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빅데이터로 부자의 지름길을 가자 - 인공지능 빅데이터 취업, 창업, 사업노하우 100억짜리 인사이트
서대호 지음 / 율도국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AI 빅데이터, 미래 전망하는 유력 사업이며, 수익성이 높아지고 있어 많은 이들이 접근하고 있는 분야이다. 교육에서도 이미 AI관련 인공지능개발자 양성을 위해 초등학생 때부터 기본 교육을 의무로 실시하고 있다.  AI를 모르면 21세기 문맹으로도 취급하고 있는 만큼, 문과 이과를 불문하고 모든 학생들이 빅데이터 공부를 시작하고 있다. 


기존 데이터보다 방대한 데이터들을 수집, 관리, 저장 하는 것은 물론 분석하는 역량을 넘어서는 규모로 변화하기 때문에 어떤 그룹에서는 빅데이터를 테라바이트 이상의 데이터로 정의하기도 하며, 데이터를 처리하는 아키텍처라고 정의하기도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기업들을 대상으로 솔루션을 제작, 프리랜서 수입, 강의수입, 인세료 등등 저자의 수익구조는 다양했다.  프리랜서 플랫폼에 이력서를 올리고, 프로젝트를 수행하니, 동업제의 스카우트 제의가 왔다고 한다. 초기에는  부족한 실력에 7시간 가까이 책, 논문을 읽고 무크(MOOC)또는 세라(Coursera) 를 통해 온라인 강의를 듣는 등., 프리랜서의 기본 사항(?) 인 자기 개발은 중요해 보인다.  대학교에서도 AI빅데이터 학과가 많지 않거나 없기 때문에 독학은 원서와 온라인 강의로 공부했고, 역시 실력 입증은 자격증이라고 말한다. 


page.24

국내 저자의 관련 도서가 매우 빈약하기에 원서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 예를 들어 "추천시스템" 이라는 키워드로 아마존 닷컴과 국내 서점에서 검색을 해보았을 때 아마존 닷컴은 589권, 국내 서점은 4권 정도 결과가 나온다.  온라인 강의는 코세라, 무크, 유데미를 활용하면 무료 또는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세계 최고 대학의 강의를 들을 수 있다.  영어 자막 기능이 있어서 수업 내용도 거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원서를 해석하고 이해할 수 없는 사람들이 많은데, 강의를 듣거나 영어를 해석하기까지 해야 한다는 점에서  관련 자격증 취득이 더 접근이 용이해 보인다. 저자는 빅데이터 분석기사시험 이외의 자격증으로 데이터 분석 검정 (ADP/ADsP), SQR자격검정 (SQLP/SQLD), 경영 빅데이터 분석사 사회조사분석사가 있다고 말한다. 굳이 전문가 ,1급 자격증을 따기 보다 준 전문가 2급 자격증을 획득해도 전반적인  내용을 다 알 수 있으니, 1급 자격증에 목매지 않아도 된다고 설명한다. 1급과 전문가 자격증은 외워야 하는 부분이 많으니 시간 소모가 많다고 덧붙였다.


저자의 수입 형태는 다방면이라, 스스로의 능력을 키우는 것이 우선적으로 보인다. 책을 읽으면서 빅데이터 작업의 특징을 예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빅데이터 공부를 조금이라도 빨리 시작하면 좋았겠다는 생각을 절로 하게 한다. 초봉 또한 적지 않은 데다, 미래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게 될 시스템이기 때문이다. 


page. 12.13

내가 솔루션 알고리즘을 고도화해서 성능이 잘 나올 수록 인센티브 지급 비율도 늘어난다. 기본급+ 인센티브로 대기업 신입사원 월급보다 많이 벌고 있다.  ~ 나의 회사에서 버는 사업 소득은 개인 프리랜서가 아닌 회사 명의로 프로젝트를 수주 받는 경우다 회사 내 회사로 계약을 맺다 보니 프로젝트 단가가 높다. 내 소유 사업 소득으로만 월 3000만원 가까이 번다.  또한 회사 대 회사로 업무를 하는 거라 프리랜서에 비해 상대방이 함부로 대하지 못한다. 계약 과정도 철저하다 보니 분쟁이 생길 염려도 없다. 


데이터를 구매하고 가공함에 따라 지원되는 사업비 구성이라던가, 숙련된 데이터 분석가들이 주로 하는 데이터 수집 <데이터믹시>, 프로젝트 계약을 맺고  선금을 지급받고 시작되는 투입인력과 항목, 미래에서 사라질 직업에 청업 아이템을 생각할 수 있는 작은 TIP, 빅데이터에 정부 예산이 쓰이는 형태로 알아본 특화 분야 모집 규모 등 읽을 거리가 많았다. 


경제, 경영, IT 서적은 특히 애둘러 말하는 것이 아니라, 정확한 핵심만을 꼽아 설명해야 한다. 일반인들에게 설명하는 글로는 만족스럽지만, 과연 많은 개발자들이 공감하는 내용일지는 조금 의문스럽다. (저자는 평균적으로 성공의 길을 가는 사람이면서, 많은 곳에서 다방면으로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연관 산업을 수주했거나, 관련 직종을 준비중이라면 저자의 설명과 생각들이  도움이 될 것 같기는 하다. 특히 인공지능, 빅데이터 전문가가 되려는 고등교육 졸업 이상의 성인들과 창업아이템으로 빅데이터를 이해하기 위한 창업가들에게는 추천할 만하다. 이미 그 자리에 있는 사람들에게는 다른 사람의 생각을 읽는 것이지만, 미래 그 길을 가려는 사람에게는 저자의 말이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코로나로 인해 회사 내에서도 재택근무를 실시하는 등. 비대면이 많아졌다. 코로나로 인해 기업의 수익도 낮아졌으나. 코로나가 종식하는 시점에 다시 빅데이터 관련 산업이 활성화되지 않을까 기대해본다.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다루는 사람들에게 적기는 없다.  전반적인 빅데이터 산업의 흐름을 알아두면, 취업과 사업 노하우에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