셋이서 집 짓고 삽니다만 - 함께 사는 우리, 가족이 될 수 있을까? 요즘문고 1
우엉, 부추, 돌김 지음 / 900KM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동 저자 우엉, 부추, 돌김 세명의 이 이야기는 우리들이 한번은 생각해왔던 남과 사는 삶 그 자체다. 그들은 독서 모임에서 서로를 알게 되었고, 셋은 꾸준히 늘어가는 이사의 횟수만큼 좀 더 능률적으로 행복하게 살 궁리를 하다 결론적으로 같이 살게 된다.  3명이 함께 산다는건 누구나 생각하듯  짝수가 아니기 때문에, 다 큰 어른들의 생활방식의 차이 때문에 고민스러운 관계다. 도시의 집값을 줄이기 위해  경제적인 이유로 서로가 함께 살기로 합의 아닌 합의를 하지만, 세명의 작가들 모두 뭔가에 꽂히면 깊이 고민하기 보다는 저지르길 좋아한다는 그 성향에도 일사천리로  함께 살게 된 이유도 있을 것이다. 




2인 가구였던 두명이 1인을 더해 3명의 가족이 된다. (개인적으로는 3명 보다는 2명이 더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책은 각자가 생각하는 1인칭 시점의 일기 형식을 모아 한권으로 엮었는데, 우엉이 말하는 부분에는 자연스럽게 부추와 돌김이 나온다. 그리고 돌김, 부추 또한 서로의 이야기에 상대방이 등장한다. 책을 만들고 서로가 작성한 이야기를 교차하며 읽어보면서 어떤 생각이 들었을까. 책의 첫 장에 치솔 3개, 그리고 많은 책들은 3명의 저자 모두 같은 성향의 사람들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  가족이라는 형태에서 마음이 맞는 사람들과 함께 사는 것은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해봤던 이들은 분명 이 책을 손에 쥐었을 것이다. 그리고 쉐어하우스에서 살든 살 예정이었던 사람들 모두에게  남남인 세명이 함께 산 일기장과 같은 이 책의 내용이 많이 궁금할 것 같다. 책에서는 서로가 같이 살면서 양보해야 하는 것들과 배려해야 하는 것들 그리고 그럼에도 충돌이 발생하는 상황  등에 대해

이야기 한다. 부추와 돌김은 결혼이라는 제도 때문에 법적인 부부가 되지만. 같이 살고 있는 우엉은 가족이 될 수 없다.(법적인 부분에서 우엉은 가족으로 인정받지 못한다.)우엉이 가족이 되려면  입양을 해야만이 가능하다.정상가족이 아니라는 사실은 한국에서의 여러가지 가족 형태에 다양성을 인정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저절로 정치적인, 법적인 부분을 연결해 생각하게 하는데. 시간이 지나면 가족의 형태를 인정해주는 법안이 마련될지는 모르겠지만. 이 책에서는 그런  불편함? 등에 대해 고민할 거리를 던져주기도 한다.   

 



아주 잠깐. 독립에 대해 생각해 봤는데, 역시 경제적인 이유로 혼자서는 살 수 없다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여성이기 때문에 안전이라는 부분에 대해서도  문제가 될거라는 생각을 해본다. 그리고 무엇보다 가족이라는 형태에 법적인 인정을 받지 못하기 때문에 많은 이들이 한 집에 살지만. 가족이 아니게 되기 때문에  이 점은 고민이 되는 부분이었다. 하지만. 셋이 함께 살고 있는 가족의 형태를 이야기하는 이 책의 출간 이전에  많은 책들이 가족의 여러가지 다양성을 이야기했기 때문에  곧 법적인 부분에서도 보안되는 법안이 마련되지 않을까 싶은 생각이 든다.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결혼, 이민, 입양으로 인한 가족형성이 아니라, 남이 모여 가족이 된 이야기는 이런 부분에서 충분히 생각할 거리를 제공하지 않나 싶다.  혼자였다가 새로운 가족이 된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부분들이 반드시 있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