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 우리말 - 일상과 사회생활의 ‘글실수’를 예방하는 국어 맞춤법 즉석 처방
한정훈.강민재 지음 / 성림원북스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메일로 문서를 발송할 때, 제안서를 PPT로 발표할 때, 이력서에 자신을 소개할 때 특히 한글의 맞춤법은 중요하다. 헷갈리는 단어야 띄어쓰기나 맞춤법 검사기를 사용해 작성하면 된다 지만 일일이 복사해 확인하는 것은 번거롭다. 기본적으로 한 단어가 틀려서 문장이 어색해지지만, 사용자는 그 단어가 틀렸는지 모르고 계속 활용한다는 것에 문제점이 있는 것 같다. 




외국인이 유독 방송 활동을 많이 하는 요즘, 한국인들보다 더 한국인 같은 맞춤법의 소유자들이 많다. 그들에게는 한국어를 잘 하는 것이 소득과 연결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훨씬 정확도가 높은 단어를 사용한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틀린 단어를 사용한다고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다만 이미지에 타격을 입을 수는 있다. 그러나 한국인이라면 국어의 맞춤법을 제대로 인식해 사용하는 것이 당연한, 너무 당연하다.












 공동 저자 2인은 각자의 직업(아나운서, 크리에이터)의 특징을 살려, 맞춤법을 각 1분 씩 할애해 확인할 수 있도록 책을 구성했다. 다소 아쉬운 점이 있었는데. 질문에 대한 빠른 답을 확인하기 위해서 답을 따로 크게 적시해놓지 않아서 글을 전부 읽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어떻게 보면 답만 확인하고 설명을 읽지 않는 사람들을 위해 이해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일 수도 있으나, 개인적으로는 그 점이 아쉬었다. 한 편으로 질문에 대한 답을 잘 보이게 구성했다면 답만 확인하고 넘기기 쉬웠을 것이다. 이 부분은 읽는 사람들 마다 다르게 느낄 것 같다.




<뭐해? VS  머해?> 이  질문에서 답은,  둘 다 답이 된다. "머해?" 도 사용할 수 있는 단어이며, "뭐해?" 도 사용할 수 있는 단어다.  "머"와 "뭐"의 단어는 구어적 표현에 의한 표준어라고 하니, 톡이나 문자에서 "지금 머해?" 라고 묻는다면, 이 말이 표준어 임을 기억하자.




"코로나로 후유증이 생겼다." 이 문장에서 <휴유증 VS 후유증> 은 무엇이 표준어일까? 이 물음에 대한 설명도 간단하다. "후"는 "뒷 후"를 쓰기 때문에. 휴우증이 아니라. 후유증이라고 사용해야 한다.  이번에 확실하게 기억할 수 있을 것 같은 단어다.














책에서는 단어의 올바른 쓰임 외에도, 4장에서는 알아두면 좋을 우리말 상식도 소개하고 있다.



달걀과 계란. (둘 다 맞는 단어) 달걀은 순 우리말이고, 계란은 한자어이며, 



복숭아뼈와 복사뼈 (복숭아뼈는 표준어가 아니었으나 표준어로 2011년에 인정된 단어이다.) 둘 다 사용 가능하다고 한다. 새롭게 등장한 신조어가 비표준어로 널리 쓰이다 보면 나중에 표준어로 인정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 단어 또한 그렇다고...



그리고 회를 주문하면 항상 밑에 깔려있는 투명한 물체가 있다. 하얗고 길다란, 면 같기도 하는 이 물체를 사람들에게 물어보면 다들 모르고 있었다. 대부분이 알지 못하는 이 물체를 책에서는 아주 명쾌하게 설명한다. 긴 실타레같은 물체는 "천사채"라고 한다. 회를 먹고 나면, 이 천사채는 다들 버리는 경우가 아주 많은데, 실제로는 살이 찌지 않는 건강식품이어서 먹어도 문제는 없지만, 회와 함께 나오는 천사채의 경우, 회와 함께 밑에 깔리기 때문에 이런 경우는 세균에 감염될 위험성이 있어서 가급적 먹지 않는 게 좋다고 한다. 










화장실에서 쓰이는 두루마리 휴지를 다 사용하면 남게 되는 종이 원통이 있다. 이 이름이 궁금한 사람이 분명 있었을 것 같다. 나도 그런 휴지심(?)같은 부분을 뭐라고 하는 지 궁금했는데, 답은 "지관", "휴지심"이라고 불린다고 한다. (내가 생각했던 단어가 맞았다니!) 천이나 휴지를 둘둘 말아서 보관하는 물건에 쓰이는 것은 모두 지관이라고 불린다고 한다.




단어를 확인하면서도 책에서 질문하는 물음 (170개 정도의 질문)에 절반도 맞춤법을 찾아내지 못했다.  자주 쓰이는 단어지만, 보편적으로 헷깔리는 단어를 알려고 하지 않고 모른 상태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을 것 같다.  이번에 확실하게 알게 된 표준 단어를 포함한 맞춤법 국어를 꾸준히 반복해서 사용하면, 정확한 국어 맞춤법을 인식하게 되지 않을까 싶다. 글 실수를 예방하기 위해서 맞춤법 검사기는 물론 국어 표준 단어를 확인하기 위해 알게 된 국립 국어원 표준 국어 대사전도 활용해 보면 좋겠다. (https://stdict.korean.go.kr/main/main.d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