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 나쁜 곤충은 없다 - 플라스틱 먹는 애벌레부터 별을 사랑한 쇠똥구리 까지 우리가 몰랐던 곤충의 모든 것
안네 스베르드루프-튀게손 지음, 조은영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호모 사피엔스가 지구에서 20만년을 보낼 때, 곤충은 1억 5000만년이 넘는 시간동안 지구의 하늘을 독점했다. 곤충이 성가시다는 생각이 들면 이 동물은 공룡이 나타나기 훨씬 전부터 지구에 살아왔다는 사실을 떠올리자. 그 사실만으로도 최소한의 존경을 받을 자격은 있으니까.



노르웨이 생명과학대학교 교수이자,노르웨이 생물학<보네비상>을 받은 작가는, 곤충에 대해 모르는 것이 없는 생물학 학자이다.이 책은 노르웨이 최고문학상 브라게상 과학부문 후보에 오른 책으로, 곤충의 놀라운 다양성, 곤충을 분류하는 방법, 곤충과 식물의 상호작용, 곤충이 인간에게 이로운 점.. 등등을 이야기한다.


각 부분에 걸쳐 곤충 일러스트가 그려져 있고, 칼라가 아니라는 부분이 아쉬울 수는 있으나, 그림 모두가 아주 섬세하게 그려져 있어 그림과 글을 감상하는데 문제는 없어 보인다. 


곤충에 대한 여러 매체를 보면, 벌은 항상 등장하는 주인공이다. 그리고 벌들의 군집 생활 만큼 그들의 번식성에 대해서도 많은 관심을 갖는다  과거 벌들이 적당한 거리에서 원격으로 여왕을 수정시킨다고 믿었던 생각들은  여왕벌의 생식기에 달린 수컷의 생식기로 인해 바꾸게 되었다.


 이는 여왕벌을 추종하는 무리에서도 간택받은 행운의 승자가 남긴 신체의 일부이다. 다른이들이 많이 알고 있듯,  여왕벌은 여러 마리와 교미한다. 하지만. 그 수컷벌들이 교미 하는 동안 생식기가 터지며 복부에서 떨어져 나간다는 사실을 아는 이들은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수컷이 살면서 죽기 전에 마지막으로 하는 일이 교미라는 점은 놀라웠다.




 수컷벌은 자연적인 교미현상으로 죽음을 맞이하지만, 닷거미나 사마귀 등은 동족 포식으로 암컷이 수컷을 먹음으로써 삶을 다한다.  닷거미의 경우는 정자를 전달 하자 마자 생식기가 터져 버리는데 남은 사체는 자식들을 위해 먹힌다. 이는 암컷 사마귀가  교미 중 등 뒤에 있는 수컷을 먹기 시작하는  현상을 봐도 알 수 있다. (사마귀의 경우 자연환경보다는 인위적으로 만든 상황에서 자주 발생한다는 점은 참고해야 하는 부분이다.)



 또, 사마귀의 암컷은 아주 특이한 행동이 관찰되는데, 수정 전에 몸속의 특별한 "정자은행"에 정자를 저장한 다음 어떤 정자를 남겨두었다가 나중에 사용할지를 여러 방식으로 조절한다는 것이다.

이를 증명하는 실험을 보면 알 수 있다.


-page63.

수컷 사마귀의 절반은 굶기며, 절반은 잘 먹인다. 암컷은 살아있는 것 절반, 죽어있는 암컷 절반을 둔다. 암수를 합치자. 굶은 수컷이나 잘 먹은 수컷 모두, 살아있는 암컷은 물론이고 갓 죽은 암컷과도 교미를 했다. 이후 암컷 몸속의 정자 은행을 확인해 봤더니, 죽은 암컷에서는 잘 먹은 양질의 수컷과 굶주린 저질 수컷의 정자가 동일한 양으로 검출된다. 하지만, 살아있는 암컷의 몸속에는 잘난 수컷의 정자가 훨씬 많이 들어 있었다고 한다. 이 결과는 양질의 강한 수컷이 자손의 아버지가 되게 하기 위해 암컷이 적극적으로 나서 전 과정을 통제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이 책에서는 곤충과는 사촌인 거미류를 다루기도 한다. 거미의 거미줄은 무게당 강도가 강철보다 6배나 튼튼하고  탄력도 뛰어난데, 거미 한마리에서 100미터 정도의 거미줄을 얻을 수 있다고 한다.  2012년, 황금 무당 거미가 뽑아낸 거미줄로 황금 드레스를 만들었다. 이 옷은 제작에만 4년이 걸렸다고 한다.  현재는 런던 빅토리아 앨버트 박물관에 전시 되어 있다고 한다. (정말 가서 실사로 보고 싶다.)   이 거미줄 드레스는 아침마다 80명의 노동자가 거미를 모아 작은 수동 기계에 올려 놓고 거미줄을 뽑아냈고, 밤이 되면 거미를 풀어주었다. 옷을 만드는데, 120만 마리의 거미가 동원되었다고 하는데, 이런 합성거미줄은 수용성 단백질로 만들 수 도 있기 때문에 연구 가치가 높다고 한다. 




곤충은 징그럽다 거나 쓸모 없다거나 근시안적인 판단으로 종의 다양성을 가벼히 여길 필요가 없다.  얼마든지  곤충의 장점을 착안해 더 과학적인 부분으로 발전시킬 수 있으며, 생태계에서 순리대로 따라가는 곤충을 보면서  인간도 자연과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방법을 찾아 갈 수도 있다.  곤충에 대해 누구보다도 정확한 시안을 가지고 있는 저자의 글을 보면서 곤충에 대한 편견도 없앨 수 있었다. 

특히 시끄러운 귀뚜라미가 노인 정신 건강의 특효약이 될 수 있다는 점과, 혐오스러운 바퀴벌레가 각광 받는 차세대 구조 대원이 된다는 사실은 놀랍고 신기한 내용이다. 이 책으로 생물학과 곤충에 대해 다양한 시각을 가지는 것도 좋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