(59쪽)


부처가 사는 집으로

대웅전은 '대웅'은 '석가모니불'을 뜻하는 말로

석가모니불이 가장 많은 설법을 하신 영취산 모임을 재현해 놓은 집이라 한다.



한국의 모든 대웅전 가운데 건축미에서 으뜸인 수덕사 대웅전




팔상전은 팔상탱(부처님 일생에서 일어난 8가지 사건을 8폭에 담은 탱화)를 건 집이며, 대광명전은 부처님 법이 몸을 갖춘 비로자나불이 사는 집이다.

극락전은 아미타불의 극락정토를 재현한 집이며, 누군가의 극락왕생을 위해 지어진 절이라면 극락전이 절의 중심이 된다. 약사전은 약사불의 유리광정토를 재현한 집이다.


여러 종류의 탱화도 소개되어 있다.

탱화 자체의 색감이 강렬해 시각적으로 압도된다.

중국과 일본에는 없는 조선 고유의 탱화인

수륙재 축제를 잘 묘사한 감로탱

하늘. 땅. 지옥의 무리들이 함께 자리한 삼장탱이 있다.


수륙재는 물과 육지에서 떠도는 외로운 혼령들이 극락왕생하도록 지내는 재를 말한다. 아귀가 감로를 받는 대표로 나오고 인간사에서 일어날 수 있는 여러 죽음 장면들이 묘사되어 있다. 또 '무차 수륙재'라 신분과 남녀의 차별 없이 누구나 평등하게 참여하는 모습이 감로탱에 생생하게 그려진다.

여러 종류의 탱화도 소개되어 있다.

탱화 자체의 강렬한 색감이 시각을 자극한다.


선암사 서부도전 감로탱(부분)

대구 팔공산 동화사 대웅전 삼장탱과 배치도



보살이 사는 집으로

사후 세계 왕들에게 살아 있을 때 지은 업을 심판받는 집인 명부전

현실 고통을 없애주는 관세음보살이 사는 집인 관음전이 있다.


지옥의 왕들 으뜸은 염라대왕인 줄 알았는데 불교에서는 지장보살이라 하여 놀랐다. 불교 신앙의 핵심은 사후 세계 지옥의 형벌에서 벗어나길 바라는 마음이다. 그렇기 때문에 지옥에 있는 중생들을 구제하는 지장보살이 사는 집인 명부전이 없는 절은 없다고 한다.


한국 불교 제일 신앙인 관음신앙은 중생이 살아서 어려움에 처할 때 관세음보살을 부르면 관세음보살이 그 소리를 듣고서 중생 앞에 나타나 어려움을 바로 해소해 준다.




<아름다운 우리 절을 걷다>를 통해 불교 신앙을 총체적으로 접할 수 있었다. 그리고 건물과 다양한 미술품을 통해 중생을 구제하고자 하는 지극한 마음을 느낄 수 있었다. 절 안에 한국 전통 미술의 혼과 역사가 고스란히 담겨 있음을 새삼 깨달았다.

다음에 절을 찾게 되면 좀 더 주의를 기울여 즐길 수 있을 것 같다. 그 자리에 그대로인 부처와 보살, 사천왕이건만 이제와는 전혀 다른 의미로 다가올 것 같다.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서평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