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리비우스 로마사 3 - 한니발 전쟁기 ㅣ 리비우스 로마사 3
티투스 리비우스 지음, 이종인 옮김 / 현대지성 / 2020년 12월
평점 :

역사가 리비우스는 나이 마흔이 되기까지 고향을 떠나 본 적이없다. 작가 리비우스는 제정이 시작하는 시점에 로마 공화정을 몰락으로 이끌었던.원인들을 진단하고 있다. 티투스 리비우스, 그는 이탈리아를 국적으로 한 이탈리아의 역사가다. 40년 동안 로마 건국부터 아우구스투스의 세계 통일에 이르는 역사를 기술한 142권의 로마건국사가 있는데 이는 상당 부분 유실 되었다. 이번에 출간된 "리비우스 로마사"는 10권씩 한 단위로 묶어 150권까지 쓴 내용(총 4권) 중 3권이다.
로마사는 교회와 성직자의 개입 없이 도덕적인 덕목에 의해 정치 공동체가 유지 되고 보전될수 있다는 것을 왕정에 보여주었다. 로마 왕국의 정체성 형성이 지금에 이르기까지 그 시대의 높은 관직이나 공직자가 만든것이 아니라. 시민이었던 일반 사람들의 노력과 화합으로 만들어졌다는 것을 알수 있는데. 어느 역사서를 보든지 지금의 민주적인 생활의 뿌리는 역사에서 함께 싸워준 사람이 있었기 때문이다. 권력과 그 안에 전쟁, 욕심과 탐욕은 시대와 나라를 불문하고 있어 왔다는 걸 다시금 상기시키는 것 같다.
로마 하면 떠오르는게 그리스 로마 신화 였던 것에. 방대한 세계사중 하나인 로마사 리비우스 역사가가 쓴 부드러운 필체의 "리비우스 로마사"를 읽어본다면 로마의 정치전략으로서의 문화자본과 배경 그리고 중세 로마사의 정치와 문화의 관계를 다시금 생각해 볼수 있는 기회가 될것이다.
-------------------------------------------------------------------------------------------
21권에서 30권으로 해당되는 <리비우스 로마사 3권>은 포에니 전쟁으로 시작된다. 한니발은 카르타고의 명장으로 카르타고는 지명이름으로 한니발과 로마와의 숙명적인 포에니 전쟁으로 유명한 곳이다. 카르타고는 현재 튀니지(리비아와 알제리 사이의 나라)의 도시 이름이다. 책은 포에니 전쟁의 서막으로 시작된다. 지중해의 두 강자 한니발(카르타고)과 스키피오(로마제국) 의 전쟁으로 한니발은 아버지 하밀카르 바르카스의 이른 죽음으로 지휘관이 될 수 있었지만, 한니발의 나이가 너무 어렸던 관계로 하밀카르의 사위 하스드루발이 8년 정도 군을 지휘하게 된다. 하지만 하스두루발은 스페인 사람에게 살해당하고, 그의 후계자는 빠르게 한니발로 결론난다. 젊은 병사들에게 신뢰를 얻었고, 한니발이 통솔하면 병사들은 언제나 전투태세와 대담함의 측면에서 최고의 상태를 보여주었다.
16 page
한니발은 아주 위험스러운 상황에도 전혀 위축되지 않았고, 그런 일이 벌어지면 오히려 전보다 더 탁월한 전술을 보이며 돌파했다. 보초를 서거나 경계 업무 중인 일반 병사들 사이에서 그가 맨땅에다 망토를 깔고 자는 모습은 흔한 일이었다. 그의 장비는 그가 탄 말처럼 늘 이목을 끌었지만, 입고 있는 군복은 그렇지 않아서, 같은 지위나 계급을 기닌 다른 장교들의 옷과 조금도 다르지 않았다.
