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울증 먹으면서 탈출 - 만화로 이해시킨다, 정신과 의사 ‘마음의 병’ 회복 프로젝트
오쿠다이라 도모유키 지음, 이주관 외 옮김 / 청홍(지상사) / 2019년 7월
평점 :

사진과 그림이 흥미를 자아낸다.
아베정권의 수출규제(화이트리스트)로 인해 한일정국이 경색되고 있는 시점에
일본인이 쓴 책을 읽게 되어 그렇지만, 건강관련 내용이라 흥미롭게 봤다
다만 내용상의 구조나 설명이 좀 장황하다는 느낌이 들고, 각 영양소별 설명에서
비타민 B1,B2,B12 등의 에너지원은 주로 어떤 식품에 있는건지 설명이 부족해서
따로 챙겨봐야 했다는 점이 아쉬웠고, 용어중에 식물섬유라고 나오는데 식이섬유도 아니고
식물섬유는 뭔지 내용해석이 되지 않는 부분이 있다.
상황이 상황이니 만큼 책에 나와있는 부분중 간수물을 갖고 다니자는 내용이 있는데,
간수에는 해수의 미네랄이 이온상태로 함유되어 있으므로, 흡수되기 쉬우며, 특히 마그네슘이 풍부하다고 한다.
술에 간수를 몇방울 넣으면 마그네슘이 물 분자의 집합체를 작게 만들어 혀의 촉감이 부드러워진다고 한다.
더불어 만드는 방법에 관해 그림으로 설명하고는 있으나,
이방법 그대로 만들어 먹을 사람이 몇이나 될까도 의문이다.
요즘같이 쉽게 정수기를 이용하고, 심지어 냉온정수기 일체형, 커피나오는 정수기도 있는 마당에...

이 87페이지에서 갑자기 궁금해진 사항은,
일본이 100만톤의 오염수를 태평양에 방류하는 계획을 세우고 있고,
국제환경단체인 그린피스도 게제글을 올리고 있고,
'숀 버니' 그린피스 수석 원자력 전문가는 최근 이코노미스트 최신호에서
'일본 방사성 오염수에 한국 노출 위험성이 커진다'는 내용의 기고문에
후쿠시마 원전의 오염수 방출 문제를 거론한 것으로 알려졌다.
건강수를 이야기 하니 자연스럽게 연상이 되어 몇자 적었다.
경제적인 상황이 우리 대한민국 나아가 러시아 전세계까지 음용되는 상황이 처해질지도 모른다.
아무리 건강관련 책을 읽고 어떤 건강식을 먹고 어떤 영향소를 먹는게 뭐가 중요한가 싶다.
의식주 이중에 식에 해당하며, 물을 못 먹고 버틸수 있는 시간은 고작 일주일도 안된다.
우리몸에 물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어찌보면 어떤 영양소보다
생명과 제일 직결되는 영양소가 물이 아닐까한다.
일본은 생명과 직결된 일에 그들 나름의 사고로 접근하지 말고,
전 세계인의 생명 나아가 그들의 생명에도 관여되는 상황에 어처구니 없는 행동을 하지 않기를 바라고,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지말기를 바란다.
건강식 관련 이책은 만화를 그려놓아 재미있을것 같았으나, 만화가 오히려 집중도를 떨어뜨린다.
건강식 설명에 그림을 넣어 집중도 있게 읽히는데 도움은 되었으나, 하단에 설명된 글들은 좀 진부한 느낌이다.
기혈수 타입 / 혀체크/ 맥 체크 등의 내용은 오히려 다른 건강관련 책과는 다른 참신한 내용이라 흥미롭게 보았다.
본인이 책의 내용과는 별도의 경제 내용을 적고 있어, 별개의 내용같으나,
건강에 관한한 중점일수 밖에 없는 물과 연관이 되는 일이라 적게 되었다.
심각한 사건을 만들려고 하는 상황이라, 앞으로가 걱정이다.
일본은 국제정세의 흐름을 읽고, 더는 상황을 악화시키지 않기를 바랄 뿐이다.
건강관련한 한의학적 관점이 흥미로웠고 증상이 동일 증상이 있어, 좀더 관심을 갖고 보게 되었다.
이책은 영양학적으로 부족해 지기 쉬운 영향소가 어떤것인지를 잘 설명하고 있고,
결국 스트레스가 가장 큰 적이라는게 결론을 주고 있다.
일본은 생명과 건강과 직결된 물에까지 사건을 만들지 않기를 바라며,
이책의 요지대로 스트레스를 더는 주지 않기를 바랄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