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죽은 철학자의 살아있는 인생수업 - 철학은 어떻게 삶에 도움이 되는가
시라토리 하루히코.지지엔즈 지음, 김지윤 옮김 / 포레스트북스 / 2020년 3월
평점 :

소크라테스의 제자는 플라톤이다. 소크라테스는 생전에 자신의 저서를 남기지 않아. 플라톤의 대화편과 저술서에서만 그의 사상을 유추해 볼 수 있다. 철학을 공부하거나 철학에 매료된 사람들에게 플라톤의 철학서와 사상은 큰 의미가 있으며, 2000년을 넘어 꾸준히 교과서와 이론서로 사용되고 있는 등, 후세 사람들에게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소크라테스의 유명한 "너 자신을 알라"라는 말은 그의 사상이 인생의 지혜(무지하지 않음)에 있음을 보여주며, 소크라테스의 제자 플라톤의 "자신을 이기는 것이 가장 위대한 승리다" 라는 말에서 플라톤은 "이성"을 최고의 위치에 두었음을 알 수 있다. 플라톤의 제자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은 밖에서 구하려 하거나 운에 의지해서 얻으려 하면 안된다"는 말에는 무너지지 않은 행복을 기를 수 있는 방법, 타인을 관용의 마음으로 덕을 행하라 는 것을 알려준다.

소크라테스의 명언 가운데, "자신을 화나게 했던 행동을 다른 이에게 행하지 말라"라는 말이 떠올라진다. 대표적인 명언 외에도 철학자들의 사상은 기본적인 인간들의 행동과 방식에 주의를 준다. 대표되는 철학자들의 주장하는 글은 사회적 흐름과 같이 설득력이 있다. 타인의 사상을 내 사상으로 심어 주기 위해서는 공감하는 부분과 깨달음을 얻는 문장이 있는데, 그 사상들은 각 철학자의 이야기와 함께 소개된다. 생각의 사고가 고차원적이며, 절대적인 철학에서 예를 들며 사례를 드는 방식과 문답법을 사용해 질문을 하고 예를 드는 방식은 이 책의 큰 특징이다.
어떻게 세상을 살아가야 하는지, 심오한 질문들에 시원한 답을 줄 수 있을 거라 생각해 철학자의 책을 읽는다. 하지만 대부분의 철학서는 의미가 아주 어렵거나 재미가 없다. 의미에 의미를 더해 문장을 읽으면서도 답을 유추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인생을 논하거나, 종교, 윤리, 비판적 사고를 주장하는 글에서는 복잡 미묘하기까지해 좀처럼 철학서는 손이 가지 않는다. 어려운 책을 쉽게 설명하는 두 철학자 시라토리 하루히코와 대만의 철학자 지지엔즈의 책은 죽은 철학자 12명의 사상을 서술한다. 중학생의 학생들이 읽기에도 어렵지 않게 예를 들기 때문에 쉽게 이해된다. 철학사상이 어렵다는 생각이 든다면, 이 책은 탁월한 선택일 수 있다. 따라서 철학에 관심이 있거나 철학을 자세히 알고 싶다는 입문자들에게 어려운 사상을 깊이 공부하기 전, 이 책을 먼저 읽기를 권한다.
<플라톤의 기개의 영혼>_ 분노, 의지, 용기.
사람은 욕망에 조종당하고 싶지 않다고 생각할 때 열심히 자신을 바꾸려고 한다. 자신을 조종하던 욕망을 날려버리고 이성이 주도하는 인생으로 전환하려고 애쓰는 것을 기개라고 할 수 있다. 분노나 의지 용기 등은 모두 기개의 영혼에 속하며 보통 단독으로는 존재하지 않고, 이성과 욕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해서 결합한다.
page. 136.137
칸트의 철학이 가르쳐 주는 인생의 지혜를 한마디로 정리하자면 "우선 한계를 이해하고, 각종 인식 형식을 파악하며, 나아가 능력의 범위 안에서 가장 합리적이고 적합한 해답을 찾아낸다" 가 됩니다. 우리는 이 지혜를 생활에서 잘 살려야 합니다. 무슨 일이든 한계가 있다는 사실을 이해하고, 이 세상에는 어차피 완벽한 인생 따위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면, 무언가를 과도하게 기대하거나 추구하는 일도 없어집니다.그리고 "주어진 인생을 받아 들이자"라는 생각을 하게 되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