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블 : 부의 대전환 - 돈의 미래를 결정하는 지각변동
존 D. 터너 & 윌리엄 퀸 지음, 최지수 옮김 / 브라이트(다산북스)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주식 혹은 부동산을 매입 할 때, 미래 실적을 실제보다 과대평가해 잘못 판단하거나, 스스로의 무지로 잘못 판단하는 사람들을 그냥 따라하는 경우가 있다. 경쟁적으로 모방해서 실패하는 이런 사례들은 특히, 버블기에 많이 발견된다. 실제로 정부가 주택 소유 비율을 높이려고 의도했을때, 주택 버블이 형성된 경우가 종종 있었다. 금융버블 역시 공공 부채를 줄이고자 정교하게 설계된 계획의 일부인데, 이를 버블 스파크라고 한다. : 불꽃이 기술혁신 또는 정부의 정책이라는 두 요인으로 발생될 수 있다고 주장하는 것 언론에서 버블올라타기를 유도하거나, 정치인들이 역이용하는 등, 저자는 이들 뿐 아니라 논평가의 글과 연설까지도 광범위하게 조사한다. 버블 문제를 키우고, 가담한 이들은 누구이며, 누가 고통을 받고 혜택을 받았는지를 설명하고, 300년에 걸쳐 광범위하게 다룬다.


*버블 올라타기 : 버블이 일단 시작되고 나면, 전문투기꾼들이 앞으로 올라갈 자산을 매수한 후, 큰 이익을 남기기 위해 " 나보다 바보인 사람"에게 팔아치울 계획을 세운다. 이런 행위를 통상 "버블에 올라타기"라고 한다.



이전에 투자할 수 없었던 사람들에게까지 시장을 확대하는 효과를 준 영국의 남해회사가 대표적인 버블의 사례이다. 시사차익 버블은 계층간 이동이 늘어났다는 장점이 되기도 했지만, 가난한 사람들이 유복한 정통앨리트 코스를 밟고 올라와 엄청난 돈을 벌게 되었다고 비난한 계층도 물론 있었다. 대부분의 투자는 여전히 슈퍼리치들이었음은 당연하다. 조작자들은 일반투자자들이 아닌 기존 부자들이 더 많았다.


버블로 혜택을 본 일반 투자자들을 향한 부자들의 행동은 부정적일 수 밖에 없었고, 조작에 함께한 언론들은 어땠을까? 국가는 나라의 빚을 덜기 위해 언론과 협업해야 했다. 신문사들은 실제 투자자들에게 계획에 대해 정확한 정보를 주지 않았다고 하는데. 그 이유를 두가지로 나눠 설명할 수 있다고 한다. 첫 번째는 신문사들을 정부가 완전히 신뢰할 수 없었다는 것이며, 두 번째는 신문사에서 정보를 적절하게 평가할 필요능력을 갖춘 사람들이 거의 없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올바른 정보가 뭔지 모르는 투자자들은 누구의 평가가 정확한지 확신할 수 없었기 때문에 주식 투자와 관련된 수익은 대부분은 부자들이 가져갔다.



#버블생성자, #옵션거래, #분할차입주식, #반버블법, #편향적신망, 

#튤립파동, #슈퍼리치, #레버리지, #주택버블, #존로, #모멘텀투자자


이후 1800년대를 넘어 주식회사를 설립하려는 붐이 일었고, 이후 주식시장은 어떤 이유로 인해 패닉에 빠진다. 부동산의 호황으로 땅을 사고 팔기만 해도 얻어지는 레버리지는 버블이란 주제와 연관되어 빠지지 않는 단어이다. 지금의 정치인들이 부동산 대출 규제를 철폐하는 척 하며, 정부의 대안을 뒤에서 챙기는 것들과 금융시스템이 만든 부동산 버블의 종말은 어쩌면 지금의 동산 흐름과 연결할 수 있는 주제가 될 것 같다. 부동산과 주식, 그리고 인플레이션과 경제적 흐름, 부의 양상을 모두 한꺼번에 해석해주는 책이라. 한 두번 반복해 읽으면 좋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