포에니 전쟁은 3차까지 이어졌지만, 로마군의 총사령관 "파비우스 막시무스"의 "지연 전략"과 젊은 로마 장군 스키피오가 한니발의 본거지인 이베리아를 정복함으로써 결국 로마의 승리로 끝이난다.
page. 713
하스두루발의 병사들은 본격적인 전투를 시작하기도 전에 한낮의 태양으로 인한 열기와 배고프고 목마른 채 무장하고 서 있던 피로감으로 지치기 시작했고, 실제로 몸을 지탱하고자 방패에 기대야 할 정도였다. 여기에 더해 무엇보다도 로마 군 기병대와 경보병대의 빠른 움직임에 겁먹은 코끼리들이 양쪽 날개에서 중앙으로 움직였다. 이 모든 상황으로 지치고 사기가 떨어진 카르타고 인들은 후퇴하기 시작했다. 승리한 로마 인들이 이득을 볼 수 있는 상황임을 깨닫고 사방에서 더 힘을 내어 공격을 강도를 높였기 때문이었다. 카르타고 인들은 더 이상 버틸 수 없었다.
*포에니 전쟁: 책에서는 로마 사람들이 '카르타고'인들을 부르던 이름을 "포에니" 라고 정의하는 반면, 다른 자료(지식백과) 에서는 '포에니' 를 '페니키아'를 가리킨다고 말한다.
로마의 카르타고 정복과 스페인 정복은 어떤 측면으로는 이탈리아와 무척 비슷하다고 저자는 말한다. 전투에서 패배하고 사령관을 잃은 카르타고인들이 대서양으로 물러날 수밖에 없던 점은 이탈리아와 상황이 유사했다는 것이다. 이 부분에서 로마의 젊은 장군 스키피오에 주목하게 된다.
page.710
스키피오가 가까운 언덕 뒤 은신처에 배치한 기병대가 제때 도착해 적에세 의외의 공격을 가하지 않았더라면 로마 공병들은 지독한 봉변을 당할 뻔 했다. 빠르게 로마 군 보루 가까이 접근했거나 실제로 공병들을 공격하려 했던 적군 기변들은 이내 로마 부대의 공격을 받고 흩어졌다.
스키피오가 장악하고 로마의 기병대와 병사들을 이동해 공격하는 장소들이 여러 군데 나타난다. 그리고 원로원과 집정관 등 등장인물들의 연관성이나 로마 공화정의 구조를 책의 상단에 만들어 놓았다면 더 좋았을 것 같다. 지도가 그때 그때 페이지의 내용에 맞춰 삽입되었다면 전쟁의 흐름과 장소를 더 뚜렷하게 기억하고 이해할 수 있지 않았을까 아쉽다. (실제 책의 마지막 3장에 걸쳐 지도가 첨부되어 있지만, 일일이 책을 읽다가 마지막 장으로 넘겨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 때문에, 지도와 지명을 알기 위해 인터넷으로 지도를 확인해야 했다. ) 저자 리비우스는 고대 로마의 역사가로 그가 쓴 리비우스 로마사는 그의 생각들이 역사와 함께 서술되어 있다.
책의 내용이 방대한 것은 그가 대제국 로마를 건설한 로마인의 도덕과 힘을 찬양하고 있기 때문이며, 글이 연대와 월 일에 따라 오래된 사건에서 새로운 사건 순서대로 계속 늘어놓아 기록되어 있기 때문일 것이다.
리비우스 로마사는 1000 page가 넘는다. 결코 단기간에 읽을 수 없는 책이다. 로마를 찬양하지만 역사적 근거를 가지고 자세하게 서술한 티투스 리비우스의 이 책은 책의 소개글처럼 이 책을 읽지 않고 로마사를 말 할 수 없을 정도로 방대하고 재미있는 책이다. 리비우스 로마사의 1권부터 다시 읽어야 로마사의 진면목을 알 수 있을 것 같아 조만간 1권부터 다시 읽어볼 생각이다.
*편년체 :: 역사 기록을 연.월.일. 순으로 정리하는 편찬 체재이다. 이러한 체재는 편찬이 용이하며, 역사 기록을 분산시키지 않아 역사를 구조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