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왜 스미스 여사는 내 신경을 긁을까? - 일상에서의 소소한 자유를 향한 여정
애니 페이슨 콜 지음, 원성완 옮김 / 책읽는귀족 / 2019년 12월
평점 :
친구여! 긴장을 내려 놓아야 건강하게 오래 살수 있다네!
왜 스미스 여사는 내 신경을 긁을까. 책은 긴장하는 습관에 대해 말하고, 그런 사례를 들어 다른 생각을 하고 마음의 여유를 갖자고 말한다. 당연한 말이지만, 실제 긴장 가득한 상황, 갈등의 상황에 있으면 여유는 커녕 예민해지기 마련이다. 그래서 사람에 따라 예민하고 자극에 쉽게 반응하는 사람들을 주제로 삼았다. 책의 목적은 해로운 습관을 짚어내고, 그들에게 실질적인 치유법을 제안하는 것에 있다.
나의 신경을 긁는 사람들, 어느 곳에 있던지 소속감이 있는 곳에서는 꼭 나와 맞지 않는 사람이 존재하게 마련이다. 어느 나라이건 간에 부딪치는 사람들간의 관계 개선에 집중한다. 다른 책과는 다른 방향으로 관계 개선을 위한 부분보다는 개인에게 중심을 맞추는 책이다.
예민한 사람을 대상으로 그들이 짜증을 내는 대상, 예를 들면 다른 이가 먹는 구운 콩에 설탕을 뿌려 먹는 것이 나에게 아무런 해를 주지 않음에도 그 상황을 보고 짜증을 내는 상황과 의자를 미친 듯이 흔들어 대는 사람의 행동 등을 비유하는데, 가깝게는 의자에 앉아 다리를 떠는 행동을 비교할수 있을 것이고, 문화적인 다름 (중국에서 먹는 마오딴: 부화과정에서 병아리로 부화하기 전에 중지된 음식)을 보고 경악하는 서로 다른 문화권에 있는 사람들의 생각을 비교할수 있을 것이다.
문화적인 다름은 나라마다 다른 문화적인 특색을 이해하면 되나, 다른 사람의 그릇된 행동은 이해하기 쉽지 않다. 특히 그 행동이 나에게 직접적인 피해를 줄 때는 문제가 커진다. 그래서 나와는 전혀 상관없는 일이다 생각하는 것은 아마도 어려운 일일 것이다. 이런 부분에서 저자는 다른 사람의 실수에 대한 저항과 압박감을 내려 놓으면 스스로 자신의 실수를 되돌아 볼 수 있다고 말한다. 남들이 하는 실수(예상치 못한 습관이나 버릇으로 인한 불쾌감) 등을 좀 더 넓게 이해할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모든 행동에 사사건건 시비와 간섭을 보이는 인물에게는 일에 집중하며, 그를 무시하는게 방법 일 수 있다고 하는데 어떤 말로도 시비적인 사람에게는 통하지 않기 때문에 최대한 멀리 하는 것이 좋으며, 그도 사람이기 때문에 자신을 싫어하고 멀리하는 사람에게 굳이 다가가지 않는다. 일일이 대응해가며 저항하는 스트레스를 만들지 말자고 한다.
저항하지 않는 방법을 배우고, 매일 순간 순간 저항감을 내려놓는 습관을 연습하라고 말한다.
1850년대 미국 보스턴에서 나고 자란 심리학 교수이자 저자 애니 페이슨 콜의 이 책은 중점으로 두는 부분이 달라서 일까. 공감가는 부분이 그렇게 많지 않았다. 외국인의 정서와 한국인의 정서가 많이 다르기 때문에 예를 든 모든 예시를 일일이 한국의 사례로 가져와 생각해야 했다. 책이 출간된 시간의 간극이 크기 때문이기도 했고, 그로 인해 오는 심리서의 답에는 수긍할수 있는 부분도 있고, 없는 부분도 있었다.
주제마다 요약한 한장의 요점들이 있어서 간단하게 읽을수 있다는 편리함이 있어 사례를 읽어보지 않아도 주제에 대한 답을 정리할수 있다는 특징은 있었다. 하지만 평온하게 살아가기 위한 정확한 답을 원했기 때문에 아쉬움은 남는 책이었다.
다음에는 최근의, 한국인의 정서와 정확하게 맞아 떨어지는.사례와 심리가 있는 책이 출간되었으면 하는 바램이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