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친일파 - 반일 종족주의 거짓을 파헤친다
호사카 유지 지음 / 봄이아트북스 / 2020년 3월
평점 :
품절

일본의 왜곡된 역사기록을 대변하는 친일파(이우연,이영훈)의 주장을 객관적 사실에 근거하여 조목조목 비판한 일본인이지만 한국인인 작가의 글이다. 일본의 만행을 부정하는 한국인(친일파)의 주장을 전면에서 부정하는 일본인(일본인이라고 읽고 한국인이라 말한다)의 글이라는 점에서 이미 충분히 흥미롭다.
더구나 역사를 왜곡하고, 일본인의 편에 서서 책을 출간한 한국인의 주장을 일본인인 저자가 한국의 편에서서 객관적 사실에 근거해 조목조목 반박하고 있으니, 상황이 참 아니러니했다. 물론, 저자의 국적은 귀화해 한국인이다. 그러나 태어난 곳 자라온 곳 모두 일본이기 때문에 일본인이었다는것을 부정하긴 어렵다. 한때 일본인이었던 그가 일본인이 쓴 논문이나 사료집, 객관적 사실에 근거한 기사를 인용해, 한국인의 편에서 책을 썼다. 그래서 책의 내용이 더 설득력있게 다가온다. 한국인으로 귀화했어도 일본어를 하니, 일본 기사나 사료집에 대한 해석을 좀 더 확실하게 할 수 있었을 것 이다.

책 속 내용중, 신친일파 이영훈은 친일파의 대표인물이다. 그가 주장한 내용 대부분은 한국인으로써 황당하고 어이가 없다. 과거 친일파를 정리하지 못했던, 아니 안 했던 정권의 문제가 클 것이다. 친일파 청산의 문제를 확실하게 끝맺지 못한 것이 지금의 신친일파를 양성한 것이나 다름이 없다. 특히 분개하게 만드는 부분은 위안부를 창녀라고 표현한 부분이다. 이영훈의 인용글은 위안부를 단순한 매춘부로 주장하는 일본 우파가 즐겨 쓰는 부분이다. 전면에 등장하는 내용 대부분이 일본 우파의 인용이다. 이런 얼토당토 않은 친일파 이영훈이 학자가 맞는지가 의심스러웠다. 진실을 왜곡하는 일본 우파나 한국의 신친일파들은 하늘이 용서하지 않을 인권유린자임이 분명하다. 나라를 팔아먹거나, 다른 나라를 섬기는 한국인이라니. 역사를 왜곡,은폐하는 이영훈이 서울대를 나왔다는것도 의아했다. 경제학 박사라는 사람이 역사학자로 둔갑한것 같아, 한국 교육계의 발전까지도 저하될까 우려하기까지 했다.
반일 종족주의라는 책을 출간한 이영훈이 이우연과 함께 식민지 근대화론을 주장하고 역사를 왜곡하는 비정상적 행위를, 오로지 역사적 진실에 부각하여 논리적으로 설명한 호사카 유지 저자의 글이 많은 사람들에게 읽혀지기를 바란다. 한편으로는 일본인이었던 그가 한국인으로 국적을 바꾸고 귀화하기까지. 친일파들을 보면서 어떤 생각을 했을까. 한국인이 한국의 역사를 설명하고 주장하는 것보다 일본인이었던 그가 한국의 역사를 말하는 것이 훨씬 설득력이 있는 이유가 거기에 있을 것이다. 한국사람도 일본인들의 반발에 대해 주장하거나 반박할 기사를 준비하지 않는데, 한국인으로 귀하한 일본인 저자가 주장한 글이자 책은 많은 점을 느끼게 했다.

저자는 한국과 일본의 관계를 공부하기 위해 한국에 왔지만, 나중엔 한국인으로 귀화한다. 책의 서문에 보면 그는 "대한민국"을 "우리나라"라고 표현했으며, 일본을 "일본인"들이" 라고 말했다. 그의 저서에는 객관적 사실과 입증 가능한 문서들을 실어놓아, 역사를 공부하는 학생이나 일반인들에게도 역사의식을 고취하기에 좋을 것 같다. 친일파로 살고 있거나 친일파 가족들이 보면 더 더욱 좋을 것 같다. (과연 책을 읽고 내용에 대해 반박할 수 있을까?) 조선시대, 위안부, 일본의 만행과 용서하지 않는 일본에 대해 울분이 있는 한국사람, 친일파 모두에게 역사 관련 필독서로 꼭 추천하고 싶다.
< 일본 땅을 다 주어도 내 청춘을 돌아오지 않습니다.
위안부로 살다 간 문옥주 할머니의 말씀이 슬프다 못해 한 맺힌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는 말 그대로, 우리는 잊지 않고, 기억해야 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