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획자의 일 - 아이디어, 실행, 성과까지 일의 흥망성쇠를 좌우하는
양은우 지음 / 비즈니스북스 / 2020년 6월
평점 :
보고서 마케팅 그리고 관찰은 기획업무를 하면 빠질 수 없는 것들이다. 그만큼 기획관련 책들은 여러 분야로 나뉘어져 있다. 제안서작성, 보고서작성, 기획안, 기획업무, 마케팅, 등등 파생되는 무수히 많은 책들 중 이 책은 <관찰의 기술>을 쓴 저자의 후속작이라 더 눈길이 갔다. 마케팅기획으로만 25년 일했던 저자답게 기획업무에 대한 내용이 비전공자나 일반인들에게 어렵지 않게 쓰여져있다. 그래서 경험에서 비추어진 노하우와 기획업무 내용이 쉽게 읽힌다. 더불어 기획과 관련된 일을 하는 사람들에게 더 없이 중요한 이론서가 될 것이다. 대기업에서 오랫동안 기획일에 대한 강의를 하고 책을 출간한 이력의 저자의 이 책은 직장에서 반드시 쓰이는 기획일과 마케팅에 대해 관찰의 중요성과 함께 다양한 시선의 관점, 손에 잡히는 아이디어를 만드는 방법 등등 직장생활에서 도움이 되는 기획업무 전반적인 내용을 다룬 이론서라고 할 수 있다.
기획에 대해 막연하게 어렵다는 생각은 누구나 하고 있을 것 같다. 무에서 유를 창조하듯, 아무 것도 없는 빈 상태에서 사업을 기획하는 일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닌데, 따라서 기획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책을 찾는다면, 이 책이 적당할 듯 싶다.
상사에게 보고하기 위해서 쓰이는 문서는 기획일에 가장 주요한 것들 중 하나다. 상사의 시간을 빼앗지 않게 스스로가 보고서의 내용을 명확히 파악하고 있는지, 보고서에 자신의 주장이 선명하게 드러나 있는지, 주장을 한마디로 압축할 수 있는 지 등을 생각해야 하는데, 이는 참 난해한 말이며 너무 뭉뚱그려진 말이라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그 주장을 뒷바침하는 표와 도표( 어떤 책이든 그림과 표의 삽입은 중요하다.) 가 확인되며, 방법과 방향을 제시해준다. 기획에 대한 물음을 시작으로 결론을 찾는 법, 뇌리에 박히기 위해 복잡하지 않고 단순하게 말할 수 있는 방법과 콘셉트 등에 대해서도 알려주는데, 기획과 마케팅의 업무를 하는 사람들에게 특히나 주요한 내용으로 보인다. 디자인에서도 쓰이는 마인드맵을 기획에서도 쓰고 있는데, 고구마 줄기 같은 해결책. 책에서는 이런 클러스터 기법에 대한 방법을 설명하고 이 방법을 착안해 기획하는 것도 제안하고 있다. LG전자 연구소의 연구 기획팀이 팀끼리 열심히 돌려본 책이라고 하니, 단숨에 기획력을 끌어올리고 싶은 사람이라면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