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삼국시대, 진실과 반전의 역사 - 유물과 유적으로 매 순간 다시 쓰는 다이나믹 한국 고대사 ㅣ 서가명강 시리즈 12
권오영 지음 / 21세기북스 / 2020년 8월
평점 :

고대사의 불확실성 이로 인한 책임론에서 결코 자유롭지 않은 역사학자들. 저자는 그런 이유로 이 책 <삼국시대, 진실과 반전의 역사>를 집필했다고 한다. 따라서 고대사 중에서 남아있는 사료가 많은 삼국시대에 집중해 있다. 누구나 들어봤을 "임나일본부설"을 시작으로, 현재의 영토 안에서 벌어진 과거의 모든 역사를 자국 역사로 만들기 위한 중국의 <다민족 통일국가론> 과 고대 일본이 한반도 남부를 정치. 군사적으로 지배했다고 주장하는 일본의 <남선경영론> 이 있는데, 우리는 임나일본부설 외에는 잘 알지 못한다. 책에서 가장 먼저 눈에 띈 부분은 임나일본부설에 대한 이야기였다.
우리가 식민지로 전락했던 일제강점기에 제일 취약한 부분이 가야였다. 일본 관학자들이 가야사를 심하게 왜곡했는데, 임나는 가야를 말하는 것이다. <가야에 일본 야마토 왕권이 직접 통치하는 통치기구를 뒀고, 그래서 그 통치기구를 기반으로 백제와 신라를 간접 통치했다는 것이 일본, 그들의 입장인 것이다.
*임나일본부설 :: 일본 야마토 정권이 4세기 후반 한반도 남부 지역에 진출, 가야에 일본부라는 기관을 두고 지배했다는 주장으로, 일본의 한국사 왜곡 사례 중 하나.

현재 임나일본부설은 결정적인 자료들로 더이상 일본은 가야를 자신들이 통치한 국가였다고 말할 수 없게 되었다. 이것을 조사한 것은 놀랍게도 고대사학자들이 아닌 20대의 젊은 친구들이었다고 하니, 다시 새삼 놀라게 된다. 김해 대성동 고분군, 이 무덤은 금관가야의 왕릉이다. 버스 한대 만한 무덤안에 도굴을 당했지만. 같은 시기의 일본에서 나온 유물을 완전히 눌러버리는 모습을 보여주었다고 한다. 양과 질 수준에서. 더구나 시기도 더 빨랐다고 한다. 역사의 왜곡을 시도하려는 움직임이 끊임없이 일어나는 것은 저자의 말처럼, 터무니없이 부족한 사료의 한계 때문일 것이다. 일본이 한국을 식민지화 했을때, 강아지의 털(삽살개,진돗개)까지 공출해 갔고, 더불어 한국역사 사료까지 불태워 버렸다. 이처럼 가야의 왕릉을 발견하고 일본은 가야를 더이상 자신들이 통치했다고 하지 않는다. 또한 일본의 왜곡이 심한 [고사기], [일본서기] 는 앞으로의 한국사의 방향을 위해서도 걸러내야 하는 부분이다.

역사는 시험을 위해 혹은 승진, 취업을 위해 공부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역사를 타의에 의해 공부하고 나면 조금은 한국사에 대해 보는 시각이 달라진다. 고대사에 대해, 가야 혹은 백제의 정보가 상대적으로 적다는 생각이 드는데, 삼국시대의 진실과 유물, 유적으로 한국고대사를 깊게 설명해주는 책이라. 새로웠다. (임나일본부설은 알고 있었지만, 중국의 다민족 통일국가론은 알지 못했던 부분이었다.) 저자 권오영 교수는 서울대 국사학과 교수로 책에서 못 다한 이야기들은 유튜브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서가명강의 책들은 모두 주제도 쓰임도 유익해 꼭 읽게 되는 책이다. 3년 전 한국사 시험에 합격하고, 공부를 하면서 꾸준하게 역사강의와 책을 찾게 된다. 그만큼 역사를 보는 시각이 달라졌는데, 사료로도 확인 할 수 없는 삼국시대의 내용은 가치가 높은 것 같다. 더 많은 지식과 강의를 듣고 싶다면 유튜브 서가명강을 검색해보면 좋을 것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AR4Jq7QYp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