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상에서 가장 재미있는 83가지 새 이야기
가와카미 가즈토.미카미 가쓰라.가와시마 다카요시 지음, 서수지 옮김, 마쓰다 유카 만화 / 사람과나무사이 / 2020년 10월
평점 :
절판


물에 뜨는 오리를 보면 방수능력이 있는 새가 또 있을까? 하고 궁금하곤 했다. 인어처럼 물 속에서 헤엄치는 가마우지, 방어형인 오리와 달리 잠수해서 재빨리 물고기를 잡아야 하는 가마우지는 공격형에 가깝다고 한다. 그래서 가마우지의 깃털은 발수성이 낮고 물과 잘 어우러지는 것 같다.
까마귀가 동물의 사체를 먹는다는 것은 인간과 더불어 살며 쓰레기에서 먹잇감을 찾기 시작한 것과 연관이 있다고 한다. 쓰레기라는 개념이 없는 까마귀는 동물의 사체를 먹는 "청소동물"이라고 한다. 까마귀는 때때로 동물의 뼈를 둥지 재료로 삼기도 한다고 하니, 동물의 사체와 까마귀를 앞으로 연관지어 생각할 것 같다. 저자의 말처럼 까마귀같은 전문가가 없다면 자연에는 사체가 넘쳐나 역병이 유행하고, 비위생적이며 불쾌한 세상이 될 가능성이 클 것이다. 마치 하이애나처럼 말이다.
딱따구리는 나무를 쪼아 구멍을 뚫고 나무 깊숙이 숨어있는 곤충을 잡아먹는데, 평소에는 입 속에서 목 옆으로 빠져나와 뒤통수에서 정수리로 두 개골을 한 바퀴 빙 돈다는 사실은 새로웠다. 딱따구리가 나무를 뚫을 때의 충격은 교통사고와 맞먹는 수준이라고 하니, 딱따구리의 부리와 함께 머리가 얼마나 단단하게 적응했을지 놀랍다.
야생 조류 중 최고령을 달성한 새가 있다고 한다. 예순일곱 살까지 살았다는 바닷새 앨버트로스가 그렇다. 새들의 나이를 어떻게 잴 수 있을까. 그렇게 오래 산 새를 발견해내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닐 것이다.

---------------------------------

한 쪽에는 만화형식의 그림이, 한쪽은 글이다. 그래서 그림으로 보고, 글로 이해한다. 아기자기하고, 귀엽게 표현된 여러 새들은 깜찍함을 넘어 책에 대한 기대감을 높인다. 공중에서 구애작전을 펼치는 멧비둘기, 먹이를 땅에 묻어두는 습성의 십자매, 비둘기가 목을 까닥거리는 이유 등등. 2장에 걸쳐 이 책에서 등장하는 새를 확인하면 새들의 습성을 자세히 알 수 있게 된다. 참새와 까마귀, 제비는 너무도 흔하게 볼 수 있는 새라 더 반가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