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근 후 10분 - 주 52시간 근무 시대에 하루의 시간, 업무, 성과를 장악하는
김철수 지음 / 새로운제안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계획하면서 일하는 습관이 없는 사람에게 이 책의 계획대로 하는 건 처음에 좀 어려울 수 있겠다.

이책은 제목 그대로 출근 10분 전에 계획표를 짜서 업무성과를 높이자고 말한다.


쉽게 정리하면, 10분 보드, 출근후 2분, 4분, 6분, 8분, 10분 등 2분 터울로 계획을 

짜라는 것인데, 회사에서 할일과 소요 예상시간 그리고 계획과 사람을 외우는 등 

처음 출근하고 나서 10분 동안 표를 짜고 그대로 실행하는 습관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처음 표를 보자마자 어느 한 연예인이자 기획자가 생각이 난다.

알람에 맞춰 약을 복용하고 외근을 나가고, 사람을 만나는 등의 완전 계획표 대로 살고 있는,



무엇이든 한쪽으로 치우친 것은 좋지 않다.

 정리가 너무 안되는 것도, 1분 1초 시간표 대로 실행하는 것도,

극단적인 것은 그래서 조금은 스스로가 피곤할수도 있다.

하지만 이 책은 출근 후 10분 계획을 어떻게 실행하느냐에 따라 출근성과가 달라진다고 애기하기

때문에. 출근해서 일을 막 하기 전의 초반만 잘 정리하면 된다.



일이 너무 많아 머리가 아플 지경인 사람들이나, 부서의 일을 하면서도 다른 일을 서브로 하는 

사람들에게는 특히 이 책에서 제시하는 방법은 따라해보면 도움이 될 것 같다.



저자는 10분 보드의 활용을 처음에는 칸을 채워서 다 써보다가 점점 능숙해지면

자기에게 필요한 칸만 채워서 사용하면 된다고 말한다.

그런데 처음에는 한두칸을 실행하다 나중에는 칸의 전부를 채우는 게 더 적응도를 높일 것 같다.

처음에 일하는 방식이 확 달라지게 되면 실행하는데 있어서 속도가 안날 수 있기 때문에.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10분 보드의 칸을 절반만 채우고, 점점 늘려가는 것이 좋을 것 같다.


10분 보드는 간단한 한쪽짜리 표이다. 일의 양이 너무 많아서  오전에 한일과 오후에 한일이 

정리가 안되는 사람들에게 충분히 정리를 할수 있게 해준다.

예를 들면,거래처와 통화를 하고 결재를 오전에 했다. 이후 오후쯤 거래처의 주문을 받았을 때,

일의 순서에 의해 주문을 오후에 하게 될 수밖에 없게 되면, 따로 메모를 해야 한다.

이럴 때는 10분 보드의 변경사항에 추가 내용을 작성하면 좋을 것이다.



10분 보드는 어제 처리해야 하는 일에 대한 내용을 오늘 순서대로 할수 있게 만들어 준다.

 오후의 변동사항을 기록할수 있는 칸도 따로 만들어 두어  변경된 내용을 그때 그때 작성 할수 있다.


회사원들의 대부분은 포스트잇이나 탁상용 달력으로 중요내용을 따로 메모하는데, 

10분 보드를 이용하면 세세한 부분이 확실히 보여 실수를 좀 줄일 수 있을 것이다.

10분 보드를 칼라 출력해서 파티션의 한쪽에 붙이고, 수시로 확인하는 것도 좋을 것 같았다.

책의 내용에 장점들이 몇 군데 보인다. 개인이 일하는 방식에 따라 책 속 일부 내용은 적극 반영하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