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계절 곤충 탐구 수첩 - 어느 날 내가 주운 것은 곤충학자의 수첩이었다
마루야마 무네토시 지음, 주에키 타로 그림, 김항율 옮김, 에그박사 감수 / 동양북스(동양문고)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길을 가다 곤충학자의 수첩을 주었다면 기분이 어떨까.  많은 곤충그림과 이야기 그리고 특징이 분명 자세히 적혀있는 책은 특히 아이들이 보면 너무 좋아할 것이다. 책은 365일을 기록한 곤충 메모들이 가득하다. 실제 사진이 실려 있다기 보다는 곤충학자가 직접 그린 곤충들과 작은 메모가 많다. 그래서 더 새롭게 다가올지 모르겠다. (실제 사진은 5개 정도가 확인된다.)


어릴 적 나비를 손으로 잡은 적이 있었는데, 손에 하얀가루가 묻어났었다.  친구들과 하얀가루가 뭔지 궁금해 했었는데,  책에서는 이를  "인편"이라고 알려준다. 아주 고운 비늘 모양의 가루이며, 사실 이 인편은 털에서 변화한 가루라고 한다. 책은 이처럼 가장 기본적인 곤충들의 특징과 습성을 알려준다. 실제 일본 저자가 쓴 내용 중에 부족하다 싶은 내용은 글 하단을 확인하면 된다. 일지의 글을 보완했기 때문에 특히 이해도를 높여 좋았다. 





집 근처 풀들이 많은 곳에서 꼬리 부분이 집게모양을 하고 있던 벌레를 본적이 있는데, 집게 부분이 많이 단단했다. 책에서 확인해보니 이 벌레는 민집게 벌레였다. 민집게 벌레( 나무 껍질 아래, 낙엽쌓인 돌 밑 또는 산지) 에벌레는 어미의 사체를 먹으면서 성충으로 자라며, 이렇게 새끼를 돌보는 곤충을 통틀어 "아사회성 곤충"이라고 한다.  곤충을 잘 몰라도, 평소 눈에 많이 띄는 곤충을 보면 궁금할 때가 있는데, 책에서는 전부는 아니어도 보편적인 벌레들에 대해 다룬다. (더구나 바퀴벌레도 확인할 수 있다. ;;  명주잠자리 애벌레가 개미귀신이었다는 것은 이 책으로 처음 알게 된 사실이었고, 평소 개미들을 보면서 신기해 했던 물음이 있었는데. 그 이유도 알게 되어 좋았다.


Q 개미는 어떻게 한 가족이라는 걸 알까?

A 그 해답은 체표, 탄화수소라고 하는 물질 때문이다. <냄새로 구별하는 것>  같은 종의 개미라도 집이 다른 개미를 한데 섞어 놓으면 싸움이 벌어지고 만다.  




초등학교 아이들에게 곤충은 징그러운 대상일 수 있다.  특히 도시에 사는 아이들은 곤충을 손으로 만지거나 직접 관찰하며 커 오질 않았기 때문에  책에서 보여주는 스케치된 그림과 간단한 메모는 더 집중하게 하지 않을까 싶다.  책을 보는 어른에게는 달력이 도움이 될 지도 모르겠다.  우리나라에 맞춰진 각 지역에서 볼 수 있는 벌레들을 정리해 놓았기 때문이다.   책은 몰래 수첩을 보는 것 같은 느낌을 주는 데 책의 구성이 수첩 형식이라 그런 듯 하다. 그래서인지 책을 보는 내내 재미있다는 느낌을 가질 수 있을 것 같다. 





*사바나: 건기가 뚜렷한 열대와 아열대 지방에서 발달하는 초원.

*개미귀신: 명주잠자리 애벌레

*부엽토: 풀이나 낙엽이 쌓여 썩으면서 만들어지는 흙

**LED 등(조명)::: 자외선이 거의 없기 때문에 벌레도 잘 모이지 않는다.

예전에는 가로등이나 편의점 불빛 때문에 죽는 벌레들이 많았는데, 요즘은 

LED 등으로 바뀌면서 에너지 절약뿐만 아니라 벌레들도 아주 살기 좋은 환경이 되고 있다.

*벌들은 더운 걸 싫어해서 한여름이 되면 활동을 멈춘다. 이것을 "여름잠"이라고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