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 농장 (그래픽 노블)
백대승 지음, 조지 오웰 원작, 김욱동 해설 / 아름드리미디어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동물농장은 동물을 인간화하여, 인간사를 이야기하는 우화이다. 인간이 없는 농장에 동물이 왕이 되지만, 평등을 외치는 그들에게도 불평등의 씨앗이 자라난다. 호랑이 없는 골에 토끼가 왕 노릇한다고 했던가. 




인간 존스는 자신의 농장인 매너 농장에서 말과 돼지 토끼 닭 양 당나귀 무리에게서 쫓겨난다. 동물들은 주인을 쫓아내고, 자신들만의 왕국을 만든다. 특히 돼지 2마리(스노볼, 나폴레옹)는 동물 농장의 새로운 인간화된 동물로써, 그 의미가 남다를 수 밖에 없다. 스노볼과 나폴레옹은 대적관계가 된다. 일방적인 나폴레옹의 작당으로 스노볼은 동물농장에서 쫓겨난다. 의견이 다른 주장을 펼치는 인간들이 대적관계인 사람을 매도하는 방식과 매우 닮아있다, 



돼지 나폴레옹은 다른 동물들에게 자신의 의견을 주장하며, 설득을 이뤄내고, 인간이 쓰는 글을 배우며, 규칙을 만든다. 동물 7계명이 그것인데, 사람의 계율과 크게 다르지 않다. 동물 7계명에서는  술을 마시면 안되며, 다른 동물을 죽여선 안되고, 모든 동물은 평등하다는 계율을 지정해 놓고 있다. 모든 동물이 계율 앞에 평등하다는 것을 선포하는 것이다.(이 계율은 천천히 변화된다. 돼지 나폴레옹이 자신에게 스스로 계급을 부여한다. 다른 동물과 자신은 다르며, 특별하다는 것을 주장하는 것이다,) 처음의 규호는 "네 발은 좋고 두 발은 나쁘다." 였지만, 나폴레옹은 이 구호마져 없애려 든다.  인간과 네 발 달린 동물의 비유를 통해 인간과 다른 동물들의 왕국을 건설하려 했지만. 결국 동물농장에서 동물의 왕이 탄생하는 것이다.




인간행동의 원칙을 이야기하며, 교훈을 보여주는 우화는 밑바닥의 감춰진 참다운 의미를 통해 도덕과 보편적인 진리를 깨닫게 해준다. 동물농장은 조지 오웰의 대표적 작품인데, 조지 오웰은 사회의 불평등과 권위적인 정부에 대한 불만으로 동물농장을 썼다고 한다. 이는 소비에트와 다른 나라들도 독재국가가 될 수 있는 불안감에서 기인한 조지 오웰의 정치적 풍자임과 동시에 비유를 섞은 작품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그의 작품은 70여 년이 지났지만, 아이들에게도 어른들에게도 널리 읽혀진다. 그래픽 노블로 글을 읽는 것보다 훨씬 빠르고 이해가 쉽도록 만들어진 구성이라 더 즐겁게 읽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읽는 내내 [동물농장] 원작에 충실해 평등과 불평등을 논하는 주제에 맞도록 표현한 작가와 해설가에게 굉장히 고마운 마음이다. 아름드리 미디어의 그래픽 노블 동물농장을 시작으로 다른 작품도 만나볼 수 있으면 더 좋을 것 같다. 























*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