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셰익스피어 4대 비극 세트 - 전4권 - 햄릿, 오셀로, 맥베스, 리어왕 ㅣ 더클래식 세계문학 컬렉션 (한글판)
윌리엄 셰익스피어 지음, 한우리.김민애 옮김 / 더클래식 / 2020년 3월
평점 :
절판

**윌리엄 셰익스피어:::: 영국 최고의 시인이자 극작가. (1564.4~1616.4) 8남매 중 셋째, 극작가로 성공했으며, 희극 배우로도 활동했다. 셰익스피어의 4대 비극은 모두 윌리엄 셰익스피어가 상연한 연대에 따라 4기로 구분한 시대 중 제 3기(원숙기: 1601~1608)원숙기 에 쓰여진 작품이다.
* 맥베스는 "권력을 향한 욕망"으로 비극을 초래한 이야기를 다룬다.
(악과 선에 대한 자유의지)- 절대적 악의 구현 .
* 햄릿은 작은 아버지의 권력 욕망에 희생된 아버지의 "복수"를 그린다.
(두 일가족의 몰살이야기)_시기적절한 타이밍, 우유부단의 아이콘
* 리어왕은 딸과 아버지의 관계 속 다양한 "인간의 내면"을 예리하게 관찰한다.
(배은망덕과 배신)_ 선의 승리와 타인에 대한 공감
* 오셀로는 진정한" 악"이 한사람을 어떻게 파멸시키는 지 보여준다.
(영악한 인간이 살인자가 되기까지)_악의 적용 방식과 진화과정.
책은 모두 대본형식으로 극작에 쓰인 비극을 보여주며, 다이얼로그 방법의 의사소통(두 명 이상이 주고 받는 대화체)의 구성이다. 무대에서 배우가 곁에 있는 사람을 두고 홀로 말하는 방백이 사용되 대사를 하는 이의 이중적인 심리를 확인할 수 있다. 언어의 배열에 일정한 규율이 있는 운문 형태의 문장을 사용하기도 한다. 셰익스피어의 희곡 대부분은 운문형태이다. 시를 읖조리거나 노래를 부르는 장면이 여기에 속한다. 리듬을 살려 쾌감과 긴장감을 동시에 느낄 수 있다. 은유적인 표현들이 많아. 모호하게 숨겨진 글은 읽으면서 두뇌의 활성화를 돕기도 한다. (과학적인 증명의 사실)
page44. 리어왕 (광대의 노래)
광대들이 설 자리가 없다네.
똑똑한 것들이 바보가 되고
가진 지혜를 쓸 줄 모르니
그들이 하는 짓이라곤 바보흉내뿐이라.
* 대본: 연극이나 영화 촬영에 있어서 기본이 되는 책. 대본은 희극이나 시나리오에 기초를 두고, 공연조건이나 촬영조건에 알맞도록 작성된다. 각본과 동의어이며, 대본 가운데 영화나 텔레비전에 사용하는 것은 특히 콘티뉴이티(continuity)라고 한다. 인물의 등장 · 퇴장 · 행동, 무대장치 등을 구체적으로 지시하는 내용이 씌어져 있다.
*다이얼 로그: 연극에서 의사소통을 이루는 주된 방법 : 대화, 독백, 방백, 침묵 모두를 포함하고 있으나 특히 독백(monologue)과 대응하는 뜻으로 쓰인다. 그리스어 dialogos가 어원이며 두 명 이상이 주고받는 대화를 의미한다.
햄릿의 경우 주옥같은 문장이 넘쳐난다. ( 오필리아의 아버지 폴로니어스가 아들 레어티즈에게 한 말.)
"몇 가지 교훈을 네 기억에 새겨둬라. 네 생각을 발설하지 말아라. 절도없는 생각을 행동에 옮기지도 말고 친절하되 절대로 천박해지면 안 된다. 싸움에 낄까 조심해라. 허나 끼게 되면, 상대방이 널 알아모시도록 행동해라. 귀는 모두에게 입은 소수에게만 열고 모두 의견을 수용하되 판단은 보류해라."

인종차별,가족의 복수, 권력의 욕망, 등 도덕적이고, 종교적인 부분에 초점을 맞춘다. 행복한 결말이 아닌 비극적 결말로 무거운 방식을 선택(?)한 셰익스피어의 작품들은 섬세한 인간의 내면을 모두 적나라하게 보여줬을 뿐만 아니라, 도덕적 해이가 만연한 사회에서 상징하는 교훈들을 떠올려 보게 한다. 삶의 궁국적 가치가 어디에 있느냐에 따라 사람의 행동을 결정한다. 궁국적 가치와 수단적 가치에 대해 깊게 생각해 볼 수 있는 철학적인 문학작품 셰익스피어의 작품 속은 그래서 더 찾게 되는 것 같다.
:: 옥스퍼드 인용 사전에 따르면,
영어가 생긴 이후로 글이나 말로 가장 많이 인용된
구절들의 10분에 1이 셰익스피어가 만든 것이다.
:::::: 셰익스피어를 읽으면 뇌가 불탄다.? 셰익스피어의 글은 온갖 미묘한 관계에 대한 이야기이다.
기존 언어로 설명이 안되는 복잡한 감정들 . 은유적 표현. 연결성을 만들기 위해
뇌의 쓰이지 않던 부분을 사용하게 된다. 은유적 표현을 읽고 특정된 뇌의 부분이 활성화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