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머니 트렌드 2023 - 45가지 키워드로 전망하는 대한민국 돈의 흐름
부동산읽어주는남자(정태익) 외 지음 / 북모먼트 / 2022년 11월
평점 :

경제적 자유를 누리는 길은 나 자체가 하나의 상품이 되어야 함을 나타낸다. 그런데 자금 투자로 경제적 자유를 누리기 위한 노력도 지금 불가능에 가깝다. 마법이라 불리는 복리 효과를 누릴만한 금융상품도 찾기 힘들고, 대박을 친다고 믿는 운동선수나 연예인, 유튜버가 되지 않는 이상 경제적 자유를 누리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
이 책은 45가지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대한민국의 2023년도를 전망하며, 돈의 흐름이 어떻게 될지 전문가들의 의견을 들어 예측하고 있다.
2023년도는 세계적으로 경기불황이 계속될 것이라 전망한다. 1999년과 별반 다르지 않다 보는 것이다. 주식을 하는 직장인을 주변에서 흔히 보게 되는데, 책의 한 저자는 내가 잘 아는 분야에 집중 투자하고, 방대한 산업 분야의 경우 종목 파악이 어렵기 때문에 투자 회사를 이용한 간접 투자를 병행하기를 권하고 있다.

또 다른 저자는 부자가 되고자 한다면, 책과 학원에서의 공부보다 경험에서 찾아야 한다고 말한다. 어떤 것이든 성장에 도움은 되겠지만, 경험에 투자하는 것 만큼은 못하다. 국내 외 새로운 기술이나 경험을 활용한 공연이나 전시 관람을 통한 직접 체험이나, 쉽게 접할 수 있는 콘텐츠 적 경험이 더 큰 자산이 될 것이라는 것이다.
이는 경험을 갖고 있는 사람을 만나는데 투자를 아끼지 말아야 하며 더구나 이들의 경험을 직접 돈을 주고 사는 사람들이 있다는 점에서, 강연이나 컨설팅에서 큰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전한다.
부정적이지만 낙관적이기도 한 2023년의 돈의 흐름에 대해 간접 경험할 수 있는 시간을 이 책을 통해 가지게 된다.

과거 부 촌이라 일컫던 북촌과 명동, 압구정 등 침체되었던 상권들이 다시 떠오를 것으로 예측하는 부분과 6호선 라인인 을지/충무 클러스터와 신당역 부근 등이 핫플레이스로 떠오르는데, 지역도 지역이지만, 그 안에 어떤 콘텐츠를 채우느냐에 따라 지역의 중요도가 달라질 것이라는 점에서 공감이 간다.
돈이 야기한 사회 현상으로 시간 값을 따지는 사회에 대한 항목은 눈에 더 들어온다.
2023년에는 돈을 들이는 것 대비 시간을 들이는 문화가 더 많아질 것이며, 시간 값을 따지는 사회는 편리함 대신 불편함을 택하는 면도 있을 것이라고 본다.
또 다른 주제로는 비혼대신 무자녀를 찬성하는 비율에 대한 부분이다. 비혼은 흔한데, 이에 더해 무자녀의 찬성은 자연스레 이어지는 현상이 아닐까 한다. 결혼하는 사람도 줄고, 결혼을 했다해도 자녀를 갖는 사람이 줄어 경제적 능력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 간의 양극화가 심해지는 현상 등을 다룬 부분은 멀지 않은 미래의 모습이 어떨 지를 생각해보게 한다.

앞으로는 내가 계획하는 일을 성공시키기 위해 남들의 에너지와 시간을 빌리는 동시에 그것을 200% 활용할 수 있는 나만의 내공을 쌓아야 한다. 내공을 쌓는다는 것은 생각보다 쉽지 않다. 당연히 도전하는 분야에 대한 트렌드와 그에 따른 자본의 흐름을 읽어내는 안목을 길러내고 열정을 꾸준히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다.
인플레이션이 강하게 오는 경우, 잇따르는 물가 인상으로 서민들에게 직접적으로 타격을 주어 삶이 매우 피폐해지기 때문에 중앙은행은 인플레이션을 잡는 것을 지상명령으로 삼는다.
따라서 미국 연방준비은행의 사례에서 보듯 인플레이션 만큼은 끝까지 잡겠다는 의지를 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대표적인 전략이 기준금리 인상이다. 그리고 기준금리 인상은 부동산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수밖에 없다. 기준금리 인상은 국고채 10년물과 부동산 대출금리 인상으로 연결된다.
즉 기준금리 인상으로 대출금리가 상승하면, 주택 구입후 매월 부담해야 하는 주택담보이자가 상승하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인플레이션 만큼 근로소득이 증가한다면 큰 문제가 없을수있으나 문제는 근로소득 상승 속도가 인플레이션 상승 속도보다 낮다는 점이다. 이에 더해 과거보다 주택담보이자가 높아지면, 사람들은 줄어든 소득(가처분 소득)에 더많은 주택 관련 비용을 내야 하는 형편에 이른다. 그러니 당연히 주택구입을 망설이게 되고, 이는 주택 수요의 급감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인플레이션이 왔다면 기본적으로 긍정적인 뉴스일수있으나 기준금리 상승으로 인한 수요 위축으로 부동산 가격이 하락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부동산 가격 하락은 기준금리 상승이 멈추고 정체된 기간까지 상당기간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즉 기준금리 상승이 멈추었다고 바로 그 다음달 기준금리를 인하하는것이 아니라 인플레이션 상황을 지켜보면서(인플레이션 꺽이는 것을 확인한후) 기준금리 인하가 나타나기 시작할 것이다. 그렇다면 상당 기간 부동산 가격은 하락과 횡보할 가능성이 높다. p. 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