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4색 인간 - 내면의 균형으로 가는 길
막스 뤼셔 지음, 김세나 옮김 / 오르비스 / 2020년 4월
평점 :
절판

색채에 기반한 심리 진단법 <적색, 녹색, 청색, 황색>으로 상응하는 심리를 핵심으로 설명하는 책이다. 자신감과 행동, 막연한 걱정들, 사회활동 위축의 팬데믹 현상.. 이러한 여러가지 상황속에 놓여진 심리를 색채의 속성으로 체험하며, 변화시키는 데 의의를 두고 있다.
- 감수의 글 -
" 이 책의 저자인 막스 뤼셔는 색채심리진단법으로 오랫동안 수 많은 대기업과 정치, 경제영역에서 경제적인 목적을 위해 사용되고 신뢰도를 쌓으며 고문여할을 하였다. ~ 그의 또 다른 업적은 자율신경, 병증의 유무, 신진대사의 상태까지 도출하는 의학분야로까지 논리적으로 입증되어 무수히 적용된 사례들이다. "

내게 중요한 것은 당신이 당신의 욕구와 행동이
어떤 이유에서 인지를 스스로 알게 되는 것, 그것이다.
색채심리학을 전공하지 않아도 우리 모두는 색상 4가지로 색상환을 만들 수 있다는 걸 알고 있다. 그리고 저자는 이런 색상은 바라보기만 해도 특정한 느낌을 전해주는데, 독자들 스스로가 네 가지 감정을 토대로 체험하고 생각하고 행동하기를 바란다. 그리고 이 책 <4색 인간>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 싶으면, 당신이 별로 좋아하지 않는 사람에게 선물하라는 말도 덧붙인다. <개인이 생각이 다 다르듯, 책을 보고 만족해 할 사람이 있고, 부정적이 되는 사람이 있을 것이다. 저자는 이런 부분을 콕 찝어 마음에 들지 않는 사람에게 선물하라고 말했다. 아마도 사회 여러곳에서 인간관계의 갈등이 시작되듯, 간접적으로 접하는 책에서 도움을 받기를 바라는 마음이지 않았을까 싶다.>
책에서는 네가지 자기 감정, 그러니까 색상으로 대표되는 성격을 예로 든다. 녹색의 경우 "지존"이라는 단어로, 황색의 경우 "내면의 자유"라는 이름으로, 적색은 "자기신뢰"가, 청색은 "내면의 만족"이 된다. 우리들이 색상을 정의하는 감정과는 조금 거리가 있음을 알 수 있다. 4가지 색상 모두 "의존"이라는 단어를 피한다. 속박에 굴하지 않는 자기감정을 정의하고 있는 것인데, 그 정의에 정확한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 예시가 많다.

심오한 철학서에서 이야기하는 삶과 색상을 주 주제로 한 내면세계를 함께 설명하는 부분이 많다. 읽는 독자에게 질문식의 답변을 한다. "당신의 내면세계는 ~", "외부현실과 내부현실의 원인은 환경여건의 심리학 학습과정에 ~" 등등. 어려운 단어들이ㅁ 집합된 문장들이 눈에 띈다. 조금 어려울 수는 있으나, 문장에 예시를 항상 제시하고 있어서, 이해하는 데 어려움은 없다. part 1 보다는 part2 가 객관적이고 정신적 작용에 훨씬 가까운 색상의 내용을 다루기 때문에 공감할 수 있다. 스스로가 직접 자신의 성격과 내면을 확인할 수 있는 part 4는 색상과 심리가 같은 연장선에 있다는 느낌과 함께 재미있다는 생각을 줄 것 같다. 삶과 내면을 다루기 때문에 철학적인 부분이 있는 책이다. 표지의 컬러원판에서 자신이 어느 부분에 가까운 사람인지만 확인해도 책에 대한 가치와 시간은 아깝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실행하지 않으면, 유익은 없다.
- 에리히 캐스트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