콰이어트 리더십 - 섬세하게 이끌고 강력하게 성과를 내는 내향형 리더십 4단계 성공 전략 현대지성 리더십 클래스 2
제니퍼 B. 칸와일러 지음, 이한이 옮김 / 현대지성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0년 전에는 내향형 리더십에 관한 연구나 책이 없었다. 리더라면 외향적인 성격이어야 한다는 게 불문율처럼 여겨졌었다. 하지만 현재는 내향형 리더에 관한 성공학, 처세, 심리서들이 많다. 



작가는 내향인 남편과 결혼해 44년을 살았다 그래서 더욱 더 내향성을 이해할 수 있었다고 말한다. [콰이어트 리더십] 외에도 2권의 내향형 리더에 대한 책이 있는데, 내향형 연구에 기반한 이 책들은 작가가 얼마나 내향형인의 성공과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는 지를 알 수 있게 한다. 







우선 작가는 4P프로세스를 강조한다. 4P 프로세스는 [콰이어트 리더십] 2장에서 자세히 설명된다. 간단히 말하자면, 4P는 작가가 성공한 내향형 리더를 연구하는 기본 틀로 존재한다, 이를 활용해 점차 발전하는 방식을 설명한다. 




내향인의 특징
* 다른 사람에게 기가 빨리면, 따로 충전의 시간을 가져야 한다.(만약 사람들과 어울리고 난 후, 반드시 휴식을 취해야 한다면 내향형에 좀 더 가깝다고 한다.)
* 내향인은 경청, 준비성, 침착함 같은 내향적인 특징이 발현된다. 그래서 내향인은 성공할 수 있는 잠재력이 충분하다. 
* 내향적에서 <수줍음을 잘 탄다>는 말은 성향을 타고 났냐에 관한 것으로, 수줍음은 문제나 결함을 극복해야 하는 특징이지 성향과는 다르다.,

* 사람들과 부대끼는 일에서 기력을 소모한다. 







page.32 
조직의 40~60퍼센트는 내향인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 세계 노동자의 70퍼센트가 회사 일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는다고 한다. 이런 상황에서 내향형 리더의 힘을 이용할 절호의 기회를 놓쳐서는 안된다. 내향인들은 자신의 기여를 인정해주는 조직에 머무르는 경향이 있으므로, 그들의 참여를 유도하면 직원 참여도가 오를 것이다. 



DRC 오리엔테이션

- 사람들에게 내가 어떤 사람이고, 무엇을 시도하려는지 본질적인 부분을 알려주는 자리를 갖는 것이라 정의한다. 예를 들어 신입사원 오리엔테이셔네 DRC오리엔테이션을 적용해 함께 일하는 모두에게 내가 어떤 사람이고, 어디 출신이고, 내가 그들에게 무엇을 바라는지 알린다. 







책에서는 내향형 리더의 가치를 평가하는 일의 중요성을 설명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인사과 면접시 내향인의 자질을 살펴볼 방법을 모색하거나 회의에서도 대면보다는 서면을 활용하는 것이 좋은 예시다. 이런 예시 외에도 내향형인을 위한 다양한 사례를 두어 독자들의 이해를 돕는다. 







저자는 4P는 다른 사람을 지도하고 가르칠 때도 사용가능하다고 말한다.  4P는 준비하기/존재감 드러내기/ 밀어붙이기/연습하기 등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회의 전 심사숙고해 질문을 정리하거나 영업에 들어가기 전 고객을 파악하는 것은 준비하기 단계에 해당할 것이고, 팀원이 질문 시에 노트북화면에서 눈을 떼고 상대를 바라보거나 내향인 특유의 날카로운 관찰력으로 포착한 사실을 지적하는 것 등은 내향인의 존재감을 드러내는 것이다. 




이처럼 4P를 활용할 것을 제안하면서도 이 부분에 대해 인간관계 기술을 보강할 수 있는 자기 판단 테스트는 점수와 함께 내향인의 우선 순위를 파악하기 좋아 보인다. 








[콰이어트 리더십]은 내향인들을 위한 우연한 스타일 변화를 단호하게 설명한다. 특히 외향인들보다 존재감이 없는 내향인들을 위한 <존재감 드러내기>는 타인에게 내 메시지 전달을 위한 TIP을 알려주고 있어 자신감을 올리기 위한 부분으로도 더움이 될 것 같다. 









내향적인 성격도 충분히 리더로써 자신의 자질을 보여줄 수 있다. 그런 점에서 모든 내향인들에게 힘이 되는 책이다. 특히 중간관리자 외 리더들에게 참고하기 좋은 책이다. 일독을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