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말이 상처가 되지 않도록 - 후회 없이 말하고 뒤끝 없이 듣는 감정 조절 대화법
노은혜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20년 10월
평점 :

심리학에서 말과 연결되는 감정 대화법은 가장 중요하다. 생각만 하는 것이 아니라 말은 일종의 표현이기 때문에 누구나 말 실수를 하면 시간이 지나 후회를 더 많이 하게 된다. 상대방이 기억하고 누군가에게 말을 전하거나, 나의 속마음을 더 많이 전달해 왠지 손해보는 느낌, 믿을 수 있는 사람인지 확인도 하지 않고 더 많이 오픈하게 되면서 느끼는 수치심 등. 감정에서 말은 가장 중요한 표현이나 다름없다. 그래서 자기 계발서에서 말을 잘하는 법, 심리와 관련된 조절 대화법은 특히나 유용하게 쓰이는 것 같다.
너무 뻔하다는 느낌이 드는 책이라면 두 번 이상 손이 가지 않는데, 이 책은 주제마다 눈의 동공이 커질 만큼 공감가는 내용들이 많았다. 상대방이 친해지고 싶다는 생각에 마음을 열고 이야기를 했지만, 상대적으로 나는 나의 이야기를 하지 않았었다. 사람사이를 잘 믿지 않는 것도 있었고, 우선은 급하게 친해지는 것은 나의 방식이 아니었다. 상대와 나의 친밀감 정도를 고려해 마음을 오픈하는 법은 그래서 과거의 사람을 생각하면서 읽게 한다. 어느 정도가 되어야 상대방과 나 사이를 오픈해야 하는지를 묻는다면, 저자는 나를 오픈할 때는 상대방과 나 사이의 거리를 살피며, 침묵으로 감정을 정리해야 한다고 대답했다. 침묵은 때론 많은 것을 느끼고 이해하게 한다.
상대방이 권위적이거나 혹은 나이가 많은 상하 수직 적인 관계라면 나의 일을 유독 참견할 여지가 많아진다. 걱정이라는 단어 안에 관심이라는 감정을 두고 있지만, 듣거나 상황에 처하는 사람에 따라 참견 혹은 시비가 된다. 그럴때는 " 제가 알아서 할께요." 라는 말이 절로 나온다. 그렇다고 바로 발설할 수도 없다. 상대방이 좋게 받아들일 수 없는 말이라, 욱한 감정이 올라오면 나도 모르게 내뱉는 말이다. 적절한 대체어가 뭐가 있을까? 저자는 우선 상대방이 이 말을 했을 때의 감정을 그대로 들려주라고 말한다. 예를 들면, " 빨리 아이를 가져야지. 나이도 있는데 " 라는 말에는 " 그러니까 이모 말은 제가 결혼한 지 3년이 넘었는데 아직 아이를 안 가지니까 임신이 안될까봐 나중에 임신하고 힘들어질까봐 걱정된다는 말씀이시죠?" 이렇게 물으면서 대답하는 것이다.
page.27
나를 낮출 수록 나는 더 낮아진다. 사소한 일 하나하나를 자신을 비하하는 요소로 삼거나 자책한다면, 생각의 길은 "내게 가혹한 방향" 으로 굳어지고 만다. 스스로를 인정하고 수용해 마땅한 상황에서도 자기에게 긍정적인 감정을 느끼는 일에 거부감을 갖게 된다.
왜 이렇게 상대방의 생각을 그대로 말하면서 질문아닌 대답을 해야 할까? 듣기 싫은 말이라고 느끼는 이유는 그 말이 이미 자기 감정의 영역에서 받아들여지지 않는 주제이기 때문이라고 저자는 설명한다. 언뜻 그렇게까지 이야기를 해야 하나 싶다가도, 상대방이 생각하는 감정을 나도 이해하고 있으니. 그만 잔소리 하세요. 라고 돌려 말하고, 뭉뚱그려 말하는 효과도 있을 것이다. 지혜롭게 반응한다면 그들의 염려와 불안 노파심은 사라질지 모른다고 말하는 저자의 말이 이해가 간다.
내 감정이 소중하면, 다른 이들의 감정도 당연히 소중하다. 말이 상처가 되지 않도록 서로의 감정을 위해 말하는 법을 알려주는 심리 자기계발서가 필요하다면 선택해봐도 좋지 않을까 싶다.
똑같은 말도 어떤 사람에게는 아무런 타격이 없고, 어떤 사람에게는 오랜 시간에 걸쳐 회복해야 할 상처가 됩니다. 이는 말 자체가 파괴적 이라기 보다 그 말을 듣는 개개인의 마음밭에 따라 '말' 이라는 씨앗의 영향력이 달라짐을 의미합니다. -프롤로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