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퇴사, 월급이라는 마약을 끊었다 - 어떻게 퇴사할지 감도 안오는 35살 가장에게
박성진 지음 / 인사청북스 / 2019년 10월
평점 :
품절

퇴사하기 전 저자는 금전적 위기에 직면하고, 이직이 아니라 또다른 수입원을 마련하기로 한다.
회사를 다니면서 사업을 하는 방법을 구상하고, 바로 실행을 했는데, 그 일이 금전적 보상으로 돌아오면
퇴사를 했다. 하고 싶지 않은 일을 하면서 살아온 모든 사람들에게 저자의 이야기는 자극제가 된다.
하고 싶지 않은 일인데, 생활비가 없기 때문에 억지로 다니며 일하는 직장인이 대부분일 것이다.
저자도 직장이 아닌 자신의 사업을 하며, 살고 싶어했던 것 같다. 더 이상의 직장은 안정적이지도 꾸준한 수입을 보장해주지도 않으니, 두아이를 위해 가정을 위해그리고 본인의 자유롭고, 여유로운 시간을 위해 그가 노력했던 일기(에세이)는 그래서 공감되며, 빠르게 읽힌다.
단계를 밟아가며, 퇴사를 꿈꾸는 이들에게 새로운 방법을 제시해주는 책
퇴사를 한 이유를 아내와 함께 아이들을 잘 키우기 위해서라고 하지만, 더 큰 이유는 언제 그만둘지 모르는
(자의적이든, 타의적이든) 회사에 저자 스스로 미리 준비한 것이라고 보는 게 맞는 답 같았다.
8시간을 얽매여 근무하는 것이 아닌, 시간을 자유롭게 써도 그 이상의 돈을 벌수 있기를 바란것이다.
출근하지 않고 퇴근하지 않아도 되는 자유에서, 직장인의 봉급 이상을 벌어 들이는 사업은 그만큼
동경의 대상이다.
page20
퇴사후, 저는 시간으로 일하는 것에서 벗어나려 노력했습니다. 온라인 유통이라는 사업 특성상,
누군가는 제가 잘 때도 놀 때도 책을 읽을 때도 쇼핑을 하기에 저는 주문건들을 몰아서 한번에
처리하면 되었습니다. 그래서 시간을 압축해서 사용하고 남은 시간에는 자신에게 더 투자하려고
노력했습니다.

퇴사전 저자는 입사제안을 해주던 지인을 통해 이탈리안 레스토랑 프렌차이즈 회사에 입사하게 된다.
디자이너와 매장관리, 매장 개설에 대한 실무적인 부분들을 담당하고, 직원 관리방법, 포스를 다루는
방법, 메뉴구성 등등을 배우면서 그곳에서 배운 경험이 현재의 사업구상에 도움을 받았다고 말한다.
직장에서 근무하며, 배우는 모든 일에는 어떻게든 쓰임이 있기 마련인데, 온라인 유통업을 계획한
저자에게 매장관리, 개설은 후에 시작하는 유통업에 큰 도움이 된것이다. 원하는 일을 하기 위해
계획중이라면, 회사에서 배우는 일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는 걸 알게해주는 부분이다.
직장을 다니면서 체계적이지 않은 시스템의 회사 사정으로 야근을 밥 먹듯이 하고 6시 출근을
하는 반복적인 삶의 패턴에서 저자가 만들어 높은 정확한 시스템은 하루에 4시간만 일해도
모든 업무를 할수 있고, 남은 시간은 아내와 함께 가족과 함께 하는 삶,
그런 삶을 동경하고, 계획중이라면 두 아이의 아빠이자, 가장인 저자의 이야기가 많은 공감대를
느끼게 할 것이다.
page 137
현재 월급의 의존도가 100%라면, 이 비율을 낮출 방법들을 찾으시고, 수익원을 확보하여 현재의 월급을 1.5배 이상 상회할 정도라면, 그때 퇴사를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시스템을 잡고, 그것을 레버리지로 활용하시고, 또 다른 직장에 들어가 필요한 업무들을 더 습득하시길 권합니다.
책구매 인증 + 책에 대한 후기를 제가 운영하는 카페에 올려주면
<알리바바 수입 + 스마트스토어 + 판매마케팅> 유료강의를 무료로 볼수 있습니다.
*인사청 - 인간다운 삶을 위해 사업하는 청년들 https://cafe.naver.com/insacheo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