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체성의 심리학 - 온전한 나로 살기 위한
박선웅 지음 / 21세기북스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체성은 자아 뿐만 아니라. 삶을 살아감에 있어서 더 큰 자존감을 만든다. 자신의 정체성을 알면 자존감은 스스로 따라 온다. 개인적으로 자존감과 정체성은 멀리 있지 않다 생각하고 있는데, 이 책은 정체성에 대한 주제와 함께 심리학적으로 다가간다. 


많은 이들이 "나" 를 중심으로 더 잘사는 방법, 인생을 조금은 편하게 살 수 있는 방법 등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 그 중심에는 내가 있고,  가장 중요한 것은 정체성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꾸준히 다닐 직장 따위는 사라진지 오래다. 따라서 과거 안정적인 상황에서  멀어져 불안정에 가까운 우리 모두에게 정체성에 대해 질문하는 이 책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저자가 말하듯. 거창하거나 대단한 이야기가 아니라서 책의 내용이 더 크게 와 닿는다. 어린 시절의 괴로움이나 좌절감은 지금의 유쾌한 나를 만드는 그림자 역할을 하게 되며, 삶의 의미에 있어서 자존감은 살아가며 힘든 상황을 이겨낼 수 있는 힘을 만들어 준다고도 말한다. 



꾸준하게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을 스스로 할 수 있게 하는 사례들과 심리학적 특성은 진정한  "나"를 만나는데 도움을 준다.  저자는 심리학과 교수로 온전한 나에 대해 깊게 생각할 거리를 자신의 전공과목인 심리학적 문제로 제시한다. (심리학과 정체성은 너무 잘 어울리는 주제가 아닌가 싶다.)  권력이 높거나  직업이 대단 하다거나 수입을 높게 창출하는 이들을 예로 두는 게 아니라,  평범한 사람들의 평범한 이야기를 예시로 둔다. 따라서 일반인들에게 더 공감을 준다. 이 점은 책의 특징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마음이 허전하고 심난한 미래에 걱정하고 있거나  자신의 현재가 암담하다는 생각을 해본 사람에게 특히 정체성을 주제로 한 책은 중요해 보인다.  따라서 자신의 감정을 올바로 직시하게 할 시간은 그만큼의 가치가 있다.  심리학과 정체성을 논하는 책이라. 자신의 감정을 온전히 바라볼 수 있게 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나" 에 대한 질문을 꾸준히 하길 바란다.  그러면 정체성 회복에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