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미의 반가음식 이야기
김경미 지음 / 행복우물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반가음식, 반가란. 양반의 집안을 뜻하거나, 부처의 좌법(좌선할 때 앉는 방법의 하나)를 뜻한다.  의미는 두 가지로 나뉘지만, 이 책에서 반가의 의미는 양반의 집안을 뜻한다. 전통음식의 연구자이자 대통령상 수상 김치 명인인 저자 김경미씨의 이 책은 책 날개에서 정의하듯, 조선시대 유교문화의 상징인 종가를 포함한 사대부가에서 먹던 음식이라고한다.






책의 표지가 눈에 띈다. 책 표지의 떡은. 꽃 송편이다. 색감이 너무 예뻐서 바로 내용을 확인해보니. 색감을 내는 것이 시간을 많이 할애할 듯 하다. 익반죽으로 멥쌀가루를 5등분하여 색을 내는 것만 해결하면 다음 순서는 어렵지 않아 보였는데, 꽃 송편의 색감은 치자와  데친 쑥, 진한 오미잣국과 팥앙금을 사용한다고 한다.  또 책에서 처음 알게 된 부분이, 꽃 송편의 다른 말이 오려 송편이라는 점이다.   *오려 송편은 처음 듣는 단어였는데. 특별히 추석 때의 송편은 올해 수확한 벼를 이용해 만들게 되는데,  그런 이유로 '오려 송편' 이라고 부르기도 한다고 하니. 새로웠다.







산양삼 영양밥, 삼합초, 생선전골, 전복죽, 국수장국, 규아상(궁중이나 양반가에서 여름에 쩌먹던 만두), 약식 등 책에서 소개하는 음식의 이름만 봐도 담백하고 건강한 음식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맛은 물론 전통식까지 배워보는 시간을 줄 것 같다.


또 책의 특징은 기존 책들이 무선제본인 방식인 반면, <김경미의 반가음식 이야기>는 사철 제본이다.   고전적인 방식이긴 하지만, 튼튼하고 펼침이 좋아 수요가 많은 편이다.   대체로 표지를 하드커버로 제작해 양장도서를 제작하는데. 이 책의 방식은 그와 함께. 책등을 덮지 않고 노출하는 누드 제본의 변형 방식이었다. (물론 절반은 누드 제본이며, 표지를 덮는 띠지가 표지를 대체하기도 한  독특한 편집, 제본 방식을 가지고 있었다. 






요리 책을 볼 때면 무선 제본으로 펼쳐서 보기 힘들었다거나, 전통식으로 건강을 챙기고 싶은 분들에게 적당한 책이다.  조선요리학, 한국식품사연구 동국세시기 김치의 인문학적 이해 등의 참고문헌만 봐도 책의 가치를 높여주는 것 같아.  건강한 요리를 위해서 책의 레시피를 확인해 보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