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빌어먹을 놈은 아니지만 - 미처리 시신의 치다꺼리 지침서
김미조 지음 / 42미디어콘텐츠 / 2019년 10월
평점 :
절판

나는 대필작가이다.
시공간을 넘어선 나는 사라진 김사장을 만난다.
단지 냉장고문을 열었을 뿐인데..그곳엔
헌책빵 "솔"의 주인인 김사장이 있었다. 그와 나는 3년 동안이나 친구사이였다.
나를 본 그는 지금, 자신이 원하는 것은 책을 두 권 먹는 것이라고 말한다.
<치다거리 지침서>__ 시뻘건 얼굴을 한 책 표지에서 보이는 한입 비어먹은 책은 이책의 복선이다.
김사장과 치다거리 지침서를 쳐다보던 나는,첫 번째 책 S032-3905696-허 08을 손에 든다.
책의 모서리를 입으로 가져와 살짝 깨문다. 아예 게걸 스럽게 책을 먹는다. 한권을 다 먹었다.
<치다거리 지침서> 의 서문에는 "이 책을 먹을 수 있는 존재는 살아있지 않은 자"라고 정확하게 명기 되어 있다.
"나는 어쩌다 죽은 것일까?" 그렇게 허 08을 먹자 한 남자가 보인다.
허08은 형수와 형의 눈칫밥에 옥탑방으로 이사를 왔다. 이사 온 후 본격적으로 성공을 위한 계획을 세운다.
성공의 첫발을 자발적으로 찾은 책에서 찾아 보기로 한다.과거 그렇게 허 08과 나는 헌책빵 "솔" 에서
마주쳤었다. 나는 마치 저승의 시간 지침서라도 되는 냥 허 08에게 열여덟 시간을 주겠다고 말하고 있다.
의심서린 눈빛이지만, 허 08은 곧장, 아래층으로 내려가 주인을 만나기로 한다. 그는 월세를 밀렸었다.
주인을 찾아 2층으로 내려갔지만, 방안에 있는 것은 주인의 딸이다.
자신의 엄마와 통화중인 딸, 월세를 받으러 올라갔다 오라는 엄마와 실랑이를 벌이고 있다.
허 08에 대해 좋지 않은 감정이 있다. 사람을 쳐다볼때 홀낏거리며,말도 못해서 우물거려 기분 나쁘단다.
딸은 통화 버튼을 꺼버리고는 나가려 한다.현관문을 여는 딸의 팔을 허 08이 붙잡으려 애쓴다.
죽어 영혼으로 남은 허 08의 노력은 어떤 힘도 발휘하지 못한다.
나는 허 08에게 다가선다. 뭘 감추고 있는거지? 허 08의 눈은 좌우로 빠르게 움직인다.
그는 내 질문의 의도를 파악하기 위해 머리를 쓰고 있다.
----
미처리 시신은 말 그대로 아직 처리하지 않은 시신을 말한다.
옥탑방에서 죽어버린 허 08과 암덩어리를 키워 자신의 방에서 죽은 노 17의 이야기는
더이상의 가족 구성원을 만들지 않는 지금의 현실에서의 부정적인 죽음을 보여주는 가 싶었지만,
미스터리 하면서도 기발한 이야기는 심각하지 않게 읽을 재미를 주기도 한다.
대가족으로 살던 옛날과 지금은 많이 다르다. 점점 1인 가구는 늘어갈 것이고,
그에 따른 죽음들.. 가족이 함께 하지 않을 때의 돌연사 혹은 자살, 병사 죽음에 대한 처리 되지 못한 시신들에
대해 생각해 볼수 있는 소설이다.
미처리 시신,책에서는 그런 자들을 세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자신이 죽었다는 걸 아예 모르는 자,
죽은 것은 알지만 세상에 미련이 남은자, 죽은 것을 알고 있는 데다 미련도 없는 자,
이 세가지 중에서 각 각의 이야기는 어떤 애기를 하고 있을까? 그리고
기발한 줄거리의 이야기지만, 두가지 이야기에서 작가가 말하고 싶어하는 말이 무엇일까를 생각하면 더
재미있게 읽을 수 있을 것 같다.
그 누구에게도 알려지지 않은 죽음, 미처리 시신에 대한 기발한 이야기.
책이 두껍지 않으며 어렵지도 않다. 내용이 재밌다. 주제가 미처리 시신이라니.
근래 보기 드문, 주제의 책이 아닌가.
두시간이면 읽을 수 있는 집중도를 주기 때문에. 서늘해지는 겨울 날씨에 제격인 책이다.
뻔한 스토리에 질린 독자라면, 새로운 줄거리의 이야기를 원한다면 이 책을 선택하는게 어떨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