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롬프트 엔지니어링 교과서 - 바로 써먹는 챗GPT 프롬프트 12기법
서승완 지음 / 애드앤미디어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개인적으로도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이 '쳇 GPT' 를 다루는 기술 중 하나라 생각했었다. 하지만 저자는 그보다 장기기억을 가지지 못하고, 맥락을 쉽게 추론하지 못하는 AI의 한계를 극복하기위한 방법 중 하나가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이라 생각하면 된다고 밝히고 있다. 









그러니까 인간이 의도나 목적을 가지고, 인공지능에게 전달하는 질문이나 지시사항(프롬프트: 방송이나 연극, 뉴스 등에서 사람에게 대사나 동작을 지시하는 행위)을 의미한다. 자연스럽게 "문해력"이라는 용어와 연관성을 짓는다.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기본원칙은 5가지로 나눠 설명하고 있는데, 마치 육하원칙 같은 느낌이다. 구체적인 지시와 명확한 단어 맥락제공, 구조를 형식화하고 일관성을 유지해야 하는 것. 이와 연결해 Few Shot 기법이나 슌스케템플릿, 멀티페르소나 등등의 엔지니어링 기법 12가지는 바로 써먹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쳇 GPT에 대해 대략적인 이해를 하고 있다면,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은 쉽게 다가온다. GPT가 처리하는 "토큰"을 예로 들어, 한국의 문장을 하나하나 한 단어라고 말할 때 GTP는 토큰이라 정의한다. 문장 하나하나를 연결해 GTP에서는 토큰을 추천해준다. 그러니까 책의 예시처럼 "나는 자랑스러운"이라는 문장을 제공할 때, GTP는 "태극기", "형", "아빠", "회사" 등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사람이 직접 입력한 단어에 맞춰 출력하는 GPT의 추론 능력상 인종, 성별 등의 차별점이 생길 수 있을 것이다. GPT가 프롬프트에 어떻게 활용될지는 책의 페이지를 넘길 수록 영미권과 일본에서 훨씬 많은 논의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저자도 책의 일부를 참조했다. 프롬프트를 영미권에서는 "개발과 연계한 방법론"으로 보는 반면, 일본은 "쳇 GPT를 이용해 생산성을 올리는 기술"로 여긴다는 차이점이 있다고 한다.







  한국에서는 아직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이 어떠한 시스템으로 정의되어 있는지 잘 알려져 있지 않는 것 같다. (관련 책이 몇 권 되지 않는다.) 이는 국내 유일의 프롬프트 전문 브랜드를 설립한 저자이자 대표 서승완씨의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교과서]속 12가지 기법에 관심을 두게 만든다 .  해당되는 내용을 설명만 하는 것이 아니라 실전 문제를 두어 가상주소를 출력하는 프롬프트 작성이라던지.,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에 대한 질문들(프롬프트도 AI가 대신해줄텐데, 이 일을 배워야 하는 이유가 뭘까요?, 프롬프트 엔지니어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은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에 대해 더 자세히 알 수 있는 소스활용이 될 것 같아 엔지니링에 대해 여러분야로 관심이 있다면 읽어봄직한 책이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