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무전 경제 선언 - 돈에 의존하지 않는 행복을 찾아서
쓰루미 와타루 지음, 유나현 옮김 / 21세기북스 / 2019년 6월
평점 :
절판
물물교환에서 시작된 시장.
그리고 과거에는 지폐없이 마을에서 나는 서로의 물건을 교환해 생활했다.
지금의 증여경제라고 말할수 있는 서로간의 주고받음은 아무런 이득도 되지 않는
선물 주고 받기가 과거에서부터 현재까지 꾸준히 이어져 왔다는 것으로 변화를 제시한다.
이처럼 공유와 나눔으로 부자와 가난한 이의 간격을 좁혀 불평불만이 없는 만족한
삶을 살수 있다는 근거를 두는 것이다.
경제활동을 통해 이익을 얻는 것보다는 서로가 가진 물건을 주고 받음으로써 인간관계를
달리 해보자고 말한다.
얼만전부터 시작된 카풀, 카카오택시를 예를 들수 있겠다.
택시회사들의 항의로 지금은 다른 서비스는 정지되고,한가지 사업만 할 전망이라는 기사도
내놓고 있기도 하다. 택시를 타면서 요금을 내는 것이 아니라. 가려는 목적지가 같은 사람들이
서로의 차를 공유해 타는 것부터.도와주는 대신에 숙식을 제공받는 것까지.
종류는 다양하며, 지금까지 이어온 것도 있으며, 새로 시작한 공유경제도 있다.
택시를 타면서 요금을 내는 것이 아니라. 가려는 목적지가 같은 사람들이
서로의 차를 공유해 타는 것이 인기가 있는 것은 어찌보면 당연하다.
물물교환에서 시작되 지금의 시장이 생겨나기까지.
그리고 과거에는 지폐없이 마을에서 나는 서로의 물건을 교환해 생활했던 그시절,
(물론 그때도 부자와 가난한 자들은 있었다.)
책에서는 돈으로 지불해야만 살수 있을까. 라는 물음에 시원한 대답을 주기도 하지만.
아직까지는 현실화가 되기는 힘들 만한 것들도 있다.
쌀로 현금을 대신하고 100년이 걸려 엽전,등 동전 지폐가 생겨난 것처럼.
다시 물물교환으로 바로 돌아가기란 어려울 수밖에 없다.
하지만 저자가 말하는 것은 인간이 매일같이 일하고 쇼핑하고 소비하는 것에서
선의로 이루어지는 "증여 경제"를 이루어 내는 것을 말하고 싶어하는 것이다.
전부가 그렇게 하지 않아도 일부 그런 생활을 하는것에 대한 이득을 설명한다.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고, 버려지는 것들을 재활용하고,
필요한 것은 자연에서 얻으려는 노력을 하다 보면,
돈 없이도 우리가 살아갈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지금도 재활용을 하는 것을 생활화하고 있지만, 돈 없이 서로 물물교환으로 살고 있지는 않다.
내가 보낸 물건에 비해 상대방이 주는 물건의 품질이 떨어질 수 있으며,
선의로 보낸 서로의 물건에서 만족도가 떨어질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저자는 공유경제와 서로의 물건을 교환해 사용하는 방식의 이로움을 알려주고자 한다.
의식이나 생각은 저마다 다르다. 같은 책 한 권을 읽어도 서로 다른 결론을 도출하지 않는가.
이 책은 현재 물물교환하는 생활과, 증여하며 사는 방식의 하나인 홈스테이,벼룩시장, 윤번제 등을
예로 든다.
아는 내용도 있으며, 새로운 방식도 있지만, 내용을 읽다보면. 정말 그렇게 변화를 주며
산다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든다. 책의 내용을 읽으면
행동과 감정, 선의 편의 평등에 대해 알고 있는 것보다 다른 방식들이 많다는 것을 느끼면서,
인식이 변화해야 행동도 달리 하는 것처럼, 무전(돈하나 없이) 경제(생활하는 전반의 모든 것들)
도 가능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한다.
쓰레기 산으로 불렸던 하늘공원을 아름다운 경치로 바꿔놓았듯, 필요없는 부분은 삭제하고,
필요한 부분에 더 많은 사람들이 함께할수 있게 하자는 취지의 책이라. 읽어보면 자본주의 사회에서
돈에 의지 않고도 풍요로운 생활을 하고 있는 자신을 발견할지도 모르겠다.