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 권으로 끝내는 인사.노무 실무가이드 - 2021 최신개정판
이승주 지음 / 새로운제안 / 2020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회사를 다니면서 휴일에 대한 궁금증은 누구나 생긴다. 과거보다 노동법에 관한 정보를 쉽게 찾아 볼 수 있어서 관련 책 한 권이면 노무에 관해 잘 알 수 있다. 질문과 답으로만 구성된 인사 노무 실무가이드. 군더더기 없이 질문에 답하는 Q&A 방식이다.
책은 2021년 개정판으로, 2020년 3월 31일을 기준으로 바뀐 연차휴일 사용 개정이 보인다. 과거에 2년차 입사기준에서는 최대 26일 (1년 미만 11개+ 1년 15개)을 사용할 수 있었지만, 이제는 최초 1년 간 연차 휴일을 15일만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 즉 연차휴가를 2년치 몰아서 한꺼번에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이다. 1년 간씩 정해진 갯수에 맞춰 사용함으로 변경되었다. 그리고 회사가 경영상 연차휴가사용을 강제하는데, 근로자가 휴가를 사용하지 않으면, 회사는 그 미사용 휴가에 대한 보상을 할 의무가 없다고 규정하고 있다. (근거 : 근로기준법 제 61조)
그리고 취업규칙에 연차사용강제의 조치가 없어도 회사측에서 강제하는 경우는 [회사가 노사 간의 합의없이 임의로 시행 할 수 있다] 라는 임금근로시간책정-3353 에 근거해 강제사용촉진 조치를 시행할 수 있다고 본다.

또 육아휴직관련해 임신을 하고 육아휴직을 하려 계획중이라면, 고용보험에 가입한 180일을 넘겨야 한다는 걸 잘 알고 있을 것이다. 이는 실제 유급처리된 기간, 그러니까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근무한다고 할 때 그 5일 기간을 휴일없이 일하고 180일이 지나야 휴직급여를 받을 수 있다고 한다.(실제 근무하지 않은 토요일과 일요일은 날 수 에서 뺀다. 계산하지 않는다.) 간단히 말하면, 평균 한달 근무 일 수을 20일이라고 할 때 (20*9 = 180) 9개월이 넘어가야 고용보험 필수 가입일인 180일을 넘겼다고 보기 때문에 실제 근무 개월 수는 6개월이 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국가에서 지원하는 사업인 실업급여 지급일수도 같은 방식으로 계산한다.)

노동법은 해마다 조금씩 바뀐다. 그래서 해마다 개정하는 노무, 노동 관련 책은 구비해 두면 좋다. 아주 유용하게 쓰인다. 직장을 다니는 모든 사람들이 근로에 관해 궁금했을 사항들이 230가지 질문과 답으로 확인되는 책이라 최근까지 바뀐 법령을 확인해 볼 수 있으면 좋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