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둠의 손길 페르세포네 × 하데스 1
스칼릿 세인트클레어 지음, 최현지 옮김 / 해냄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데스는 네버나이트를 소유한 (죽음의 신)이다. 네버나이트는 입장이 거의 불가능한 클럽이었는데, 페르세포네 (봄의 여신)은 특별한 사람들만이 출입이 가능한 그 곳을 친구 렉사와 함께 방문하게 된다. 여신이지만, 글래머가 없으면 존재가 드러나 버릴 정도로 페르세포네는 힘이 없었다. 평소에 쓰는 글래머는 인간들 사이에선 정체가 드러날 일이 없었지만, 하데스처럼 강력한 신에게도 통할지는 알 수 없었다.




클럽에서 렉사와 페르세포네는 한 남자와 동석을 하게 되는데, 가장 잘 생긴 얼굴을 하고 있는 인간 아도니스였다. 아도니스는 페르세포네가 일하게 되는 [뉴 아테네 뉴스]의 회사 동료가 되는데, 둘은 후반으로 갈 수록 갈등을 빚는다. (아도니스는 아프로디테의 애인이 되는데, 하데스의 아내가 되는 페르세포네 사이에서 어떤 갈등이 생기는 지는 남의 기사를 허락도 없이 발행해버리는 그의 우쭐하고 교만한 태도를 보면 예상이 가능하다.)





네버나이트는 인간들이 하데스와 거래를 하려고 찾아오는데,  돈이건 사랑이건 어떤 주제든 간에 인간이 지게 되면, 하데스가 조건을 선택할 수 있었다. (신을 상대로 어찌 인간이 이길 수 있을까) 페르세포네는 그 곳에서 하데스를 만나게 되고, 운명적으로 그와 테이블 앞에 선다.










하데스는 죽음의 신으로 제우스의 형이다. 하데스의 아내인 (대지의 여신) 데메테르 사이에서는 딸 페르세포네가 있다. 여기서 문제는 제우스와 하데스는 형제 지간이라는 점이다. 그러니까 큰 아빠가 조카를 납치한 셈이 된다.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 하데스는 페르세포네에게 첫 눈에 반해, 자신의 아내로 삼는데, 이는 인간을 포함 많은 신들과 바람을 피는 제우스와 단 몇 명의 여성과 관계하는 하데스가 많이 다름을 보여 준다. )





지하에서 석류를 먹고 난 페르세포네는 지하를 떠날 수 없게 된다. 대지의 여신 데메테르는 딸을 꺼내오기 위해 제우스와 모든 신들에게 부탁을 하는데, 이후  1년의 반은 지하에, 나머지 반은 지상에 살게 되는 페르세포네의 이야기는, 작가 스칼릿 세인트클레어의 [어둠의 손길]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하데스가 비서처럼 옆에 두었던 님프 (민테)와 봄의 여신 (페르세포네) 사이의 질투는 인간의 그것과 크게 다르지 않으며, 하데스와 페르세포네의 뜨거운 사랑은 작가가 표현하는 강도만큼 농염했다. 로맨스 소설을 지나 신과 신들의 사랑이야기는 영원하지 않은 인간의 사랑에서 초월적이며, 관능적인 부분을 신화라는 형태로 보여주기 때문에 더 신비로워 보인다.





1권 어둠의 손길을 지나 2권 파멸의 손길은 관능의 유혹에 빠진 금단의 사랑과 파멸을 이야기한다. 1권의 농염한 사랑을 지나 파멸의 이야기 속으로 들어갈 중독성있는 책으로 2권을 이어가야 겠다.





이 리뷰는 해냄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