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담하고 역동적인 바이킹 - 전 세계의 박물관 소장품에서 선정한 유물로 읽는 문명 이야기 ㅣ 손바닥 박물관 4
스티븐 애슈비.앨리슨 레너드 지음, 김지선 옮김 / 성안북스 / 2020년 5월
평점 :

바이킹은 스칸디나비아 일부, 노르웨이와 스웨덴 그리고 아이슬란드를 본토로 하고 있다. 9세기와 10세기를 넘어가면서 영국과 스코틀랜드, 아일랜드 등으로 정착지가 뻗어갔으며, 현재 바이킹은 여러 책과 매체에서 소재로 다루어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많다.
그 중에서도 가장 정확하며 많은 정보를 알 수 있는 것이 박물관 견학일 것이다. 과거 바이킹의 역사와 유물을 직접 눈으로 보면 많은 공부가 되겠지만, 세계적으로 발생한 바이러스는 그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외출을 하면서도 주변을 신경써야 하는 이 때 시기적절하게 너무 알찬 기획의 책이 출간되었다. 성안북스의 <손바닥 박물관>이 그것이다. 방구석 박물관이라는 제목에 맞게 책에서 많은 정보의 유물을 확인 할 수 있는데, 내가 택한 책은 4권 대담하고 역동적인 바이킹이다. 1권 고대 로마를 시작으로 고대 그리스, 고대 이집트, 마지막 바이킹 까지 유럽의 고대 유물을 손바닥으로 대조하며 읽을 수 있다. (현재는 4권으로 만들어졌지만, 개인적으로 아시아, 아프리카 등 여러 곳의 유물도 함께 출간되면 좋겠다는 바램이 든다.)
사진으로 보여지는 유물의 크기가 대략 가늠하기 어려워 글로써 이해해야 하는 게 기존의 책이었다면, 성안북스에서는 기발한 아이디어로 책의 페이지마다. 손바닥 그림을 그려 넣었다. 유물 옆에 손바닥, 혹은 유물의 크기에 따라 사람 모양이 들어가기도 하는데, 이런 아이디어 하나로 유물의 크기를 가늠해 볼 수 있어 책을 보는데 훨씬 도움이 된다.

바이킹하면 떠오르는 것이 토르의 망치. 그리고 바이킹의 수염이다. 토르의 망치는 영화에서 보는 것과 실제는 얼마나 똑같을까 기대하며 책을 확인했지만, 아쉽게도 토르의 망치가 아닌 토르의 망치 부적과 망치 펜던트들이 확인된다. 많이 알고 있는 유물들 보다는 잘 알려지지 않은 유물들이 훨씬 많이 구성되어 있었다.

바이킹의 수염을 연상하게 하는 투구 또한 양각으로 돋을 새겨 엄청 정교하다. 책을 보면서 유럽의 모든 유물들은 장식이 굉장히 세세하다는 걸 느끼게 된다. 특히 브로치, 펜던트 등의 장식품은 너무 아름답다. 금빛과 은빛 . 과거에 살던 사람들의 세공기술이라던지 디자인적 감각이 얼마나 대단한지를 알 수 있게 한다. 유럽의 세계사에 무지한 나에게 토르의 망치부적(page.73)이라던지. 현시대에 판매해도 많은 사람이 구매할 만한 굉장한 세련됨을 보여주는 브로치라던지 (page.133) 특히, 상상조차 못했던 인간의 배설물의 유물은 너무 놀라웠다. 9세기에 있던 분석이 아직까지 보존되어 있다는 것도 놀라운데, 형태까지 선명하게 보관되어 있었다. 그리고 현미경 분석을 통해 곡식의 겨를 대량으로 섭취했다는 사실, 대장에 두 종류의 기생충이 있었다는 사실을 밝히기도 한다. 그저 과거에 살던 사람들의 생필품, 문화였을 모든 것들이 시간이 흐르고 시대가 변해 유물이 된 것 뿐인데, 그런데 재미있다. 이처럼 상상조차 못했던 유물을 보면 웃음도 나온다.
여성들이 착용한 장식품과 거푸집을 보고, 초상화의 스케치를 보면, 당시의 귀족들의 생활을 상상해볼 수도 있다. 유럽과 아시아를 비교 할 수도 있고, 유물을 보면서 많은 것들을 알게 된다. 한국사를 알고 나니 세계사가 궁금해졌는데, 그 중에서도 유럽 스칸디나비아 반도, 바이킹에 대해 자세히 알 수 있어 유익한 시간이었다. 다음에는 고대 그리스 책을 읽어볼까 생각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