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 허슬러 - 직장인이 사이드 프로젝트로 성장과 수익을 모두 거머쥐는 방법
심두보 지음 / 회사밖 / 2020년 6월
평점 :
품절






사이드프로젝트:: 회사에서 하는 일 외에 내가 잘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고민하는 단계


사이드프로젝트를 예로 들어 두 직장인이 협엄해 만든 사이드 프로젝트를 들 수 있는데, 가족 혹은 스스로 동업을 한다거나 오픈 마켓을 열어 동대문 물건을 운반하는 등  본업으로 하는 일 외의 부업형식의 일을 말할 수 있다. 


page 35

직장인 사이드 허슬러가 이야기 하는 중요한 기준은  "당신이 하고 싶은 일이냐" 는 것입니다.  부업은 또 하나의 일이고, 본업의 수익을 보강하는 수단이 됩니다.


-본업으로는 경제적인 충족이 되지 않을 때, 부업을 시작하게 되는데  이 때 잘하는 일이 본업이라면, 부업은 잘 하고 싶은 일이 될 것이다. 부업 중 하나 일 수 있는 사이드 프로젝트의 배경엔 선입견이 있다. 친숙하지 않은 일 때문에 본업에 악영향을 주지 않을까 우려하는 시선들이 그것이다.  소위 " 딴 짓 한다" 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하지만 책에서는 밀레니얼 세대의 인식이 기성세대와 다르듯, 밀레니얼 세대는 사이드프로젝트를 숨기기보다 경력 중 하나라고 인식한다고 말한다. 또 회사에서도 장려한다는 이유로, 좀 더 긍정적으로 활성화되어 있다고도 한다. (개인적으로 일부 그렇지 않은 회사들도 반드시 존재하기 때문에 아직까지는 사이드업을 하고자 할때,  비밀리에 하는 것이 맞다는 생각이다.)



회사 성과가 나의 성과가 됐던 시대는 이미 저물었다. 저자는 사이드업을 시작하려는 사람들은 우선 혼자 시작하라고 말한다. 

1. 처음 시작하는 사이드업은 되도록 혼자 시작하라. (본인도 설득이 되지 않는데 다른 사람을 끌어들이는 건 조금은 무책임하다) 그리고 주위사람을 활용하라고 말한다. 

2. 주위의 의견은 당신에게 도움이 된다. 궁금한 것이 있다면 SNS친구에게 물어보자.( 일면식도 없음에도 우리는 위험부담없이 호의를 베풀 수 있다.)


page.56

대기업일수록 B2B비즈니스일수록 특정산업에 대한 종속도가 높을수록 회사내에서 얻은 경험은 특정기업에서만 그 가치가 높아집니다. 물론 이 같은 구조 때문에 더 높은 연봉을 받는 근거가 되기도 합니다.



내가 생각했던 것들은 어쩌면 다른 사람도 찾던 것일 수 있기 때문에 회사의 사이드업프로젝트를 준비하려면 우선 탄탄히 구축된 나만의 강점에서 시작하는 게 좋다고 말한다. "활용"에 대한 고민을 SNS 혹은 책, 지인, 친구와의 더 깊은 대화로 해결해 보길 제안한다. 




막막하다 싶은 사이드 프로젝트를 시작하려고 책을 보려는 사람들이 있을 것 같다. 유튜브로 1인기업으로 수익을 내는 것이 부럽기도 하고, 선망의 대상이기도 한데. 우선 가장 진입장벽이 낮은 책에서 정보를 구하려 한다면. 이 책이 참고가 될 수 있을 듯 하다. 책을 읽고 마지막 결정은 본인이 하는 것이지만, 일상에서 소재를 찾는 것. 인플루언서 마케팅. 공장이 없어도 상품 만들기가 가능한 방법, 출판으로 본업의 일을 하면서 작가가 될 수 있는 길, 등등은 책의 내용이 두루뭉실한 느낌으로 전해질 수 있는데 좀 더 확실한 방향을 제시하며 명확한 길을 보여준다. 우리나라에만 있는 제품을 찾아서 아마존에서 팔아 본다던지. 브런치에 글을 꾸준히 작성해 출판업계에서 출판 제의를 받는 다던지 하는 것 말이다.  생각지 못했던 방법들은 더 많을 것이고, 책을 읽으면서도 개인이 순간 번쩍하고 떠올릴 아이디어도 분명 있을 듯 하다. 아이디어를 모으는 건 가장 기본적인 단계고, 주변인들에게 피드백을 받는 것은 그 다음일 것이다. 




더불어 책 속에서 안정적으로 직장을 다니면서 2개의 직업을 가진 성공사례를 읽으면 적어도 생활에 안주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충분한 자극제도 될 것이다. 저자가 10년 넘는 기자생활을 했기 때문에 투잡(사이드프로젝트)을 위한 이론과 주제에 대한 구성은 훨씬 신뢰도를 높이는 것 같다.  장점만을 이야기 하지 않고, 계획중의 단점도 이야기 하고 있기 때문에 참고하기 좋을 책이었다. 



page. 87

"서비스는 어떻게 만들어야 하나요? ", "외주는 어디에 맡겨야 하죠?" 와 같은 질문부터 시작해 별의별 문의가 계속 있었죠. 우리는 이걸 하나하나 교육 프로그램으로 만들기 시작했어요. 프로그래밍, UX디자인과 같은 걸 시작했죠. 흥미로운 점은 이런 프로그램에 참여한 분들 중 스타트업 관계자는 30%밖에 되지 않는다는 것이었습니다. 나머지는 일반 회사에 다니는 직장인이었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